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13

        122.
        2013.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한국에서 한문문법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연구 방향을 제시한 논문 이다. 이 논문에서 주로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려고 한 것은 한국인이 한문문법적 인 지식을 통해, 흥미를 가지고 漢文 原典에 다가가 해석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연구하는 것과, 교수자 입장에서 학습자에게 문법적으로 한문을 교육시킬 수 있는 것을 연구하는 방향이었다. 즉, 이 논문에서 주로 살펴 본 분야는 형태론 교육론의 연구 방향과, 통사론 교육론의 연구 방향, 그리고 한문 문법교육사 연구 방향 등이 다. 形態論(Morphology)은 形態素와 單語의 構造와 機能, 結合關係 등 모든 형 태소들의 文法的 現象들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주로 單語(詞,語彙, 詞組)形成, 形態論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며, 派生法과 合成法을 체계적으로 살펴보아야 한다. 또한 이 형태론 연구에서는 단어들이 문법적 性質에 따라 分類되 는 品詞論도 포함되어야 하며, 특히 虛詞의 機能에 대하여도 연구되어져야 한다. 그리고, 形態論 敎育論에서 論議되어지는 내용들은 학습자에게 쉽고, 재미있게 접근할 수 있는 敎授法과 객관적이고 공정한 評價法들이 摸索되어져야 한다. 統辭論(Syntax)은 단어(詞)들이 결합하여 文章이 構成되는 原理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이 연구에서는 漢字語(詞)의 統辭 構造, 漢文 文章의 構造類型을 通 한 統辭論 敎育의 연구, 漢文 文章 類型의 교육을 통한 文章 讀解 能力 向上의 硏究, 統辭論 敎授法 연구, 통사론의 評價法 연구 등이 연구되어져야 한다. 漢文文法 敎育史 硏究는 漢文科 敎育課程 속에 나타난 漢文文法 敎育의 史的 硏究로부터 始作되어야 한다. 한국의 한문문법 敎育史는 1945년 光復 후, 美軍政에 의하여 제정되어 過渡的 역할을 담당하였던, ‘敎授要目期’부터 현재 학교 교육현장에서 실시중인 ‘2011년 改定 敎育課程期’까지 중․고등학교 한문과 교육 과정 속에서 한문문법 교육의 變遷 過程과 그 내용을 추출하고, 그것을 통해 연구 가 시작되어야 한다. 또한 한문문법교육사의 교수법과 평가법도 연구되어져야한 다.
        7,700원
        123.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number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re selected at the Korea Astronomy Olympiad (KAO) in every year. In the first stage of the selection, the resume, school transcript, and recommendation letters from teachers are referred. In the second stage, after video lectures and weekend observation classes, students are tested with on-line homeworks, and interviewed through internet. For 118 students who have gone through the second stage of the 2012 KAO, we hav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which asks the students the motivation and preparation for the KAO. The survey has also included inquiries for the selection process and education program of the 2012 KAO; the replies will be used as feedbacks for the next year's KAO. The survey has revealed that the first stage worked well, while the second stage needs to be improved in terms of fairness and objectivity. We have found that most students received private tutorings for the KAO, so we suggest efforts should be made for students to be able to prepare the KAO without receiving private tutorings.
        4,000원
        127.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한국무용 교육의 본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동안 한국무용을 가르치고 배우 는 과정이 기능적 차원에 지나치게 편중되어 있다는 점이 많이 지적되었다. 무용교육이 진정한 예술교육이 될 수 있기 위해서는 기술위주의 동작교육에서 벗어나야 한다. 예술교육으로서 한국 무용에서 가르치는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의 성격을 파악하는 것이 그 첫걸음이 될 것이다. 본 연 구는 한국무용교육의 핵심적 교육내용으로서 무용정신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알아보고자 한다. 심 층면접을 활용한 질적 연구방법론을 채택하여 명성적 사례표본 추출방법으로 한국무용과 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 경험, 안목을 갖춘 주참여자 8인을 선정하였다. 주참여자들의 의견을 분석한 결과, 한국무용 교수과정에서 핵심적으로 가르쳐야할 내용으로서의 정신은 신체적 차원, 인지적 차원, 감성적 차원, 영성적 차원으로 나뉜다. 첫째, 한국무용정신의 신체적 차원은 총체적 성질의 신체와 자연스러운 호흡 중심으로 이루어진 동작의 원리에 대한 이해와 적용의 차원이다. 둘째, 한국무용정신의 인지적 차원은 한국무용을 둘러싼 철학, 역사, 예술 등의 문화적인 요소들에 대 한 통찰의 차원을 뜻한다. 셋째, 한국무용정신의 감성적 차원은 무용 동작이나 음악에 내재된 한, 흥, 절제 등의 다양한 감정에 대해 주관적으로 해석하고 탐구하는 차원을 의미한다. 넷째, 한국무 용정신의 영성적 차원은 무용을 통한 신명, 황홀경, 무아지경 등의 경지를 체험하고, 이를 제대로 하기 위한 예도 등의 마음가짐을 갖는 차원을 말한다. 마지막으로 한국무용정신의 구성요소들이 어떻게 학습되어지고 가르쳐지는지를 상세히 탐구하는 연구와 무용정신을 올바로 가르치는 교수 방법과 통합적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6,600원
        128.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aik Kyung-sook. 2012. Do they teach the prospective teachers properly?: Suggestions based on an analysis of the courses on culture at the English education departments of Korean colleges.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0(2). pp. 239-268. This study analyses the contents of the courses on culture at the English education departments of Korean colleges to evaluate if the prospective teachers are learning properly what it takes for teaching culture. Referring to the relevant theories and the results of a pilot questionnaire on the practice and difficulties in culture education at Korean secondary schools, this study diagnoses the courses on culture(/culture teaching) by examining the contents of the appropriate syllabuses. The analysis shows that most departments offer a culture-related course or two, but mostly about culture on a macro-level. It also reveals that contents about the multicultural nature of the English speaking communities are not properly included and that the relevant teaching approaches/methods are rarely dealt with. The contents targeting the prospective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were rarely found, which inevitably discloses the college educators’ lack of adequate concept of ‘culture education’ in this globalized era. This study finally suggests that the ethnographic perspective and knowledge along with the notion of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serve as the key concepts in constructing a suitable model of culture education for the prospective teachers as well as the learners in Korea.(197)
        7,000원
        129.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im Ha-soo, Ju Hyang-a, Son Hyun-jung, Kong Nah-yung. 2012.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and sociolinguistic factors- study on the inform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n 20(2). pp. 185-211. In sociolinguistic research, it has been found that linguistic phenomena are influenced more by extralinguistic factors than intralinguistic ones. In particular, issues such as language policy, language contact, langage extinction and language variation are strongly affected by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where a language is being used and taught. In order to analyze linguistic phenomena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synthetically, we introduce linguistic typological methods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an automated system for the capture, storage, retrieval, analysis and display of spacial data. Using GIS, we present some maps of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foreigners living in Korea and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of Korean language for foreigners in order to discuss the regional conditio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se areas. We also examine married immigrant women's accessibility to multi-cultural support centers with GIS.
        6,600원
        130.
        2012.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这篇论文是提供韩国汉文语法教育的研究方向。虽然汉文目前不属于口语,然以汉文撰写的典籍史料浩瀚如海。于是理解与解读此一方面的人极为少数。由于面临了危机,需要提供一种有效率、有系统、有科学的汉文教育法。本文核心有两方面:一、通过汉文语法基本知识引起韩国人兴趣并提高解读能力。二、以教授的立场给学习者提供汉文语法教育的研究方向。本文主要探讨领域为形态教育与语法教育论以及汉文语法教育史的研究方向。将上述内容整理为如下:1 形态教育论的研究方向在此主要进行的是形成单词(词、词汇、词组)的形态论研究,且需要有系统地探讨合成法与派生法。在形态论研究里,不仅包含依照语法性质而分类的单词的词类论,还需研究虚词功能。在形态教育论里,所谈到的形态论内容,必须给学习者提供容易且有意思的教育方法。2 语句教育论的研究方向在此主要进行的是通过汉字语(词)语句构造进行汉文构造研究, 通过汉文文章构造类型进行语句教育研究, 通过汉文文章类型教育进行解读能力研究,语句教授法研究, 语句评价论研究等。3 汉文语法教育史的研究方向韩国汉文语句教育史在1945年光复之后由美国军政制定,然后自担任过渡期的“教授要目期”,一直到学校正在进行的2009年改定教育过程期为止,在初中高中汉文教育课程里,必须通过汉文语法教育的变迁过程及其内容来进行研究。
        131.
        2012.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day, Korea society focuses on multisociety and kid problem of multiculture home. Korea does not accept traditional multisociety, but entered in multiculture society according to economic, political, global trend. Multiculture society has so many problems; such as criminal situation, culture shock, identity destroy in multiculture home's kids. In this situation, how can do Korea church take care their life problems? Korea church should support toward them in multiculture home through missional education. This article mentions meaning of multiculture society and based on biblical foundation about multiculture society, kids of multiculture home, and Korea church mission toward mlticulture society. This study focuses on for survivals of migrants kids and social discrimination of Kosian in Korea society. Korea churches have to support their settlement by their own ways and encourage them to establish not only their own identity in Korean society but also Christian kid identity based on multiculture society. Therefore, how would Korea church' task do to support for children education of multiculture society. Above all, this article deals with knowledge shift of multiculture society about kid problem and education method. This multiculture came from low fertility and super aging society. Korea churches should response problems of multicultural peoples and their kid with multicultural living together in Korea society.
        8,100원
        132.
        2012.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언어 교육에서 오류 분석은 언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의 언어를 연구하거나,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고안하는 데 있어 아주 중요한 방법론의 하나이다. 하기에 많은 학자들이 학습자들의 작문이나 발화에서 오류문을 추출하여 연구를 시도하고 있으며 또한 많은 연구 성과들이 나오고 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자들마다 오류에 대한 견해에서 서로 다른 의견들을 제기하고 있으며 그 판정에서 어려움을 시사하고 있다.본고에서는 학자들의 견해를 기초로 하여 한국어 교육에서 오류의 판정, 오류와 실수, 중간언어와의 관계에 관한 학자들의 견해를 종합해 보고 필자의 견해도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견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1. 오류는 외국어 학습자 자신에게 있어서 필요 불가결이며 교사는 오류 분석과 오류 교정에 주목해야 한다.2. 오류 판정에서 문법성, 체계성, 반복성을 고려해야 할 뿐만 아니라 원인을 밝힐 수 있으면 오류로 보아야 한다.3. 오류는 학습자가 스스로 판단할 수 없고 교정할 수 없지만 실수는 학습자 스스로가 인식할 수 있고 교정할 수 있다.4. 오류는 중간언어에 포함되어 있으며 그 기원을 찾을 수 있고 원인을 밝힐 수 있다.
        5,400원
        133.
        2012.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세계가 하나의 지구촌으로 되는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중․한 두 나라 간의 정치, 경제, 무역, 문화 등 분야의 교류가 갈수록 밀접해지고 활발해지고 있다. 이 과정에서 한국어 인재들이 중요한 가교역할을 하고 있으며, 아울러 한국 언어뿐만이 아닌 한국 사회 전반에 대한 탄탄한 이해를 가진 고 소질, 고 실력의 한국어인재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런 인재의 양성은 한국문화 교육을 떠나서 한국 언어교육만으로는 이루어질 수 없다. 언어를 외면하고 문화를 이해할 수 없고 문화를 외면하고 언어를 이해할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로 언어교육과 문화교육은 유기적인 연계 속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현재 중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한국문화교육 실태를 살펴보면서 존재하는 문제를 짚어보고 풀어야 할 과제를 지적하였다. 논의는 한국문화교육의 필요성을 지적하고 문화교육의 목표에 비추어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지금까지 무절제하게 이루어지던 중국에서의 한국어 교육은 최근 들어 다소 소강상태를 보이고 있다. 한국어 교육의 질적 향상의 불균형으로부터 우승열태(优胜劣汰)의 경쟁을 거쳐 양적 팽창에서 벗어나 질적 향상을 추구하는 과학적인 재정립이 필요한 단계에 들어섰다. 이는 한국어교육에서 단순한 언어교육이 아닌 한국학 전반에 관한 지식 교육 즉, 언어교육과 문화교육 통합 진행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진일보적인 증명과 강조로 된다.
        5,700원
        134.
        201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硏究는 최근에 많은 海外韓國語敎育現場에서 비교적 活潑하게 이루어지 고 있는 漢字및 漢字語敎育에 注目하고, 그에 대한 敎育方案에 대해서 論議한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재 筆者가 몸담고 있는 베네치아大學에서 開設된 ‘韓國漢字語授業’을 土臺로 하여 理論的인 側面보다는 具體的이고 實際的인 側面에서 살펴보았다. 授業의 構成과 內容은 물론이고 그 運營에 있어서는, 베네치아대학 학생들의 敎育的背景과 特徵을 최대한 反映하고자 하였다. 그 중의 하나는 한자어 수업 에 參加하는 學生들 중에는 한자 및 한자어를 처음 接하는 학생들은 물론이고 이 미 한자 및 한자어에 대한 知識이 어느 정도 쌓여 있는 학생들이 있다는 것이다. 前者에 해당되는 학생들은 ‘非漢字文化圈’으로, 後者에 해당되는 학생들은 ‘準漢字文化圈’으로 指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狀況이 特別히 베네치아대학에 限定 된 것이라고는 볼 수 없다. 그것은 현재 海外의 大學, 특히 유럽 대학의 한국어 관련 敎育課程을 살펴보면 베네치아대학과 비슷한 상황이 많기 때문이다. 具體的인 敎育方案과 관련해서는 현재 해외에서 이루어지는 漢字및 漢字語敎育이 韓國語敎育의 一環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을 考慮하여, 一般的인 言語敎育의 分類를 參考하여 ‘한자어 읽기’, ‘한자어 쓰기’, ‘한자어 말하기/듣기’ 부분으 로 나누어 論議를 進行하였다.
        6,900원
        135.
        201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7년 漢文科敎育課程을 개정한 새 敎育課程이 2011년 8월 9일자로 교육과 학기술부에 의해 告示되었다. 이글은 새 교육과정의 내용을 2007년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통해 분석한 것이다. 새 敎育課程은 문서 체제를 <1. 추구하는 인간상 2. 중학교(고등학교: ‘한문Ⅰ’, ‘한문Ⅱ’의 경우) 교육 목표 3. 목표 4. 내용의 영역과 기준 5. 교수․학습 방법 6. 평가>로 구성하였다. 이는 2007년 교육과정의 문서 체제(<1. 성격 2. 목표 3. 내용 4. 교수․학습 방법 5. 평가>)를 일부 변경한 것이다. 이 중 새 敎育課程에 신규 제시된 “1. 추구하는 인간상 2. 중학교(고등학교: ‘한문Ⅰ’, ‘한문Ⅱ’의 경우) 교육 목표”는 모든 교과가 공유하는 學校級別목표를 漢文科敎育課程에 다시 제시한 것이다. 이 외에 새 敎育課程의 문서 체제에서 보이는 주요 변화는 2007 년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를 통합하여 ‘목표’로 제시한 것과 2007년 교육과정 의 ‘내용’을 ‘내용의 영역과 기준'으로 명칭 변경하고, 그 구성 내용 또한 ‘가. 內容體系’, ‘나. 領域別內容’을 ‘가. 내용 체계', ‘나. 學校級別(중학교의 경우는, ‘중학 교 1~3學年群別’) 성취 기준’, ‘다. 영역 성취 기준’, ‘라. 학습내용 성취 기준’으로 수정 제시한 것이다. 새 敎育課程은 ‘목표’를 前文과 下位目標로 구성하였다. 이 중 前文은 漢文 교과의 일반적 성격과 學校級別漢文의 科目別성격을 진술한 것으로, 결과적으 로는 2007년 敎育課程의 ‘성격’ 중 漢文科의 일반적 성격에 대한 진술 부분 및 科目別성격에 대한 진술 부분과 그 내용이 같다. 下位目標는 前文에 제시된 漢文科의 일반적 성격과 과목별 성격을 고려하여 설정한 漢文科의 一般目標와 科目別特殊目標를 항목으로 나누어 구체화하여 제시한 것으로, 결과적으로는 2007년 敎育課程의 下位目標와 그 내용이 같다. 새 敎育課程은 ‘領域’을 ‘讀解’, ‘文化’, ‘漢文知識’의 셋으로 나누었다. 中領域 은 영역의 성격에 따라, ‘독해’ 영역은 ‘읽기’, ‘이해’로 설정하고, ‘문화’ 영역은 ‘漢字文化’, ‘언어생활과 한자 문화’로 설정하되(단, 고등학교 ‘한문Ⅱ’는 ‘漢文學의 이해’ 추가 설정), ‘한문지식’ 영역은 2007년 교육과정을 그대로 따라 ‘漢字’, ‘語彙’, ‘文章’으로 설정하였다. 內容體系의 영역 및 중영역이 일부 변경됨에 따라 內容要素의 성격과 그 내용 또한 일부 바뀌었다. 곧 ‘독해’ 영역의 경우, ‘읽기’에서는 ‘소리 내어 읽기’, ‘끊어 읽기’를 내용 요소로 선정하고(단, 고등학교 ‘한문Ⅱ’에서는 ‘소리 내어 읽기’만을 내용 요소로 선정), ‘이해’에서는 ‘풀이하기’, ‘이해하기’, ‘감상하기’를 내용 요소로 선정하였다. 이는 2007년 교육과정 ‘한문’ 영역 ‘읽기’, ‘이해’의 내용 요소 중에서 텍스트 요소를 제외하고, 또 ‘읽기’의 내용 요소 ‘읽기와 풀이’ 중에서 ‘풀이’ 요소를 ‘이해’ 영역(중영역)으로 옮기는 한편, 領域別內容에서 (‘읽기와 풀이’ 중) ‘읽기’ 요소의 하위 학습 요소로 제시되었던 ‘소리 내어 읽기’와 ‘끊어 읽기’를 (개정 교육 과정 ‘독해’ 영역 ‘읽기’의) 내용 요소로 끌어올린 것이다. ‘문화’ 영역의 경우, ‘한자 문화’에서는 ‘전통문화의 이해와 계승’, ‘한자문화권의 상호 이해와 교류’를 내용 요 소로 선정하고, ‘언어생활과 한자 문화’에서는 ‘언어생활 속의 한자 어휘 알고 활용 하기’를 내용 요소로 선정하되, 고등학교 ‘한문Ⅱ’에서만 설정된 ‘한문학의 이해’에 서는 ‘한문학 고전 작품 이해하기’, ‘한문학 고전 작품 감상하기’를 내용 요소로 선 정하였다. ‘한문지식’ 영역의 경우, ‘한자’에서는 ‘한자의 특징’, ‘한자의 짜임’을 내용 요소로 선정하고(단, 고등학교 ‘한문Ⅱ’에서는 ‘한자의 특징’만을 내용 요소로 선 정), ‘어휘’에서는 ‘단어의 짜임’, ‘단어의 갈래’, ‘성어의 의미’를 내용 요소로 선정하 였으며(단, 고등학교 ‘한문Ⅱ’에서는 ‘단어의 갈래’만을 내용 요소로 선정), ‘문장’에 서는 ‘문장의 구조’와 ‘문장의 유형’(중학교 ‘한문’의 경우) 또는 ‘문장의 修辭’(고등 학교 ‘한문Ⅰ’, ‘한문Ⅱ’의 경우)를 내용 요소로 선정하였다. 새 敎育課程의 ‘교수․학습 방법’은 2007년 교육과정의 서술 체제를 유지하되, ‘영역’ 및 領域別‘학습내용 성취 기준’의 변화에 맞게 일부 내용을 추가하거나 재 조정하여 제시하였다. 곧, ‘독해’ 영역 ‘읽기’에서는 ‘朗讀法’과 ‘懸吐活用法’을 새 롭게 제시하였다. ‘이해’에서는 ‘討論學習法’, ‘讀者反應中心學習法’, ‘그림을 活用한 學習法’ 등을 새롭게 제시하였다. 문화 영역의 ‘한자 문화’는 ‘웹基盤中心 학습법’, ‘問題中心學習法’ 등을 새롭게 제시하였다. ‘한문지식’ 영역 ‘한자’에서 는 ‘字源活用法’, ‘字典活用學習法’, ‘이미지컷 活用學習法’, ‘웹基盤中心學習法’, ‘漢字카드 活用法’, ‘圖形化된 노트 活用漢字쓰기’를 새롭게 제시하였다. ‘문장’에서는 ‘虛辭指導를 통한 讀解指導法’, ‘語順構造를 통한 讀解指導法’ 등 을 새롭게 제시하였다. 새 敎育課程의 ‘평가’ 또한 2007년 교육과정의 서술 체제를 유지하되, ‘영역’ 및 領域別‘학습내용 성취 기준’의 변화에 맞게 일부 내용을 추가하거나 재조정하여 제시하였다.
        10,500원
        137.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무용교육의 교육내용은 무엇인가? 한국무용교육내용에는 ‘기능적 차원’과 ‘정신적 차원’이 있으나, 그동안 기능적 차원만이 주된 교육내용으로 주목받았다. 그러나 정신적 차원은 기능적 차원만큼이나 중요한 가치를 지니며, 핵심적이고 본질적인 가치라고 할 수 있다. 한국무용이 예 술의 한 장르가 되고, 한국무용교육이 예술교육의 한 분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기능과 기능교육 의 차원에서 머물러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논문은 한국무용의 교육내용에는 두 층위가 있음을 드 러내 보려고 한다. 그리하여 한국무용교육에서는 정신적 차원에 대한 새롭고 높은 관심과 조치가 취해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한국무용교육내용과 관련된 연구들을 전반적으로 살펴본다. 2절에서는 한국무용교육내용의 지배적인 차원인 기능에 관하여 좀 더 자세히 알아보고, 그것의 문제점을 검토한다. 3절에서는 교육내용에는 기능적 차원과 정신적 차원이 관여 된다는 점을 살펴보고, 4절에서는 정신적 차원의 교육내용은 무엇을 의미하는지 구체적으로 탐색 해본다. 마지막으로 정신적 차원의 교수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적 요인이 바로 무용교사임을 강조하면서, 교수법을 포함한 다양한 측면에서의 노력이 요청됨을 제안한다.
        4,900원
        138.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본 연구는 한국의 안경광학 전공 대학원에서 연구윤리 교육의 현황과 필요도를 파악하고 적절한 교 육 형식을 도출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방 법 : 국내의 안경광학 전공 대학원 재학생 3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응답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한국의 안경광학 전공 대학원생들의 연구윤리에 대한 인식도는 높지 않으나, 연구윤리 교육에 대 한 필요성은 인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윤리 교육을 경험한 응답자들이 교육의 필요성과 유용성을 더 높이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결 론 : 한국의 안경광학 전공 대학원에서 연구윤리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은 매우 높으며, 정규 교과목이 나 비공식 특강의 형식을 통하여 필수적으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4,000원
        139.
        201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호주에서 한국어를 공부하려는 학생들은 절대적 수치에서 아직 많지 않지만, 최근에는 이전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호주 연방 정부의 정책적 재정적 지원은 물론, 한국어 교육 유관기관들의 유기적 협력이 큰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호주의 한국어 교육에서 특기할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을 학습자 특성에 따라 외국어과정, 헤리티지과정, 모국어과정으로 세분화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교육이 이루어지게 된다. 둘째, NALSSP으로 대표되는 호주 정부의 아시아 언어 진흥책으로 한국어를 아시아 4대 언어에 포함시켜 장려함으로써, 한국어가 초․중등학교에서 활성화되는 계기를 마련해 주고 있다. 한국어 교육이 이러한 유리한 환경에 있지만, 호주 사회에 아직 안정적으로 뿌리 내리지 못하고 있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서는 현지 한국어 교육 관계자들의 노력이 있어야 하겠지만, 이에 못지않게 한국 정부의 투자와 지원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 한국에 대한 이미지 개선 등 장기적인 발전 계획을 수립하는 것은 물론,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조율할 수 있는 기구의 설립이 필요할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적으로는 다양한 지원 기관을 하나의 통합 지원 기관으로 만들 필요가 있으며, 국외적으로는 한국문화원, 한국교육원, 세종학당 등의 기관들을 합치거나, 각각의 성격에 맞는 기능을 부여해 중복되는 일이 없도록 할 필요가 있다. 현지의 한국어 관련 중심 기관을 통하여 호주의 상황에 맞는 전략을 세우고, 이를 국내에 있는 독립 기관이 지원하는 방식으로 한국어 내지 한국학의 보급을 시도할 때 전시성 행사나 중복 지원 같은 폐해를 예방하고 발전된 한국의 위상에 걸맞는 이미지 변화 등 근본적인 변화가 가능할 것이다.
        6,100원
        140.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under the premise that lack of grammatical education with overall emphasized fluency is not desirable and the grammatical education can function fully to improve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To support this, the studies that attempted comparative linguistics, universal language theories, and attempts of linguistic typology were examined. However, such efforts are limited in explaining the overall Korean grammatical education systematically. As a method to resolve such problems, a suggestion of actively utilizing grammatical categories were provided. The categorization by grammatical systems is quite familiar since it was applied to all languages for a long time and is a concept that can be usefully utilized in comparative linguistics or linguistic typology. In addition, the overall grammatical factors could be examined systematically. As the meanings, functions, and constraints of combinations among the grammatical factors are compared, which could not be done when examining the individual grammatical factor, the differences can be clearly recognized. This study provided an example of expressing negatives and also suggests the methods to use the grammatical categories for Korean educational grammatical system in the sites of Korean education in detail.
        5,5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