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 Harris와 M. Stephens에 의하여 제안된 Harris 모서리 검출기는 영상처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특징추출 알고리즘이다. Harris 모서리 검출기는 지역적 신호의 상호관계를 기반으로 회전과 비율, 조명 및 영상의 잡음에 대하여 매우 강력한 검출 성능을 보여준다. 하지만 검출된 모서리들은 독립된 점이 아니라 영역형태로 출력되기 때문에 특징점으로 사용하기에 무리가 있으므로 각 영상의 상태와 여러 환경변수가 고려된 후처리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이런 문제점은 영상 정합 환경에서 치명적인 오류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영상의 상태와 환경의 변화에도 모범적인 특징점을 추출할 수 있도록 모서리의 단일응답특성, 통계적 분포 및 분할기반 문턱치화를 포함한 새로운 모서리 검출 방식을 제안한다.
본 실험은 polyethylene glycol (PEG)에 용해시킨 FSH의 투여 방법과 용량에 따른 체내 수정란 생산 효율을 난소 반응과 회수되는 수정란의 수량과 품질, 수정란 이식 효율을 조사하였다. 공란우 88마리를 네 군으로 구분하였다. 처리 1군은 50 mg의 FSH를 하루 2회 4일 동안 투여하였으며, 처리 2 및 3군은 30% PEG 에 녹인 400 mg과 200 mg의 FSH 용량을 1회 투여하였으며, 처리 4군은 CIDR로 처리 후 7일째에 30% PEG에 녹인 200 mg의 FSH를 처리하였다. 과배란 처리 후 황체수에서는 처리 1, 2, 3 및 4군에서 각각 11.2, 18.5, 13.1 및 13.9개로서, 처리 2군에서 다른 처리군보다 유의적으로(p<0.05) 높았다. 회수된 난자의 총 수에서 각 군의 결과는 8.5, 10.4, 8.7 및 7.9개였으며, 이식 가능한 수정란 수에서 각 군의 결과는 3.9, 4.3, 4.7 및 3.7개로 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각 과배란 처리 방법에 따라 생산된 수정란의 이식 후 수태율 (36.0~50.0%) 및 채란시 혈중 progesterone 농도 또한 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공란우에 스트레스를 적게 주며 과배란 처리 호르몬 비용과 노동력을 줄일 수 있으며, 여러 마리의 공란우를 발정 주기에 상관없이 한 번에 과배란 처리를 할 수 있는 CIDR를 사용 후 7일째 200 mg의 FSH를 1회 투여 방법이 축산 현장에서 적용하기에 매우 유용한 방법이라 사료된다.
In this paper, theoretical efficiencies of Korean and Japanese determination methods for dilution factors of odor samples were considered. The Korean official method points out over 5 persons but the Japanese over 6 as assessors, and 6-4 selection and 2 bags comparison methods, being used mainly in Japan as simplified of the official method, describe over 2 persons. The Korean method practices 10-dilution as starting factor in case of low odor concentrations and 300-dilution in high concentrations. In Japan, the determination of low odor concentrations has been carried out from 10-dilution like Korean, but high concentrations start from 100-dilution, being allowed to be changeable of starting dilution. In two official methods, it has been in concord with each other that maximum and minimum threshold values should be excluded, but not calculation methods of average dilution value of each panelist, resulting in indicating that the final result of panelers" assessment of an odor sample in Japan has been about 1.8 times higher than that in Korea. Quantity of consumed bags for determination of dilution factor is expected to be about 1.8 times more in the Japanese than ill the Korean in case of low odor concentrations but almost same in high concentrations. And so in high concentrations, the Korean method is expected to be a bit more economical and effective than the Japanese, but not accurate in low concentrations.
The organic acids in ambient were sampled by high efficiency diffusion scrubber (HEDS) and analyzed by IC. Most of organic acids showed high linearity (r²>0.999) of the calibration curve and good repeatability (RSD<10%). The detection limit of organic acids was about 7 pptv. The concentration of acetic acid was ranged from 0.43~1.74 ppbv, formic acid was ranged from 0.28~1.85 ppbv. Since the organic acids are one of odor compound species with instant production characteristics and affected easily by weather, continuous analysis method is better than intermittent method to determine these compounds. The sampling and analysis process can be automated and performed in real-time by continuous sampling of HEDS and IC.
본 연구에서는 hG-CSF의 발현을 유도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FIV-Tet-On lentivirus vector system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hG-CSF는 호중성구 계열 세포의 증식과 분화,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로서, 이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FIV-Tet-On vector 상의 hG-CSF나 rtTA2SM2 서열의 3' 위치에 WPRE 서열을 도입하였다. 구축된 각각의 vector는 293FT 세포에 일시적으로 transfection하여 virus를 생산하였으며, 이 virus를 일차 배양 세포인 CEF와 PFF에 감염시켰다. 각 세포에 전이된 hG-CSF의 발현 양상을 관찰하기 위하여 doxycycline을 첨가하거나 첨가하지 않은 배지에서 배양한 후 quantitative real-time PCR, Western blot과 ELISA를 이용하여 hG-CSF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비교 측정한 결과, CEF에서는 WPRE가 hG-CSF의 3' 위치에 도입된 경우에 발현량과 유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PFF에서는 rtTA 서열의 3'위치에 도입된 경우에 발현량과 유도율이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FIV-Tet-On vector system은 형질 전환 동물의 생산이나 유전자 치료에서 문제시되는 외래 유전자의 지속적인 과다 발현에 의한 개체의 생리적인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해결 방법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고층 주상복합건물의 품질관리를 통한 시공 분야의 효율성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있다. 기존연구에서 시공관련 품질개선요소들이 정리되었으며 규격화된 설문서를 통하여 시공 분야에 있어서 개선요소를 대학원생을 포함한 건축 관련 대학교, 건설회사, 설계사무소등의 실무자들의 의견을 조합하였다. 설문조사 결과와 기존현장 기술자들의 품질관리 인식도를 비교하여 현장별 품질관리의 정량적, 정성적 성과척도를 파악하고 분석하였다.
축소시스템 기법은 전체 구조의 거동을 나타내는 저차 고유모드를 근사화한다. 지난 연구에서 축소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2단계 축소기법을 제안하였다. 첫 단계에서 리츠벡터를 이용한 각 요소의 레일리 지수를 통해 요소 에너지를 예측 하고 이를 토대로 후보영역을 선정한다. 다음 단계에서 후보영역에 포함된 자유도로 축소된 1단계 축소 시스템에 순차적 소거법을 적용하여 최종적인 주자유도를 선정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2단계 축소 기법에 축소시스템 개선을 위한 반복적 기법을 적용하여 중간영역에서의 고차모드의 정확도를 추가적인 시스템의 확장없이 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축소시스템에서 고유치와 고유모드의 정확도를 조절하는 것까지도 가능하다. 최종적으로 제안된 기법의 성능을 수치 예제를 통해 검증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해운회사의 안전관리를 위한 여러 가지 투입요소와 산출요소들에 대한 자료를 설문조사하고, 각 해운회사간의 안전관리체제 이행에 따른 효율성을 DEA 분석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1998년~2004년까지 각 해운회사의 안전관리체체의 운영효율성을 DEA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효율성 평균지수가 매년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효율성 평균지수가 매년 낮아지는 경향을 보이는 이유는 해양사고 건수, PSC지적 건수, 선박보험료, P&I 보험료는 매 년 감소하는 것에 비해 선박수리비, 선용품비와 선박 불가동일수는 매년 감소하지 않고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 것이 주요한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The authors used association rules and patterns in sequential of data mining in order to raise the efficiency of engineering changes. The association rule can reduce the number of engineering changes since it can estimate the parts to be changed. The patterns in sequential can perform engineering changes effectively by estimating the parts to be changed from sequence estimation. According to this result, unnecessary engineering changes are eliminated and the number of engineering changes decrease. This method can be used for improving design quality and productivity in company managing engineering changes and related information.
본 연구에서는 방풍펜스의 형상에 따라 열차에 유도되는 공력(측력, 양력)의 감소 효과를 연구 하였다. 방풍펜스와 차량의 단면으로 구성된 2차원의 유동 공간에서 측풍이 유입될 때 열차에 유도되는 공력을 수치해석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먼저 방풍펜스의 높이 변화에 따른 해석을 통해 가장 민감한 높이 범위를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방풍펜스의 높이, 방풍펜스 상부의 굽은 형상 그리고 방풍펜스와 지면과 의 간극을 각 3수준의 제어인자로 직교배열표를 구성하여 해석을 수행하였다. 방풍펜스의 높이가 높아질 수록 측풍의 영향은 감소하지만 일정 높이 이상에서는 측력계수와 양력계수가 더 이상 감소하지 않으므로 의미가 없다. 그리고 상부의 형상은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으로 굽은 형상이 보다 효과적이며, 지면과의 간극은 방풍펜스와 열차 사이에서 강한 와류에 의한 흡입효과로 인해 차량의 주행 안정성 차원에서는 부정적인 영향이 나타냈다.
Recently, many companies knock themselves out to reduce logistics costs. However, they have reached the limit on cost reducing by improv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addition, Customers are growing more and more particular about the quality. Also the firms, which provide foods & beverages manufacturer with vacant receptacles and bottles, make zealous efforts to save costs. They have tried to seek for the resolution by own investment and improving system, but they haven't found certainly substitutions. In this study, we analyze problems of the vacant receptacles manufacturers and present introduction of pool system by standardization of Packing Resource. This PPS(Packing resource Pool System) will enable to reduce logistics cost that is challenge for the receptacles & bottles manufacturers, be helpful reducing environmental disruption which are the pollution of alien substances, wasted paper sheets because the system cleans retrieved Packing resources and reuses th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