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의미적 속성을 가진 시각과 청각자극 간의 SOA(stimulus onset asynchrony)가 시청각 통합 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시청각 통합 현상 중 표적을 의미하는 자극의 양상이 두 개 이상인 경우 표적에 반응이 빠르고 정확한 중복 표적 효과(redundant target effect)와 청각 자극에 비해 시각 자극에 대한 반응이 빠르고 정확한 시각 우세성 효과(visual dominance effect)를 중심으로 살펴보기 위해서 시각과 청각 단일 양상 표적 조건과 다중 양상 표적 조건을 구성하여 조건들의 반응시간과 정확률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시 청각자극의 SOA가 변하더라도 중복 표적 효과는 이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자극 간의 SOA가 100ms 이상인 조건에서는 청각자극의 우세현상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중복 표적 효과의 경우 두 양상자극 간의 SOA가 변하더라도 안정적으로 지속된다는 점을 시사하며, 청각자극의 경우 시각자극에 비해 약 100ms 이상의 시간적 이득조건이 마련되었을 때에 비로소 우세한 정보처리의 행동결과가 도출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Gas turbines for power generating operate in a very high temperature condition and use natural gas for fuel. For this reason, many cases of damage happen at hot gas parts which are severely affected by high temperature gas and many cases of explosion occur by fuel gas. So a lot of efforts should be made to prevent hot gas parts damage and gas explosion accidents. Though there are many damage cases and explosion accidents,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out the root causes of hot gas parts damage caused by gas explosion due to gas leakage in the heat exchanger for air cooling and gas heating. To prevent gas turbine from damage caused by gas explosion, removal of leakage gas from gas turbine is inevitably required before firing the gas turbine and installing alarm systems is also required for detecting gas leakage at stop valve to turbine while shut down.
The vibration control of a flexible rotor supported on cavitated short squeeze film dampers is investigated. According to Pan's theory, the shape of cavitation in fluid film bearings depends on the level of oil supply pressure, as a result, both the direct and the cross coupled damping coefficients of a cavitated short squeeze film damper are varied widely. In this paper, controling the level of oil supply pressure by fuzzy theory, a significant reduction in journal eccentricity ratio, rotor amplitude and force transmissiblilty of a flexible rotor system is achieved.
본고는 현대 사회에서 그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영상 중심의 사회적 소통방식이자 결과인 영상커뮤니케이션을 연구하는데 있어 현상학과 기호현상학의 적용가능성을 하나의 이론적 관점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고찰했다. 이를 위해 본고는 커뮤니케이션이 특정 표현형식과 의미내용을 담고 있는 기호 체계를 통해 이루어질 경우, 커뮤니케이터의 내적 경험세계를 바탕으로 형성되는 인식 체계를 연구방법으로 활용 할 수 있기 때문에 개별 현상과 상황마다 각기 다른 시각의 상호주관성이 개입될 수 있음을 전제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영상커뮤니케이션 연구는 커뮤니케이션의 주체와 객체 사이에서 영상이 지향되는 방식에 대한 커뮤니케이터 내부의 인식과 영상기호를 통한 일상적인 경험세계를 이론적 배경으로 하는 현상학과 기호현상학의 범주 안에서 전개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연구자와 연구대상 사이에 최소한의 정보적 공유나 정서적 공감이 없다면 커뮤니케이션이 쉽지 않다는 점을 영상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전제로 설정할 수 있으며, 영상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해와 해석의 과정이란 결국 영상을 중심으로 발생하는 특정 현상에 대한 이해의 불확실성과 해석의 불완전성을 해소하는 것이라는 점을 논증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르면, 영상커뮤니케이션에서 영상으로 재현되는 연구대상의 현실감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발견되거나 발생된 현상 자체를 설명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지구과학 탐구 대상은 다른 학문의 탐구 대상과 달리 거대한 시 공간적 규모, 접근 불가능성, 통제 불가능성, 복잡성 등을 지니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지구과학의 탐구 대상을 실험실 내에서 실제 조작을 통해 탐구하는 것은 매우 어렵거나 심지어 불가능하다. 따라서 지구과학에서는 실제 조작을 하지 않고도 탐구를 할 수 있는 대안이 필요하다. 실제 조작을 하지 않고 탐구를 수행하는 대표적인 탐구인 사고실험으로부터 추론의 역할을 재조명하고 추론을 사용한기존의 탐구 수업 모형들의 특징을 조사하였다. 각 탐구 모형들을 지구과학에 적용하는데 있어서의 시사점을 살펴보고 이들을 바탕으로 지구과학적 현상의 탐구에 적합한 추론 중심 탐구수업 모형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갤로핑/플러터와 웨이크 갤로핑과 같은 공력불안정현상을 이용한 에너지 수확 장치에 대한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서, 작은 규모의 에너지 수확 장치를 설계 및 제작하였고, 이 장치들의 효율성과 효과를 증명하기 위한 일련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시험 결과로부터 공력불안전형상(갤로핑/플로터 및 웨이크 갤로핑)을 이용한 에너지 수확 시스템의 적용 가능성이 증명되었다.
Gas turbines generating power operate in high temperature condition and use natural gas as fuel. For that reason, there are many cases where damage is done to the hot gas parts caused by the high temperature and many accidents occur like gas explosions, then various efforts are needed to maintain the hot gas parts and prevent accidents. It is difficult to find the root causes of damage to the hot gas parts from the gas explosion caused by gas leakage through rotor cooling air line from fuel gas heat exchanger during the shut down. To prevent gas turbine from damage, removal of gas leakage inside of gas turbine is required by purging the turbine before firing, improving the fuel gas heating system and installing alarm systems for detecting gas leakage from stop valve to turbine while the gas turbine has shut down.
지구과학 분야에서 대기와 해수의 운동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개념인 전향력의 이해를 돕고자 전향력 실험장치를 개발하였다. 기존의 교과서에 제시된 전향력 실험 장치는 구슬을 내려 보내는 굴림대가 회전원판과 함께 회전하지 않으므로 구슬의 궤적을 이용하여 지구 위에서 전향력에 의해서 일어나는 대기나 해수의 운동을 바르게 설명할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여 굴림대(빗면)를 원판에 부착하여 원판과 함께 회전하면서 구슬을 보낼 수 있는 새로운 실험 장치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장치와 기존의 장치를 사용하여 전향력 실험을 각각 실시하여 교과서의 실험 장치와 개발한 실험 장치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교과서의 실험 장치는 구슬이 원판에 부딪히는 순간에 운동이 매끄럽지 못하여 구슬의 궤적을 분석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던 반면에 개선된 실험 장치는 구슬의 궤적을 분석하기 쉬웠으며, 구슬의 속도를 다르게 할 수도 있어서 구슬의 속도가 다를 때 궤적을 서로 비교하는 것이 용이하였다.
In this study, we aimed to determine whether the evaluated markers of cell death could be found at particular developmental stages of normal porcine in vitro fertilization (IVF) embryos.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spontaneous and induced apoptosis during preimplantation development stages of porcine IVF embryos. In experiment 1, to induce apoptosis of porcine IVF embryos, porcine IVF embryos at 22h post insemination were treated at different concentration of actinomycin D (0, 5, 50 and 500 ng/ml in NCSU medium). Treated embryos were incubated at in 5% , 5% for 8h, and then washed to NCSU medium and incubated until blastocyst (BL) stage. We examined cleavage rate at 2days and BL development rate at 7days after in vitro culture. A significantly lower rate of cleavage was found in the 500 ng/ml group compared to others (500 ng/ml vs. 0, 5, 50 ng/ml; 27.8 % vs. 50.0%, 41.2%, 35.9%), and BL formation rate in 500 ng/ml was lower than that of others (500 ng/ml vs. 0, 5, 50 ng/ml; 8.0% vs. 12.6%, 11.2%, 12.6%). In experiment 2, to evaluate apoptotic cells, we conducted TUNEL assay based on morphological assessment of nuclei and on detection of specific DNA degradation under fluorescence microscope. This result showed that apoptosis is a normal event during preimplantation development in control group (0 ng/ml actinomycin D). A high number of BL derived control group contained at least one apoptotic cell. Actinomycin D treated BLs responded to the presence of apoptotic inductor by significant decrease in the average number of blastomeres and increase in the incidence of apoptotic cell death. In 500 ng/ml group, the incidence of apoptosis increased at 4-cell stage and later. This result suggested that apoptosis is a process of normal embryonic development and actinomycin D is useful tool for the apoptosis study of porcine preimplantation embryos.
1999년 10월, 12월의 국립수산과학원 정선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수온역전 현상이 성층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10월, 12월 모두 수심 25-75m 사이에서 수온역전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며, 12월에는 표층 부근에도 수온역전현상이 나타났다. 고온, 고염분수인 쓰시마난류의 수평 이류가 10월, 12월에 나타나는 수온역전현상의 주원인으로 작용하며, 12월에는 연안역에서 외양역으로 수송되는 차가운 표층수의 영향이 함께 작용한다. 10월에는 북풍이 지속적으로 불지만 남해연안수가 외해역으로 확장하는 현상이 뚜렷하지 않는 반면, 북서풍계열의 풍속이 강해지고 쓰시마난류의 세력이 약해지는 12월에는 남해연안수가 상층부를 통해 외해역으로 확장하면서 수온역전현상을 나타나게 한다. 10월과 12월 모두 수온역전현상이 발생하는 해역을 따라 성층의 변동폭이 크게 나타난다.
asically, a current sensor is consisted of ferromagnetic core, coil and magnetic sensor. To measure alternative current, 2 methods are existed. The first method is measurement of the induced elect개motive force of coil, which is wired in ferromagnetic core. The second measurement method is utilized with the magnetic sensor, such as hall effect sensor. However, those methods have some problem. This paper introduces the development of direct current sensor using magnetostriction. Principally, magnetostriction is the phenomenon of expansion of contraction when ferromagnetic core is placed in an alternating magnetic field. This induced electromagnetic induction and the direct current can be measured such as measurement of alternating current.
21st century post digital society orients co-existence, fusion, and blurring boundary than conflict, differentiation, and boundary, and makes a try liberal combination of various different objects. Furthermore, radical development of science and digital equipments offer technical possibility that could combine various fields. Hence, many different departments demolish their boundary, and combine for development of multi-functional and complex shape’s products. For job-nomads, fashion attempts to combine with architecture, furniture, daily necessities, and digital equipments spontaneously. This paper aims at consideration about the blurring phenomena expressed in complex fashion space of 21st century throughout empirical fashion photographs analysis, which show combination among fashion and various different fields. Blurring boundary phenomena of complex fashion space are classified with 4 parts as follows as: 1) furniturizing, 2) wearable dwelling, 3) lumiduct, 4) becoming fashion. Each parts are examined 8 aesthetical characteristics such as movement and lightness, hyper-link and openness, immateriality and inter-activeness, and diversity and ambiguity. 21st century fashion has changed more simple and light, and creates new form throughout combination with many other fields, and enlarges its function and sphere. I think this paper would help certificating practical use of fashion space as multiple and complex space, and makes contribution to forecast about fashion development of the future and offer inspiration about creative and innovative fashion design.
The polarizing images of hard tissues including bone and cementum show characteristic features of different birefringence fortheir microstructures. Nevertheless, the clear mechanism of the amplified birefringence under polarizing microscope has not been well understood. We hypothesized that the unique polarized light could be accumulated in the microtubules due to the decreased refractory angle by the inside lower-density matrix, and then the accumulated light in the microtubules could be dispersed brightly. In order to elucidate the polarizing effect on the microtubules, the dentinal tubules in different conditions were observed, and compared with each other to explain their birefringence phenomena. In the decalcified sections of normal tooth, the dentinal tubules located near the pulp chamber showed strong birefringence, while the sclerosed dentinal tubules near the dentino-enamel junction did not show the birefringence. The birefringence was more conspicuous in the longitudinal sectionsof dentinal tubules than in the cross sections. In the decalcified sections of complex odontoma, which produced abnormal and immature dentinal tubules, the birefringence was not observed in the shrunken dentinal tubules filled with dense materials, while the peritubular matrix showed clear birefringence. The birefringence was also observed in the collagen fibers in the connective tissue, and continuously strong in the immature cemental materials containing precollagen fibers. However, the highly mineralized osteodentine did not show the birefringence. Taken together, these data suggest that the microtubules composed ofless-dense matrix than the background tissue, i.e., dentinal tubules, Haversian canals, etc., produce the amplified birefringence by the polarizing light according to the hypothesis of microtubule refraction.
연속류도로 합류영향구간에서는 본선과 다른 교통특성을 가진 연결로교통류의 합류로 차로변경 및 가감속과 같은 차량간의 불규칙한 상호작용이 발생하여 교통류의 난류현상을 야기한다. 따라서, 난류현상은 운행상태를 고려하여 연속된 지점간의 불안정한 교통특성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합류영향구간에 차로-지점별 검지기를 설치하여 시공간적으로 연속된 교통자료를 구축하였으며, 지점간에 유의한 속도변화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최소유의차(LSD) 통계값을 산정하여 난류현상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합류영향구간 난류현상은 운행상태에 따라 발생권역 및 심각도가 변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난류현상에 의한 최대 합류영향권역은 교통량이 증가하는 혼잡전 운행상태에서 보여지며, 속도변화특성에 따라 상류 100m~하류 100m의 "감속구간"과 하류 100m~하류 400m의 "감속속도유지 및 가속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This study set three kinds of situation and observed the various states such as carbonization by experimenting damages by fire of electric ir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ire did not occurred when the unpowered iron over mattress and cotton shirts was com busted completely by external flame because the temperature of surface of soleplate and mattress did not reach the minimum ignition energy and when the powered electric iron over mattress and cotton shirts was left for an hour with its temperature dial set to high because the temperature of combustibles did not reach the minimum ignition energy. The fire occurred when the electric iron in which the outer box, bi-metal switch, and temperature fuse were removed over mattress and cotton shirts was powered by through heater terminal, and then the electric iron, mattress, and cotton shirts were combusted by the fallen combustibles because the temperature of combustibles reached to the minimum ignition energy with the help of active transfer of heat.
본 논문에서는 반복하중에 의한 반복 경화 및 연화 현상을 나타낼 수 있는 수정 IWAN 모델을 이용하여, 1차원 비선형 부지응답 해석프로그램(이하 KODSAP; Kaist One Dimensional Site-response Analysis Program)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지진하중 재하에 따른 지반의 반복경화 및 연화현상에 의한 부지응답 특성 변화를 재현할 수 있다. KODSAP을 이용하여 기반암 상부 40m인 모형지반의 반복경화 및 연화 정도, 지진가속도의 크기에 따른 부지응답특성 변화를 살펴 보았으며, 현재 실무에서 널리 적용되고 있는 등가선형, 비선형해석과 KODSAP 해석결과(지반의 반복경화 및 연화현상을 고려한)과의 차이점을 살펴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