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어 모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어를 교육할 경우 부딪히게 되는 대표적인 문제로는, 발음 교육에서는 유음 ㄹ, 연음, 모음 ㅡ, ㅢ, 후설모음 ㅓ, ㅜ, ㅗ 등의 발음이 어려움으로 대두될 수 있다. 또한 문법 방면에서는 무엇보다도 조사의 활용이 학습자로 하여금 어려움을 느끼게 하는 요소이며, 그 중에서도 ‘은/는’ 과 ‘이/가’의 구분이 더욱 어려움을 느끼게 한다. 물론 위에서 제시한 문제 외에도 중국어에는 없는 종성의 발음 문제, 종성 대표음의 발음 문제, 경어 활용 등등 더 많은 문제들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드라마에서 학습자들이 접하게 되는 동사/형용사의 형태들은 이미 여러 가지 형태 변화 과정을 거치고 난 것이어서 초급이나 중급 수준의 학습자가 그것을 보고 기본형과 그 어미를 분리해내는 일은 매우 어려운 일이기 때문이다. 또한 잘 분리해내었다 하더라도 그 어미가 나타내는 어감과 의미를 알아내기도 어려운 일이다. 예를 들어 학습자가 드라마에서 ‘하렴’, ‘하려무나’, ‘하게’, ‘해야지’ 등등의 표현을 접하고 그 어감과 의미의 차이를 알아내는 일은 상당한 노력이 필요한 일일 것이다. 그러한 노력을 덜어주는 것이 사전의 역할일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중국어 모어 학습자들은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사전을 찾고 싶어도 기본형을 분리할 수 없기 때문에 찾을 수 없거나 찾아도 사전에 나와 있지 않아서 답답하다는 불만을 토로하는 경우가 많다. 중국어 모어 학습자들의 학습 편의를 도와주고 궁극적으로는 중국에서의 한국어 학습 수준을 제고시키는 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중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어휘사전, 한국어 학습 사전, 그리고 한국어 역순 사전 등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본 논문은 기계 학습 기법 중에서 메모리 기반 학습을 사용하여 범용의 학습 가능한 한국어 문장 경계 인식기를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메모리 기반 학습 알고리즘 중 최 근린 이웃(kNN) 알고리즘을 사용하였으며, 이웃들을 이용한 문장 경계 결정을 위한 스 코어 값 계산을 위한 다양한 가중치 방법을 적용하여 이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문장 경 계 구분을 위한 자질로는 특정 언어나 장르에 제한적이지 않고 범용으로 적용될 수 있 는 자질만을 사용하였다. 성능 실험을 위하여 ETRI 코퍼스와 KAIST 코퍼스를 사용하 였으며, 성능 척도로는 정확도와 재현율이 사용되었다. 실험 결과 제안한 방법은 적은 학습 코퍼스만으로도 98.82%의 문장 정확률과 99.09%의 문장 재현율을 보였다.
Jin, Jae-Hee. 2004. Aspects of Teacher-centered Communication in Conversations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in the Korean Language Classroom.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12(2). This paper examines how and why asymmetrical relationships are constituted through verbal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Korean language classroom. According to van Dijk (1989), 'power' in institutions such as hospitals or classrooms is best conceptualized as ‘group power asymmetrical relations’ between groups. As is the case for institutional members, members of dominant groups may derive their individually exercised power from the overall power of the group to which they belong. Speakers often possess an institutional role and their conversations are backed by the power or authority of the institution. From this perspective, this paper examines how power is being exerted and assigned in conversation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Korean classroom. First, this research examined if the turns at talk for the participants (teacher and students) were equally distribu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eacher took about 50% of the total turns at talk, which is about eight times as many turns taken by each student. This indicates that the flow of classroom conversation starts from the teacher, or in other words, is teacher-centered communication. Second, this research considered inequality that occurs during problem solving meaning negotiation. Research results also showed that in 165 negotiated exchanges, over 85% were initiated by the teacher, which underscores the extremely asymmetrical instigation of conversation in Korean language classrooms. Student deficiencies in fluency and initiation, teacher questioning methodology and dialogue guidance, the teacher's almost exclusive right to choose the topic, the excessive adaptation of students to the classroom environment as well as the nationality of students were all factors contributing to this phenomenon.
When we closely look into Korean particle usage of Korean learners, we can find many misuses in Japanese language learners even if Japanese language has similar word order and particles structure as well as English Korean language learners whose language is different to Korean in language order and no particles struc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actual condition, how the Korean particles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 is being processed to make clear how various type of misuses in particles usage of Korean language learner are resulted from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locale, the correlation between manifold particles misuse and korean language learning contents in language learning locale. To bring these actual Korean particles education condition, firstly we are going to examine the frequent Korean particles misuse of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then compare the Korean education locale for particles. These comparison will be helpful to suggest the efficient method of Korean particles education to prevent misuse in Korean particles of learners and make good material for the meaningful learner centered education for Korean particles.
Hong, Eun-jin. 2004. An Analysis of Vocabulary Errors by Japanese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12(1). This paper examines vocabulary errors, especially focusing on replacement errors in writing, of Japanese who learn the Korean language. Through the analysis of these vocabulary errors in writing, it was found that the important causes of the errors are native language influence, target language influence, and educational curricula, etc,. This study attempts to explain the errors through a contrastive analysis of Korean and Japanes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presented with the error list, the error correction list, and the study list for objective research.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rrors with nouns that aren’t used in the target language are caused by the transfer of the native language. Second, errors with adverbs occurred in relation to sentence meaning rather than word meaning itself. Third, errors with number adjectives appeared in the combinations of ‘native Korean numeral + Chinese-origin noun’, or ‘Chineseorigin numeral + Chinese-origin noun’. The teaching of combination rules about these sequences will help Japanese learners of Korean to decrease these errors. Fourth, many errors with verbs and adjectives were found to come from meaning similarity that exists between the native and target languages. Fifth, errors with collocations were due to the transfer of Japanese to the target language and also to similarities in meani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 among Korean phonological processing skills, English vocabulary knowledge, and the learning of new English words in 6th grade children. The children were tested in phonological awareness, phonological short-term memory, and naming speed tasks, as well as English vocabulary and paired-associate learning of Korean-English word pairs. Most task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English vocabulary and paired-associate learning. In regression analyses, phonological awareness, short-term memory, and naming speed significantly predicted English vocabulary; and English vocabulary and naming speed predicted paired-associate learn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Korean phonological awareness, naming speed, and short-term memory are associated with English vocabulary knowledge and learning. These findings support the transfer of phonological processing skills across second languages.
본고는 한국 내 태국인 한국어 학습자용으로 편찬, 출판된 교 재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교재 현황을 살핀 결과 1998년부터 2010년 까지 출판된 4권의 교재가 선정되었고 교재의 특징과 내적, 외적 구성 분석의 결과는 태국인 학습자를 위한 교재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실시간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학부 교양 초급 한국 어 수업에서 강의식 수업과 플립 러닝식 수업을 실시하고 각 수업 방 식에 대한 학습자 인식 및 수업 효율성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ZOOM에서 8주간 각 수업 방식을 적용한 한국어 수업을 진행하고 사후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들은 강의식 수업보다는 플립 러닝식 수업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강의식 수 업에서는 ‘어휘 및 문법’ 영역, 플립 러닝식 수업에서는 ‘듣기, 읽기, 쓰 기, 말하기’ 영역의 수업 효율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에 실시간 온라인 으로 진행되는 초급 한국어 수업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업 환 경과 언어 영역의 특성을 고려한 혼합된 수업 방식이 필요할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 대학 한국어학과에서 개설된 한국문화교 육 관련 교과목과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에 대해 살펴보고, 한국어 전공 학습자들의 요구조사를 통해 한국문화교육에 대한 개선 방향을 제시하 는 데 있다. 그 결과, 중국 대학 한국어학과에서 한국 문화에 대한 교 육을 부족하게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비해, 한국어학과 재 학 중인 학습자들은 모두 한국문화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교육 내용 및 교수학습 측면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이를 바탕 으로 본 연구에서는 1) 교육 내용의 풍부성, 2) 교수 학습의 다양성, 3) 교재 내용의 실제성, 4) 학습활동의 실천성이라는 네 가지 개선 방향을 제시하여 중국 대학 한국어 전공 학습자들에게 보다 더 적합한 한국문 화교육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토대를 다루었다는 데 의의를 둔다.
이 연구는 베트남 현지 한국어 초급 학습자를 위한 ‘가다’, ‘오다’의 오류 양상을 토대로 적절한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것에 연구 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문헌 고찰을 통한 연구 현안 및 이론 적 배경을 확인하였고, 베트남어 ‘đi(가다)’, ‘đến(오다)’의 의미를 비교 하였다. 그다음 베트남 현지 초급 학습자의 쓰기 자료 46편(1,413어절) 을 분석하여 베트남인 현지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가다’, ‘오다’의 의 미적 오류 양상을 확인하는 양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로써 국내 베 트남인 학습자가 범한 오류와 비교하고, 앞서 확인한 내용을 토대로 현지 학습자를 위한 적절한 교육의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다면 페르소나 검사’를 통해 학습자의 성격이 한 국어 발음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자를 한국어 발음 능력에 따라 상·중·하위 그룹으로 나눈 후 다면 페르소나 검사를 실시하여 학습자의 성격과 발음 능력의 연관성을 살 펴보았다. 상위 집단 학습자의 경우 민감한 어린이 페르소나와 배려지 향 페르소나가 높게 나타났으며, 하위 집단 학습자의 경우 강함추구 페르소나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학습자의 성격이 발음 능력과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부분의 학습 결과는 교수-학습 과정에서 발생한다. 한국어 교육은 수업 활동을 포함하므로 교수-학습 방안을 살피고 그것의 효 율성을 점검하는 일은 대단히 중요하다. 교수-학습 방안은 크게 1) 학 습 목표 및 방법론 제시, 2) 학습자 또는 오류 분석, 3) 교수-학습 모 형 제시 및 수업 활동에 모형 적용, 4) 모형 또는 방안의 효율성 분석 단계로 구성된다. 본고에서는 효과적인 한국어 교육을 위해서는 효율 적인 교수-학습 방안이 필요함을 확인하고, 2011년-2022년에 걸쳐 발 표된 석사, 박사학위 논문 2,374편 가운데 교수-학습 방안을 다룬 366 편에 대해 위의 4단계 과정과 내용이 적절하게 기술되고 있는지를 살 폈다. 그 결과, 논문의 17%만이 네 단계의 과정과 내용을 만족하고 있 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을 위한 향후 연구가 보 다 실천적으로 변화되어야 한다는 의미로 이해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아프가니스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어의 단모음 오류 양상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어의 단모음을 음절의 위치에 따라 어두형, 어중형, 어말형으로 총 42문항의 어휘 목록을 작성해 청취 실험을 하였다. 오류의 양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의 단모음 /ㅓ/를 /o/로 대치하는 오류를 보였다. 둘째, 한국어 단모음 /ㅜ/를 /o/로 대치하는 오류를 보였는데, 이는 한국어의 단모음 /ㅜ/를 다리어의 /ʊ/나 /o/로 인식하고 있다고 분석하였다. 특이점은 다리어에 없는 한국어의 단 모음 /ɯ/에 대한 오류율이 낮았다는 점이다. 이 연구를 통해 아프가니스탄 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어려움을 겪는 한국어 단모음의 오류 양상을 분석하 여 그 특성을 밝힌 것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중국 내 대학 한국어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읽기 전략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읽기 능숙자 집단과 미숙 자 집단을 나누어 사고구술법을 활용하여 텍스트 유형별로 두 집단이 사용하는 전략 양상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집단이 설명문을 읽을 때 두드러진 차이를 보이지만 서사문을 읽을 때 전략 각 범주의 분포에서 두드러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능숙자 집단은 텍스트 유형에 따라 사용하는 읽기 전략에서 다른 양상이 나타나고 미숙자 집단은 거의 같은 전략을 사용하 는 경향이 도출되었다. 셋째, 능숙자 집단이 서사문보다 설명문에 더욱 뛰어나고 우세를 가졌지만 미숙자 집단은 설명문보다 서사문을 조금 더 빠르게 읽고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 글에서는 대만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운율단위에서의 음운 현상의 발음교육을 논의하였다. 단어 경계를 넘어서 하나의 운율단위 를 형성할 때 나타나는 경음화, 비음화, 격음화, 유음화에 대한 실현율 과 오류 형태를 분석하고 이를 표준중국어를 사용하는 학습자와 대조 하였다. 경음화의 실현율이 높은 반면에 비음화와 격음화는 낮고 유 음화는 매우 낮았다. 대만인 학습자는 운율단위를 이루지 못하고 단 어대로 발음하는 오류가 높았고 음절의 종성 자음을 발음하려는 경향 이 강했다. 이는 종성에 장애음이 있는 학습자의 모어의 영향인 것으 로 보인다.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대만인 학습자의 운율단위의 음운 현상과 관련해서, 운율단위의 음운현상에 대한 발음교육, 학습자 모어 를 고려한 발음교육, 운율단위를 구성하는 언어 자료를 고려한 발음 교육 등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