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current food consumption phenomena in the context of Korea's consumption culture and economy. For this purpose, food consumption phenomena and the underlying meaning of consumption culture were investigated. The study indicated that current food consumption phenomena were characterized by increased eating habits away from home, consuming more fast food and processed foods, westernized diet, eager for taste, and overwhelming well-being products, which could result in environmental problems as well as malign physical and mental defects. It was argued that current food consumption phenomena had been mainly affected by the commercial food industry and consumers' cultural consideration. Finally, this paper discussed several approaches to motivate consumers' awareness and how to change their food consumption culture, and further government policy efforts.
일반적으로 도로의 하부인 노상층은 불포화토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함수비의 변동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불포화 함수특성곡선(soil-water characteristic curve)의 추정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국내 대표적인 노상토인 다짐된 화강풍화계열 노상토를 대상으로 함수특성을 정량화하기 위하여 pressure plate 장치를 활용하여 건조 및 습윤 이력과정의 실험을 각각 수행한 후 이를 토대로 불포화토 함수특성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화강 풍화 노상토의 함수비를 좌우하는 흡수력이 건조와 습윤 과정에 있어 서로 다른 수치를 나타내었고 흡수력에 따른 불포화 투수계수와 습윤용적 그리고 확산 등의 흐름특성을 통하여 이력(hysteresis)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도로하부의 연중흡수력을 추정하였다.
In this paper, magenta coupler was prepared by the reaction of 1-(2,4,6-Trichlorophenyl)-3-(5-amino-2-chloroanilino)-5-pyrazolone with 2,4-di-tert-pentyl-phenoxy butanoyl chloride in the presence of pyridine. The product was identified by using various analytical tools such as melting point, elemental analyzer, IR spectrophotometer, UV-Vis spectrophotometer and GC-mass spectrometer. The reaction of magenta coupler with CD-3 (color development agent) was shown magenta color.
전기탈이온 장치를 통한 니켈이온의 이동메커니즘이 이온교환섬유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조사되었다. 포러스 플러그 모델과 확장된 넌스트-플라크 식이 니켈이온의 이동 현상의 해석을 위해서 적용되었다. 적용된 모델을 통해 전기탈이온 시스템의 성능증가는 이온교환섬유를 통해 변화되는 이동도에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 이온교환매개체의 자체 전도도에 의해 일어나는 전류 유발 효과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적의 전기탈이온 공정운전이 최소화된 전기적 재생영역하에서 일어남을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되었다.
In the late decade of 1930,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m, the Korean abstract art which was formed with affection by Japan and Europe. They say the early Korean abstract art is colonized, from a point that it derives from exterior impact. And they say also it is colonized not to be related to the representation of their own life world. On the other hand, the early Korean abstract art in 1930s is told as the prehistory of ‘Korean Modernism in Art’, which flourished in 1970s followed ‘Informal Art Movement’ in the late 1950s. Because the status of abstract art in 1930s was not more than a germ of ‘Korean Modernism in Art’, while they understand until 1950s as a period dominated by representational art based on Chosun Exhibition or Korean National Exhibition, the period until 1970s as a period ruled by abstract art which was accepted as ‘Korean Modernism in Art’, and the period after 1980s as a period by Min-jung Art and Post-Modernism Art. However, the historical value of Korean Abstract Art in 1930s cannot be passed over, if not trying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Korean Modernism in Art’ especially focusing on not their own history but the impact of Western and Japanese art. In the late colonial period, the Korean early abstract art was the strongest utterance of the time paradoxically, even if not related much to optical representation of the Korean subjectivity. Therefore the existing viewpoints about the early Korean abstract art should be changed.
Here is the study concerned both the feminist movement and the women"s liberation in the modern China. Especially, it is elaborately inquired into a representative person and womanhood. The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here is where the prejudices of researchers still remain. But fortunately, the history of the feminist movement was written by funds of country in 2005. Also, the distinguished researchers start to have an interest on the women"s history. Second, it does not decided both the conceptions and the categories in the feminist history. For example, the problems which are setting up the theoretical form and how to evaluate, and accept the women"s views. Third, the existing study results do not reach its enough line wi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Finally, studies, collections, and readjustment do not lead to its level.
한국 남해해역의 최종빙하기 이후 해수면변화 및 시간평균화 현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남동대륙붕 19개 정점, 서남해역 5개 정점에서 산출하는 패류유해 중 우점종 및 특징종 42개체에 대해 14C연대측정을 행하였다. 측정결과 동일 정점 내에서 시간평균화(Time-averaging) 현상이 나타나며 최대 11,939년까지 연대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최종빙하기 이후 남해해역에서의 해수면은 약 15,000년 전 최종빙하기시 해수면이 현재 해수면보다 약 150~160 m 하강하였으며, 이후 약 9,000년까지 해수면이 약 60m로 급격히 상승하였다. 그리고 이후 약 4,000~5,000년까지 수심 약 50~60 m에서 안정적이었으며, 3,000~4,000년 사이 또 한번의 급한 해수면 상승으로 수심이 현재 해수면보다10~20 m 낮아졌으며, 이후 현재에 이르는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eatures of the avant-garde architecture in the end of the 20th Century based on the ontology as a metalanguage. In view of the results so for achieved, it is possible to say that the thought of becoming, topology, rhizome thought and the Deleuze's concepts of the fold and the event as ever-changing and evolving at any given time are found in the avant-garde architecture, and the introduction of ontological thought into architectural design encourage hopes for a more natural and existential quality in architecture. However, the avant-garde architecture in the end of the 20th century disclosed the limitation in the architectural expression of ontological thought due to the lack of fully understand on ontology. In conclusion, the ontological approach in architecture offers a new morphological methodology and a new way of programming considering the existential aspect of space through the bricoleur's means leaving the ontological meaning of architecture itself.
We have constructed a database of Korean historical astronomical records. The database contains observational data recorded from BC 2183 to AD 1910. We have also built a webpage for searching through the database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1) dynasties (2) astronomical phenomena (3) reigning kings (4) references (5) keywords. Users may select two or more dynasties to search through the database for a certain phenomena, and compare data with those of other dynasties. The queried data can be primarily sorted by one critetion, and secondarily sorted by another, each in ascending or descending order. The search results give dates both in Solar and Lunisolar calendars, years and dates in Sexagenary cycle, dynasties, reigning kings, astronomical phenomena, and references. The database and webpage were constructed under the research project of the Korean Astronomical Data Center (KADC, http://kadc.kao.re.kr) in Korea Astronomy Observatory (KAO).
초나라 문자를 접하면서 진대(秦代) 예서와 비슷한 자형을 발견하고 예서의 시작은 진대(秦代)에서부터가 아니라 그 이전 전국시대 동방문자에서도 나타났던 현상임을 알게 되었고, 그 예를 초국문자 중에서 발견할 수 있다. 그 결과 초간(楚簡)이나, 초박서(楚帛書), 초금문(楚金文)의 자형에서 적지 않은 예변 현상들이 일어났고, 그 현상들은 예변현상(隸變現象)의 초기적 형태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 예변현상은 계속 일어나서 진대(秦代)와서는 예변의 형태가 완정(完整)적인 형태가 되었다. 그래서 이전 학자들은 예서가 진대에서 발생했다고 하지만, 그 발생시기는 진대가 아님이 확연해졌다. 예변현상은 전국시대 당시 동방 각국의 보편적인 현상이었으며, 이것을 “고예(古隸)”라고도 부른다.
트러스형 공간 구조물은 무주의 대공간을 덮을 수 있는 장점과 구조적 성질이 동일한 등가 연속체 쉘 로 치환하여도 비교적 정확한 해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21세기 첨단 구조물의 한 장인 초대형 구조물 분야에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효율적인 부재의 이용과 대량생산의 가능성으로 인해 많은 발전을 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쉘 형태의 공간 구조물은 구조 거동의 특성상 주로 구조안정문제가 구조설계에서 해결해야하는 핵심적인 기술력이 되며, 이를 어떻게 해결하여야 할 것인가의 문제는 아직도 많은 연구자들에게 난제로 남아 있다. 즉, 연속체 쉘 구조의 원리에서 긴 경간을 얇게 만들면, 뜀좌굴과 분기좌굴같은 불안정 거동이 나타나게 되며, 이러한 쉘형 구조 시스템에서 구조 불안정 문제의 특징은 초기 조건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이고, 이런 문제들은 수학적으로 비선형 문제에 귀착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공간 프레임형 구조물의 불안정 현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다양한 파라메타중 초기불완전량과 rise-span 비가 트러스 구조물의 불안정 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며, 이를 위해 1-자유절점 공간구조물, 2-자유절점 공간구조물, 다-자유절점 공간구조물을 예제로 채택하여 불안정 거동을 살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