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56

        501.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루터가 가르친 인간의 죄에 대한 제어로서 하나님의 숨어계 심의 세 종류를 제시하고, 한국 개신교에 대한 적용점을 살펴보기 위한 것 이다. 루터에게서 하나님은 첫 번째로, 신자에게는 자신을 드러내시지만, 불신자로부터 자신을 숨기신다. 참된 기독교 신자가 되는 길은 성령의 도 우심 가운데 율법과 복음을 바르게 이해하는 데 있다. 두 번째로, 하나님은 영광의 신학자로부터는 자신을 감추시지만, 십자가의 신학자에게는 자신을 드러내신다. 신자는 탐욕을 추구하여 하나님을 우상화 하는 영광의 신학을 버리고, 인간의 죄를 드러내고 극복하게 하는 십자가의 신학을 가질 때 참 된 하나님을 섬길 수 있다. 세 번째로, 하나님은 모든 신자로부터 숨어계신 다. 참된 신자는 숨어계신 하나님의 위엄을 알고, 하나님의 계시하신 뜻을 붙드는 신앙을 가져야 한다.
        502.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research, we reappraise saemaul project which is a leading role of rural development in a present perspectives and deduct soci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for rural development. For deducting problems and implications, related documents and previous researches are reviewed. Administration statistics are also gathered and analyzed for monitoring detailed projects propulsion progress and results. Samaul project is reappraised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such as rural development, regional agricultural production system improvement, agricultural distribution system improvement, leader breeding, income improvement, and governance. Saemaul project has basically positive characteristics because of decreasing growth gap of urban and rural area by empowering cooperation of rural residents, instilling leadership, making village fund, constricting networks of government and urban area for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assistant. In conclusion, there are implications that continues interests of most powerful sovereignty and comprehensive assistant of government are needed for overcome agricultural and rural crisis. Saemaulundong is a united and systematic approach in village level. In south korea where most of farms are small size, village or regional level assistants started in saemaulundong are still needed. In regional development, we can infer that will and ability development of participated residents are most basic and important factors for successful project propulsion in saemaul project.
        503.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늘날 CI 및 BI의 중요성은 기업경쟁력차원에 있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기업아이덴티티 시스템은 기 업의 이미지를 표상하는 모든 것에서 정립되어야 하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시각적 아이덴티티, 즉 VI(visual Identity)이다. 본 연구는 현대중공업 그린에너지사업부의 VI 시스템 개발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하며, 이는 현대중공업 그린에너지사업 부의 Identity와 일치하는 고퀄리티 디자인의 창출을 통해, 그린에너지사업부의 비전을 표명하고, 향후 카탈로그/광고/전단 /배너/전시 등 모든 제작물을 체계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이다. 현대중공업 그린에너지사업부의 VI 시스템 개발은 국내외 사례를 바탕으로 한 디자인 성향 조사를 기반으로 사업부의 이 미지와 사업분야에 상응하는 것으로 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사업부의 성장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게 될 것이다. 이를 위해 자연/에너지/글로벌/첨단의 키워드를 바탕으로 총 8개의 디자인모티브를 개발하였으며, 디자인모티브의 활용범 위를 전체 레이아웃의 20% 이내로 한정하고, 서체규정과 컬러규정, 용지규정을 통해 카탈로그/광고/전단/배너/전시/판촉/ 웹 등 다양한 응용시스템의 활용방안을 마련하였다. 이번 연구는 각 기업에 VI 시스템의 도입을 촉구하는 좋은 사례가 될 것이며, 추후 기업성장과의 연계성을 통해 아이덴티 티 디자인의 효과에 대한 심화연구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504.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늘날 기업의 아이덴티티 유지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은 널리 인식되어 있는 상태지만, 아이덴티티의 범위를 CI(Corporation Identity)와 BI(Brand Identity)로 한정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아이덴티티 시스템은 기업의 이미지를 표상하는 모든 것에 서 정립되어야 하며 그중 대표적인 것이 시각적아이덴티티, 즉 VI(Visual Identity)이다. 현대중공업은 총 6개사업본부(조선사업본부, 해양․플랜트사업본부, 엔진기계사업본부, 전기전자시스템사업본부, 그린에너지 사업본부, 건설장비사업본부)로 구성된 기업으로서, 조직이 거대해짐에 따라 각 사업본부가 독자적인 마케팅구조를 가지고 있다. 각각의 사업본부는 필요에 따라 브로슈어, 카탈로그, 판촉물 등 여러 가지 제작물을 제작하고 있으나 전체적인 아이 덴티티의 통일성이나 그룹 이미지 제고와는 관련없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VIS(Visual Identity System)의 확립은 각 사업부를 현대중공업이라는 큰 틀안에서 아이덴티티를 유지하고 체계적인 마케팅을 진행할 수 있는 기준이 되어줄 것이다. 또한, 현대중공업이라는 아이덴티티를 유지하면서도 각 사업부들의 운영에 불편함이 없도록 OVIS(Open Visual Identity System)을 함께 도입하고자 한다. 현대중공업 VIS의 개발은 국내외 사례를 바탕으로 한 디자인 트렌드 조사를 기반으로 현대중공업의 이미지와 사업 분야 등 기업이미지와 상응하는 것으로 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현대중공업의 각 사업본부는 현대중공업그룹의 브랜드파워를 효 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특히 이번 연구를 통해 도입된 VI 시스템과 OVI시스템의 융합은 아이덴티티의 영역을 넓히고 국내 기업들의 성장을 돕는 좋은 사례가 될 것이며, 추후 다른 기업의 OVI 시스템에 대한 보강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505.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일본은 칠기의 나라로 알려질 만큼 옻칠의 사용이 보편화되어있는 나라다. 옻칠을 예술적으로, 혹은 일상생활용으로 사용 하고 있는 나라들 중 일본이 차지하고 있는 위상은 독보적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 소문자로 japan이 칠기를 의미하는 것 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일본이 어떻게 자신들의 옻칠문화를 지켜왔는지, 또 매스미디어로 대표되는 현대 사회에 적응해나가는지에 대하여 사례중심으로 살펴보려 한다. 전통을 고수하는 것만이 전통문화의 보존이 아닌 것이기에 일본의 경우를 참고하여 한국의 반면교사로 삼으려는 바이다.
        506.
        201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osaewon and Villa D’este were built in the early of 16th and mid-of 16th each. Sosaewon was built based on the accommodation of topography of the surroundings whilst Villa D’este highlights the distinction of terrace and axis existed on the configuration of the grounds and natures. Both gardens have reflected the social and political influence in that period of constructing tat the builders had been through. These factors have been analyzed by iconological methodology to interpret the inherent meaning of the garden in philosophical, mythological, religious and Feng-shui context and discovered the interconnected relations between two gardens. The characteristic of Sosaewon’s space is based on the Mu-yi-gu-gok, which is derived from a Taoist, due to a builder’s Neo-Confucianism value. Hence Sosaewon contains the adaption of the nature itself based on the values of Mu-yi-gu-gok, which are expressed by visual, auditory and literary elements, brining about the poetic beauty of waiting. The structures of Villa D’este reveal the combination of nature and art whilst it also connotes the theme of ‘The Choice of Hercules’, indicating the builder’s philosophy and will symbolically. Each space of Villa D’este has diverse space for various interpretations followed by this theme. For the interpretation of meaning of Sosaewon and Villa D’este, Sosaewon has adapted the nature of surroundings which contain a view of nature, on the other hand, Villa D’este borrowed the nature of surroundings to build and decorate the garden, using natural terrace and axis for the variation, and drag the river near the garden artificially to fit into the axis of the garden. Villa D’este contains significant mythological and iconological factor intended to highlight the builder’s dignity, status and position.
        510.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공연문화시설에서의 고령 인구의 특성을 고려한 피난계획을 수립 및 평가하였다. 현재 우리 사회는 2014년 10월을 기준으로 65세 이상 고령 인구의 수가 총 인구수의 약 12.7%를 차지하고 있다. 서울시 노인 욕구 만족 결과를 살펴보면, 고령 인구의 여가시간 활용 분석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항목은 문화 및 영화 관람이다. 그러나 실제 국내 공연문화시설에서의 피난계획은 일반적인 건축법과 소방법에서의 피난성능만을 고려한 설계이며, 고령 인구의 인지능력과 행동특성을 고려한 피난계획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서울지역의 영화관을 선정하여 공연문화시설에서의 고령 인구의 인지능력을 측정하여 비교하고, 인지특성을 설문을 통해 살펴보았다. 또한, 일본건축센터에서 사용하고 있는 건축방재지침에 의한 수리계산으로 고령 인구의 행동능력을 고려하여 화재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피난 안전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고령 인구의 인지특성과 신체적 특성을 고려하여 비상 시 피난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앞으로 공연문화시설을 이용하는 고령 인구의 인지능력과 행동 특성을 고려하여 비상 시 안전하게 피난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추어져야 한다.
        512.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대한자의 구형분석 과정에서 가장 기본적인 작업은 구형단위의 설정이고, 그 구형단위를 어떤 기준으로 설정하느냐가 큰 문제로 대두된다. 특히, 簡化 이후의 한자를 분석대상으로 삼고 있는 현대한자학의 입장에서는, 고문자계통의 자형 및 예변 이후의 해서체 자형과의 괴리 현상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밖에 없는 계통성과 현실성 문제로 인한 충돌을 피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까닭으로 인해, 현대한자학에서는 전통적으로 없었거나 사용하지 않던 새로운 개념과 용어들이 속속 등장하게 되었고, 중국의 어문정책을 관장하는 국가기관에서는 이러한 현실을 수용하여 각 종 ‘규범’들을 제정하여 공포하고 있다. 이들 가운데 구체적인 구형분석과 관련된 내용들을 수록하고 있는 규범성 문건은 모두 4개가 있다. 본고에서는 이들 ‘규범’에서 수록하고 있는 내용들과 구형분석결과가 ‘규범’에 따라 相異하게 제시되고 있는 문제점들을 비교、분석하여 그 得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用語와 관련해서는 結構理據(字理)、部件、拆分 등의 새로운 용어들이 규범용어로 자리 잡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게 되었다. 또한, 4개 규범에서 서로 다르게 제시하고 있는 5개의 부건표를 비교、분석한 결과, 아래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규범의 제정목적에 따라 도출되는 내용은 달라질 수 있다. 둘째, 각각의 규정제정에 참여하는 구성원의 학문적 견해의 차이로 인한 분석결과의 異同 역시 작은 문제가 아니다. 셋째, 동일한 인원들이 참여하더라도 제정원칙 또는 세부규칙 중의 일부만 수정되더라도 그 결과는 크게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장차 우리 정책당국 및 학계에서 한자교육을 위한 관련 규범화 작업을 시도할 때 소중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513.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at reviewing satisfaction on facility modernization project of traditional market by case study on integration & move method of 2 markets (Seongbuk 5 day market & Geumgye daily market). Following this study, it asked 182 merchants & customers at Naju Moksagoeul Market about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on integration & move and the facility modernization project of traditional markets. According to results of the survey, not only merchants but also customers are satisfied with the modernization project. But in detail, valuations between 5 days market and daily market, and between merchants and customers are different. For example, merchants regard as negative, but customers as positive about move of the markets from city to outside. About half of respondents answer that number of market visits and sales volume after move of the markets are higher than before. More than 80% of respondents answer that culture & tourism market programs are helpful to the market revitalization.
        517.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오늘날 유학은 그 존립의 심각한 위기를 맞고 있다. 공자가 요순시대를 이상으로 생각하면서, 주나라의 주공이 만든 통치체계를 모델로 하여 정립한 것이 유학이다. 유학자는 경전과 육예에 밝으면서 여러 형태의 의례를 집행하는 사람으로 정의되었다. 공자로부터 유학의 목적은 ‘극기복례’로 규정되었고, 이후에는 이 개념이 ‘수기치인’과 ‘내성외왕’으로 확대되었다. 내면적 인격을 완성하고, 이를 통하여 이상적 정치를 구현하자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이념은 왕조시대의 통치논리를 정당화 하는 것이지, 오늘날의 민주주의 체제에는 맞지 않는다. 본고는 유학의 현대적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한 하나의 모색이다. 전통적으로 유학은 중용을 중요한 덕목으로 간주하였다. 그러나 필자는 공자 이전의 유학은 ‘황극’을 가장 중요한 덕목으로 여겼으며, 공자로부터 ‘중용’이 강조되면서 커다란 변신을 가져왔다고 본다. 이에 대해서는 북송시대의 승려인 계숭이 파악한 유학의 본질에 대한 관점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그 또한 왕조시대의 인물이었으므로 일정한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필자는 오늘날 유학은 새로운 변신이 필요하며, 그 중심에 근본 덕목의 변화가 요구된다고 보면서 이를 ‘大公’으로 제시한다. 정치의 형태에 따라 고대 요순시대에는 천자가 중심이 되어 ‘황극’에 의지해 ‘덕화’를 시행하였으며, 공자 이후로는 사대부가 중심이 되어 ‘중용’에 의지해 ‘교화’를 시행하였다고 파악한다. 그리고 오늘날은 국민 모두가 중심이 되어 ‘대공’에 의한 ‘同化’가 시행되어야 하며, 그 세부절목의 마련이 필요하다고 본다. 유학이 꿈꾸는 이상사회는 ‘大中至正’한 사회이다. 어느 편으로도 치우치지 않고 모두가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더불어 조화롭게 살아가는 사회를 의미한다. 이러한 사회는 민주주의의 공화국 체제에서 가장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유학의 역할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예의의 강조이다. 각종 제례에서의 예의는 이미 기능을 상실하고 있다고 할지라도, 가정과 사회에서의 공공예절은 어느 시대에나 필요한 것이다. 오늘날의 유학이 스스로의 존속을 위한 정체성의 확보를 위해서는 예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현대사회에 필요한 예의 절목을 마련하여 모두가 함께 지키도록 홍보하는 일이다.
        518.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현대 웨딩화훼장식의 통일성(Unity) 표현기법에 대한 인식과 선호도를 일반인과 전문가에게 설문하여 비교분석하였다. 통일성 표현기법의 개념을 인식하고 있는 경우는, 일반인 집단에서 인식하고 있는 경우는 로 전문가 그룹이 통일성의 개념에 대하여 화훼장식전문가 그룹과 일반인 그룹의 인식에 대한 집단의 인식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웨딩 화훼장식의 표현기법에 있어서 통일성에 대한 중요성 인식 정도는 전문가 그룹이 일반인 그룹 보다 더 높았다. 통일성 표현기법을 사용한 웨딩화훼장식의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화훼장식가와 일반인 모두 통일성 표현기법의 웨딩화훼장식을 선택하였다. 오브제의 통일성을 이룬 화훼장식을 선택한 그룹은 이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는 오브제를 전체 웨딩 화훼장식과 통일시킨 경우에 있어 선호 경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오브제 통일이 되었을 때 전체적으로 일체감을 이룬다는 이유를 가장 많이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급스럽고 세련됨이 였고 유니크 하면서도 로맨틱하다는 이유가 였고 유행하는 스타일로 나타났다. 색채의 통일성을 이룬 화훼장식을 선택한 그룹은 91%(143명)이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는 9%(14명)로 나타났고 색채를 통일시킨 것을 선택한 이유로는 고급스럽고 세련됨이 가장 비율이 높았으며 유니크 하면서도 로맨틱하다, 고급스럽고 세련된, 유행하는 스타일 순으로 나타났다. 화훼소재의 통일성을 이룬 사진을 선택한 그룹은 83%(130명)이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는 17%(27명)로 나타났으며 화훼소재를 전체 화훼장식과 통일시킨 경우에 있어 선호 경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520.
        2012.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tries to illustrate that oral history can open a new prospect in the field of a Korean church history, a modern history of Korea, and World history. Firstly, this paper deals with theoretical approach about oral history. A basic direction of oral history is to supplement establishing materials and to make people’s memories be historical. Furthermore, oral history aims at new historical fields through enlargement of interviewees and reflection on philosophy of history and historical theory. General historians overlook a religious inner side easily. However that is a mistake of ‘process-reduction.’ Oral history is an alternative overcoming that kind of mistake. Especially oral history of religion is a historical method to discover new histories by their own confess-language differed from the fact-language and the interpret-language. Secondly,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oral history of religion probes many varieties of historical layer, focusing on the Christians who were participated in the Korean pro-democracy. Christian democratizers played a leading role under the military dictatorial government. Moreover, they consolidated not only people in many fields such as religion, press, student, judicial officer circles and so on nationally, but also compatriots overseas. Outside of those, this paper prefigures a possibility of enlargement of oral history by illustrating examples of various historical layers. Finally, the present writer finishes, giving discourse assignments to the readers. One is to reflect the way of sharing memory. If the survivors passed away, their experiences become extinct. In order to overcome that crisis, a oral history needs to be investigated, searched for the way of sharing memory. Another is to reflect on a position of a oral history between micro-history and macro-history. A oral history is located in the context of micro-history. Nevertheless, it is important to work a oral history having a mind to criticize individuality and generality in micro and macro dimension.
        26 27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