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77

        601.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임파워링 리더십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다차원 저항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에 활용된 자료는 서울과 경기도 지역 사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에는 396명으로부터 응답된 자료가 활용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임파워링 리더십은 건설적 저항과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력이 있으며, 역기능적 저항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다차원 저항(건설적 저항, 역기능적 저항)과 혁신행동의 관계에서 건설적 저항만이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셋째, 다차원 저항의 매개효과에서는 건설적 저항만이 임파워링 리더십과 혁신행동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구명되었다. 연구의 학문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임파워링 리더십과 다차원 저항유형의 관계를 규명하여 리더십 연구영역에 부하 저항을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둘째, 임파워링 리더십과 혁신행동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연구결과를 다양한 선제적 행동으로 확대할 수 있는 논리를 제공하고 있다. 셋째, 기존의 단일차원 저항연구를 다차원 저항으로 확대하여 저항의 긍정적 효과제시하고 있으며, 아울러 건설적 저항의 매개 메커니즘을 규명함으로써 이 분야의 연구 확대에 의미있는 정보를 제공해 주고 있다. 실무적 측면에서도 임파워링 리더 육성과 건설적 저항을 흡수할 있는 제도적 장치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5,800원
        60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도심에 있으면서 친환경적인 자연환경을 갖고 있는 유치원의 장점을 이용해 텃밭 가꾸기, 산책, 곤충 및 작은 동물 기르기 등 다양한 자연체험활동을 경험하는 과정에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증진이 어떻게 변화되는지에 초점을 두고 현장 연구를 진행하였다. 유치원 생활주제에서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자연체험활동을 연간으로 계획하여 운영하고, 유아들에게 좀 더 내실 있는 체험활동을 제공하고자 학부모 자원봉사자의 도움을 적극 활용하였다. 유아-유아, 유아-교사, 유아-학부모 자원봉사자간 자연체험활동을 매개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은 유아들의 상대방에 대한 배려, 공감, 도움주기, 협력하기 등 친사회적 행동을 증진 시켰고, 또래 간 관계형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더불어 유아들이 동·식물에 대한 호기심을 갖고 탐구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살아있는 동식물을 소중히 여기는 생명존중태도를 기를 수 있었다. 학부모 자원봉사자의 유치원 교육활동에 대한 직접적인 참여는 유치원 교육과정운영에 대한 학부모들의 이해를 높여 유치원과 가정과의 연계를 이룰 수 있었고, 학부모들의 유치원에 대한 신뢰가 높아져 유치원 교육활동에 대한 학부모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를 이끌어 낼 수 있게 되었다.
        4,900원
        603.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consumer behavior of coffee product according to monthly income in franchised coffee shop's consumer in Korea. A total of 293 questionnaires were used out of the 330 that had been distributed for analysis; those that lacked reliability were excluded. Frequency, ANOVA,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hypotheses of the study.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sumer behavior with regard to seeking health, eco-friendly products, product brand, and product taste as well as preferred coffee menu and coffee consumption expenditures. High income consumers rather than low income groups showed much higher score for concerning health, concerning diet, concerning calorie, concerning instant, concerning caffeine and concerning nature, organic in coffee consumer behavior. In amount spent on purchasing coffee products according to income, low income consumers rather than high income groups had much higher financial expense burden.
        4,000원
        604.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practice of dietary behavior and dining out in accordance with intake of sodium among male and female adults aged 20 years or older resid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or Chungcheong Province. A total of 53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from May to July, 2014. The SH group who responded that they eat a lot of sodium constituted 30.6% (158 people), followed by the SM group who responded that their sodium intake is about average at 55.7% (288 people) and the SL group who answered that they do not eat much sodium at 13.7% (71 people). Those in the SL group showed positive results for dietary behavior patterns. The SL group showed the lowest rate in terms of how often they eat harmful foods, including processed foods, sweet foods, salty foods, or food with high animal fat content such as pork belly. Positive results among the SL group were prominent in terms of avoiding over-drinking, regular exercise, and nutritional knowledge, indicating greater health management. The distribution of each group in terms of self-perceived sodium intak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age, gender, and household income in terms of frequency of fast food intake, regularity of meals, purchase of foods with consideration of sodium amount, frequency of missed meals, balance of food intake, and health management habits.
        4,000원
        605.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부정감정인 좌절에 주목하고, 좌절감정을 유발시키는 원인을 탐색하였으며, 좌절한 소비자가 좌절 을 극복하는 과정을 식별하고, 또 제품을 선택하는 경우에 디자인의 심미성 선호도의 제품선택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좌절은, 실패의 원인이 소비자가 통제할 수 있을 때 느껴지는 분노와 다르게, 목적달성의 실패가 확실하 고 실패의 원인이 소비자가 통제할 수 없는 환경요인에 있을 때 느끼는 것으로 탐색되었다. 둘째, 좌절을 느낀 소비자는, 재도전을 통해 실패상황을 적극적으로 극복하기 보다는, 자신의 실패상황에 대한 감정적 지지와 위로를 가까운 지인으로부터 받아서 실패상황을 감정적으로 극복하려 한다. 셋째, 좌절을 느낀 소비자는 제품의 선택 에서 제품의 디자인이 강조심미성 보다는 조화 심미성을 느끼게 할 때에 더 선호한다. 따라서 마케팅관리자가 좌절을 느낀 소비자에게 자신의 제품을 소구할 때에 제품 디자인에서 강조원리보다 조화의 원리에 의한 접근이 필요하다.
        4,600원
        606.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highlights the theme of human error of train drivers, conducting empirical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safety climates, safety behavior, and accident. The empirical test results based on questionnaires received from 223 train drivers working at A subway firm indicated that relationship conflict and psychological reward as the elements of organizational culture variable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EO philosophy, communication, and boss's leadership. And only boss's leadership showed a positive influence on safety behavior, which in turn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accidents.
        4,000원
        607.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construct the basic data of ground-scratching behaviors of Korean native dog, Jindo-Gae (Canis lupus familiaris) and to estimate the frequency of ground-scratching, especially natural and artificial environments. Ground-scratching rate of female and male dogs are 1 : 40.25. Ground-scratching after feacal-marking rate by male is 17.9 times higher than female. Ground-scratching behavior of jindo-Gae thought to a multiple sign combining visual and chemical elements. Native dogs thought to a missing link in dog domestication, thus behavioral comparisons between wolves and Korean native dogs are needed.
        4,000원
        610.
        201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상호작용공정성이 조직구성원들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사이의 관계에서 조직비전 인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호작용공정성은 중요한 연구주제 로서 상호작용공정성의 영향력과 상호작용공정성이 어떠한 상황적 조건에서 의미가 있는 지를 밝히는 것은 무척 중요하다. 상호작용공정성은 Colquitt(2001), Colquitt & Rodell(2011) 등의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대인관계공정성과 정보적공정성으로 구분하였다. 연구가설의 설정은 주효과 가설과 조절효과 가설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호작용공정성 중 정보적공정성은 혁신행동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인관계공정성은 유의미한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조직비전 인식은 혁신행동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직비전 인식은 대인관계공정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서 조절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정보적공정성은 조직구성원들의 혁신행동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혁신행동의 중요한 선행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조직비전 인식이 높은 경우에는 조직비전 인식이 낮은 경우에 비해 대인관계공정성이 높을수록 더욱 혁신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조직비전이 명료하며 이를 조직구성원들이 잘 공유하고 있다고 인식할수록 대인관계공정성의 긍정적 영향력은 더욱 확대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상호작용공정성이 혁신행동에 중요한 선행변수라는 것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조직비전 인식의 역할을 살펴봄으로써 조직비전을 조직구성원들에게 공유시키고 명료하게 제시하는 것이 대인관계공정성을 통해 조직구성원들의 혁신행동을 이끌어 낸다는 것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5,800원
        611.
        201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글로벌 경영환경 속에서 조직들은 점차 수직적 조직구조보다는 수평적 조직구조에서 조직관리의 해답을 찾고 있다. 이러한 경영환경의 흐름에 적응하기 위해서 조직들은 자신의 조직체계 전반에 걸쳐 조직의 유동성과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전통적인 계층관리구조보다는 자율관리구조 형태로 점점 대체해 나가고 있다. 이렇듯 수평적 조직구조 형태에서 자율성 강조가 점차 중요시되고 있고, 이러한 흐름 속에서 대두되고 있는 리더십이 바로 임파워링 리더십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 시대에 필요한 임파워링 리더십이 혁신행동 및 직무성과 사이에서 핵심자기평가를 매개변수로 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관점을 정리하고자 한다. 다시 말해서 상사의 임파워링 리더십과 부하의 행동과 직무성과 사이에서 부하의 핵심자기평가의 중요성을 특히 강조하려 했다. 이를 설문지 방식으로 조사하여 검증한 결과, 임파워링 리더십이 높을수록 핵심자기평가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핵심자기평가가 긍정적일수록 부하들의 직무성과와 혁신행동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도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임파워링 리더십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도 핵심자기평가가 긍정적인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200원
        612.
        2014.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espite over eighty percent of industrial accidents were caused by unsafe behaviors, most safety programs still focus on changing workers’ internal status such as thinking and attitude rather than directly changing safe related behavior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the basic concepts and procedures of Behavior-Based Safety (BBS) which originated in applied behavior science (ABS), BBS attempts to change safety related behaviors by manipulating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workers’ behaviors. Also this paper introduces several case studies conducted globally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These case studies highlight the procedures of BBS, their impacts on safety performance and accidents rate, and other business result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paper proposes new guidelines for safety management.
        4,000원
        613.
        2014.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너구리는 대표적인 식육목 개과 동물로서 국내 전역에 서식하는 종이다. 너구리의 경우 광견병의 매개체로 알려져 있으며, 광견병은 한강이북지역에서 주로 발생하였으나 최 근 인구 밀집지역인 화성시, 수원시에서 발생함에 따라 사 육 개를 비롯한 야생동물에 대한 백신 투여 등 막대한 경제 적 손실을 유발하였다. 광견병을 예방하기 위해 발생한 인 근 지역으로 방역범위 설정 및 매개체에 대한 지속적인 예 찰활동이 필요한 실정이다. 적절한 방역범위 설정을 위해서 는 너구리의 생태적 특성을 파악할 필요성이 있으며, 가장 기초적인 연구가 서식환경에 따른 행동권 파악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광견병 발생지역에 대한 적절한 방역범위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너구리의 행동권을 파악하기 위해 2013년 3월부터 2014 년 10월까지 수원, 화성, 안산, 안양 지역에서 너구리를 포 획, 야생동물위치추적기(WT-200)를 하였으며, 야행성인 너구리의 서식특성을 감안하여 활동이 활발할 것으로 추정 되는 시간인 매일 밤 8:00와 새벽4:00에 GPS 좌표를 취득 하였으며, 일주일에 3번(월, 수, 금) 관련 좌표를 송신 받았 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서식하는 환경에 따라 농촌지역(화 성, 안산, 평택-초지대, 농경지인접지역)과 도심지역(안양, 수원-도심생태하천, 도심공원지역)으로 구분하여 비교 분 석하였으며, 기온에 따른 행동권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동 절기(11월-2월)와 비동절기(3월-10월)로 구분하여 너구리 의 행동권을 분석하였다. 일정한 행동권이 없이 비정상적인 패턴(분산, 일정한 행동권이 없는 경우)을 보이는 너구리는 결과에서 제외하였다. 행동권의 분석은 ArcGIS 9.X 버전을 이용하여 최소블록 다각형(Minimum Convex Polygon)으로 분석하였으며, 돌 출된 비정상적 좌표(5km이상 이동)는 결과에서 제외하였 다. 분석된 자료는 비모수 검증(Mann-Whitney test)을 통해 두 집단 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농촌지역(n=7)은 평균행동권이 0.61±0.50㎢ (Mean±SD)였으며, 도심지역(n=4)은 0.61±0.44㎢으로 확 인되었으며, 비모수검증 결과 두 지역 간 유의한 차이는 없 었다(Z= -0.189, P>0.05). 따라서 농촌지역과 도심지역의 행동권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농촌지역의 너구리는 산림지대가 주변에 있을 경우 산림 지역과 접해 있는 임연부 지역에 주로 서식하였으며, 하천 변의 너구리는 주변 농경지와 하천을 번갈아 가며 서식하는 양상을 보였다. 도심지역 너구리는 도심생태하천의 경우 하천수계를 따 라 행동권이 형성되어 있으며, 간혹 아파트 단지까지 행동 영역으로 하고 있었다. 수원시 서호일대에 동일 지점에서 포획한 2개체의 경우 한 개체는 공원위주로 서식하였으며, 한 개체는 고립된 산림지역 위주로 서식하여 행동권이 겹쳐 지지 않는 양상을 보였다. 동절기와 비동절기의 행동권의 차이는 동절기(n=7)의 경 우 0.55±0.47㎢이었으며, 비동절기(n=9)의 경우 0.40±0.38 ㎢로 수치상으로는 비동절기에 다소 좁은 행동권을 보였으 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결과적으로 너구리는 서식환경(기온, 서식지역)에 따른 행동권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이는 좁은 공간에서 집약 적으로 활동하는 너구리의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선행문헌(최와 박 2006; 김 등 2008) 과의 비교에서도 본 연구결과와 유사한 결과가 확인되었다. 다만 농촌지역의 경 우 산림지역과 초지대를 병행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으 며, 도심지역의 경우 하천수변 지역, 공원지역 등에서 주로 활동하였다. 간혹 민가 인근(아파트, 건물)으로 유입되는 경 향이 있었으나, 주 활동지역은 사람과의 접촉이 드문 지역 이었다.
        614.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set of 16 nutrition education lessons on the eating behaviors and nutrition knowledge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target was a group of 128 boys in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in Changwon, who took the classes from the 29th of August, 2011, to the 17th of February, 2012. The education was performed for 16 weeks using the e-learning textbook, 'Health and nutrition of youth', and a teacher's guidebook develop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Students demonstrated significant changes in their knowledge about nutrition and in their dietary behavior due to the nutrition education, and the effects were observed to be maintained for one year after education. The average nutrition knowledge score before, immediately after, and 1 year after the educ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13.0 before the education to 18.8 after education (p<0.001), maintaining the score of 18.5 1 year later. The eating-related questions of 'I will practice healthy eating habits in life' and 'Nutrition education is necessary to build healthy eating habits', were given a high score by the students at the last survey conducted one year later. Of course, it is not easy to change the dietary behavior of students through dietary education in schools. Neverthel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such educatcan is necessary since the habits can indeed be changed, as observed in the present study.
        4,200원
        615.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male adult'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The subjects were 648 male adults aged from 20 to 59 and measuring instruments consisted of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subjects' demographics attributions. The data were analyzed by Cronbach's α,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multiple response analysis, cross tabs analysis, χ2 test, and t-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3 dimensions (body shame, body surveillance, and control belief) were emerged on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and subjec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objectified group, and non-objectified group) by this variable. Second, male adults were deeply aware of the need of appearance management, and showed the high level of intention to perform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hird, objectified group showed much more activ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han non-objectified group. This results concluded that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is a very useful variable to understand male adult'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4,600원
        616.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emotional dissona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prosocial behavior of fashion salespeople in department stores, and whether emotional intelligence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dissonance and prosocial behavior. Moreover, we aimed to suggest a method to improve the prosocial behavior of salespeople as a strategy to obtain a continuous competitive advantage in an increasingly competitive fashion distribution environmen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and 345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department store salespeople for the final analysis. First,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emotional dissonance of salespeople arose from their dealings with their organization and with customers. Prosocial behavior was deduced to be a factor of the cooperation with coworker and extra-role customer service. The emotional intelligence was deduced to be a factor of the use of emotion, regulation of emotion, self-emotion appraisal, and others'emotion appraisal. Second, with a higher level of emotional dissonance against the organization, there was less cooperation with coworker, while a higher emotional dissonance against customers resulted in increased cooperation with coworker. Third, it appeared that with a higher level of emotional dissonance against the organization, there was a higher utilization of use of emotion, self-emotion appraisal, and others'emotion appraisal of emotional intelligence. Fourth, as the regulation of emotion, self-emotion appraisal, and use of emotion were higher, there was more cooperation with coworker, whereas an increase in the utilization of one's own emotion and emotional control resulted in a higher level of extra-role customer service. Finally, emotional intelligence has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between emotional dissonance and prosocial behavior. The above results suggest that for department stores to improve the prosocial behavior of their sales staff requires the establishment of a method to enhance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staff.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there is a need for department stores to prepare a systemic tool to enable them to select people with a high degree of emotional intelligence when recruiting salespeople.
        4,800원
        617.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 eating behavior, physical ability and locomotion of 5-year-old-children, and thereby to provide the fundamental information necessary to develop a nutritionrelated physical education program. A survey was performed on 143 5-years-old boys and 113 gir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average score in the nutrition knowledge item, was 7.22 out of a possible 10 points; in the dietary attitude item, 32.46 out of 50 points; in the eating behavior item, 26.67 out of 40 points. According to body measuremen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height by gender (p<0.05), Significant differences in muscle mass and basal metabolic rate were also observed by gender (p<0.001). Gender also influenced the flexibility and reflexibility (p<0.001), with significant difference in balance of the right side (p<0.01). Although this study was limited by its cross-sectional study design, the body muscle (p<0.05) and basal metabolic rate (p<0.05) were observed to have a positive relation with nutritional knowledge.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utritional knowledge and dietary attitude (p<0.01). According to th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long-term and systematic program with the combination of nutrition and physical education to develop correct dietary habits and for the balanced growth of children.
        4,200원
        618.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돼지의 행동을 조사하여 정상행동과 비정상행동으로 구분하고 이들 중 동물복지 수준평가 기준으로 활용 가능한 행동형을 선별하였으며, 이들을 농장동물의 복지수준 평가시스템 구축을 위한 유용 파라미터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국내 대부분의 양돈장에서 채택하고 있는 임신돈 스톨과 분만틀을 사용하고 있는 관행농장과 임신돈군사와 분만틀이 없는 분만방을 사용하고 있는 동물복지형 농장에서 임신, 분만, 자돈 및 육성비육 등 4단계로 구분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총 92가지의 행동유형을 조사하였으며, 정상행동 57가지와 비정상행동 35가지로 분류하였다. 임신돈의 정상행동과 비정상행동은 각각 14가지와 8가지였으며, 대표적인 비정상행동은 스톨 내에서의 헛씹기, 철봉 물기 및 공격 등이었고 분만돈은 정상행동이 15가지, 비정상행동은 귀물기, 경련 및 공격 등 3가지였다. 자돈은 22가지의 정상행동과 17가지의 비정상 행동으로 조사되었으며, 대표적인 비정상행동은 괴롭히기, 밀어내기, 몸빨기, 짓밟기 등이었다. 육성비육돈은 정상행동 5가지와 괴롭히기, 밀어내기, 물기, 올라타기, 싸우기 등의 대표적인 비정상행동을 나타내었다.
        4,000원
        619.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among brand awareness, switching intentions, purchasing behavior, and revisiting intentions. Brand awareness consisted of three factors: brand image, physical environment, and affiliation of coffee brand. Good brand image was associated with reduced switching intentions, whereas negative image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switching intentions.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was most affected by interior decoration, including furniture, decorations, etc. Switching intentions ha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revisiting intentions. Finally, purchasing behavior and revisiting intention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s limitations, the only participants were university students, who are not representative of all consumers at coffee shops. Moreover, this study did not divide coffee shops into franchises and individually owned.
        4,000원
        620.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비벡터링(Bee-vectoring)은 벌을 이용하여 작물을 보호하는 기술이다. 꿀벌이나 뒤영벌(Bombus terrestris)이 모여 있는 벌통의 내부 또는 외부에 미생물제제를 담 은 분배장치를 설치하고 외부로 빠져나갈 때 미생물제제가 들어있는 분배장치를 통과하여 나가게 함으로써 수분 활동 시에 작물의 꽃이나 잎 부위에 미생물 제제를 퍼트려 병해충 방제에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 기술의 장점은 화분매개곤충들 의 방화활동을 이용하여 병해충 방제가 필요한 꽃이나 잎에 정확히 미생물 제제를 운반함으로써, 수분활동에 의한 농작물 수량증대 및 품질향상의 이점과 더불어 병 해충의 효과적인 방제를 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제제를 효과적 으로 뒤영벌의 몸에 묻힐 수 있는 분배장치를 자체 제작하고 분배장치 유무에 따른 뒤엉벌의 시간 당 출입 비율을 비교하였다. 출입 비율은 뒤영벌이 가장 많이 활동하 는 오전 6시부터 오후 10시까지의 행동을 조사하였다. 분배장치와 미생물제제인 토박이(비티아이자와이엔타 423 수화제, 동부하이텍)를 설치하였을 경우 뒤영벌 은 시간당 평균 18.8회 나오고 평균 18회 들어가는 행동을 보였다. 분배장치만 설치 하였을 경우, 평균 21.6회와 24.2회의 출입 행동을 보였으나 분배장치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시간 당 평균 35.2회와 43.4회 출입 행동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