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1

        83.
        201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2009년과 2010년 2년간 치러진 中等漢文科敎師任用試驗중 1차 한문 선택형 시험을 대상으로 삼아 출제의 근거가 되는 出題基準을 검토하고, 출제 기준에 맞게 출제되었는지 그 현황을 분석한 후, 提言한 것이다. 출제 기준은 출제자로 인한 편파성 시비와 영역별 비중의 차별을 드러낸 이전 임용시험의 잘못을 시정하려는 의도에서 나온 것으로, 전국에 있는 漢文敎育科의 敎育課程속에서 10개의 기본이수과목을 추려내고 과목마다 1∼3개의 평가 영역 을 두어 공부한 내용을 빠뜨리지 않고 골고루 출제하고자 한 점에서 의의가 있었다. 출제 현황은 이수과목이나 평가 영역을 중심으로 보면, 대체로 공평하게 출제하 려고 한 점이 인정되나 2009년의 시험이 역대산문선독보다 한시선독에 관심이 두 어졌고, 2010년 시험에서 한시선독보다 역대산문선독이 선호되는 일면도 발견되 었다. 이 측면에서의 불균형 은 출제 상황의 제반 여건에서 빚어진 것으로서 차후 에 다시 바뀔 수 있으므로 별 문제가 되지 않겠지만 문항 출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地文의 장르에 대한 편중은 문제의 소지가 없지 않았다. 2009년의 경우에 산문 장르가 전체의 46∼47%, 2010년의 경우에도 산문 장르가 전체의 45∼46% 출제되어 특정 장르의 비중이 과도하다는 느낌을 받았다. 물론 산문이 한문학에서 차지하는 범위가 광대하고 출제하기 용이하다는 장점 이 있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출제 문항의 地文이 특정한 장르로 편중되는 것이 정 당화될 수는 없다. 출제 기준에서 기본이수과목별 출제비율이 경서강독, 한시선독, 한문소설선독, 역대산문선독 모두 대등한 것처럼 1차 한문 선택형 시험 40문항(80 점)에서 장르별 출제비율도 특정한 장르에 편중되지 않게 하여야 한다. 1차 한문 선택형 시험이 중등 한문과 교사가 되려는 수험생에게 중요한 만큼 원전 독해력과 그것을 교실 수업현장에 적용하는 능력을 갖춘 자를 교사로 선발 하는 시험이 되도록 난이도를 보다 높이고 출제범위에 얽매이지 말며 수험생이 접해보지 못한 지문이 많이 출제되게 해야 할 터다.
        6,600원
        86.
        2010.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한문Ⅰ교과서를 어떻게 개발할 것인지 그 방안을 모색해보는 작업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교과서 편찬에 있어 최우선 순위일수 밖에 없는 초ㆍ중등학교 교육과정(제2009-41호, 2009.12.23.)에 따른 고등학교 선택과목 검정 도서 편찬상의 유의점 및 검정기준 (한국교육과정평 가원, 2010. 3)에서 강조하고 있는 내용을 중심으로 한문Ⅰ 교과서 개발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敎育課程’과 관련하여, 교육과정 개정 의 중점이 특히 학습자의 한문 능력 향상을 중시하고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음을 언급하였다. 그리고 ‘原典引用’과 관련하여, 아직도 편의상 기존 교과서 등의 내용을 그대 로 轉載하여 적지 않은 오류를 보이고 있는 현상을 경계하며 題材는 原典에 충실 하게 引用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또 ‘漢字字形’과 관련하여, 교육용 기초한자와 컴퓨터상에서 지원하고 있는 漢字의 字形을 통일해야 하며, 아울러 일부 한자의 잘못된 획을 바로잡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리고 ‘文法用語’와 관련하여, 교육과정 해설에 제시된 文法用語를 사용해야 하며, 개정 교육과정에서 용어 변경 및 개념 정의를 새롭게 한 부분을 반드시 확 인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5,700원
        87.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ith the help of KLTER/ME and KLPS in Woraksan, we have surveyed monthly diversity and seasonal prevalence of Macrolepidoptera in Wol-ak-san [Mt.] for the period of five months from May to September since 2005. Since 2007, to reduce variation, we chose two monitoring points, instead of one, for each of the three representative vegetations: Quercus mongolica-, Quercus variabilis- and Pinus densiflora-formations, abbreviated as QM, QV and PD, respectively, and collected exclusively larger moths with bucket-type of light traps for quantified survey. In 2009, as a result, QV showed higher species diversity and specimen number than QM or PD although the differences between QV and QM are subtle. The number of individuals collected may not be a good indicator, e.g., Idaea biselata collected in QM in June was over 200 in 2007, which is more than twice the number of specimens in all other sites per month, while the number in 2008 was dropped to only 10 specimens. In 2009, they became a dominant species again, showing biennial dominancy trend. It also seems that we are experiencing major decline of specimen numbers: 651 specimens collected in 2009 while 874 specimens collected in 2008, which was already a big reduction compared to over 2500 specimens in 2007
        88.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Density of malaria vector mosquito was monitored at 24 sites in Korea to estimate malaria epidemic from 2004 to 2009. Twenty four locations include six in Gwangwon province and nine in Kyonggi province and nine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Mosquitoes collected by public health centers in 24 sites were sent to each RIPHE(Research Institute of Public Health & Environment) then the RIPHE identified the malaria vector mosquitoes. KCDC analysed the results. Number of malaria vector mosquito collected in 2009 shapely decreased over 33 % when compared with number of mosquito collected from 2004 to 2009. In 2009, malaria vector mosquitoes firstly were collected at Injegun on 2nd week of April (6-13, April) and the highest peak of collected mosquito was demonstrated on 3rd week of August. Number of collected mosquito sharply decreased below 10 at 3rd week of september and None of mosquito was collected 2nd week October. Decrease of number of malaria vector mosquito collected in 2009 seem to be related with lowest temperature around midnight and precipitation days per month.
        89.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90.
        2010.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95.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는 매년 여름철에 남해안을 중심으로 발생하였으나, 2009년에는 적조가 전혀 발생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남해안 여수부터 완도해역을 대상으로 조사정점 13개를 정하여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여름철 수질환경 및 식물플랑크톤 군집 동태를 적조가 발생된 연도(2007년과 2009년)와 적조가 발생되지 않은 연도(2009)년) 자료를 상호 비교하였다. 2009년 6월부터 남해안 집중강우로 인하여 7월의 평균수온이 20℃ 이하의 저수온과 8월에 염분이 31psu 이하의 저염분, pH가 8월에 8.4 정도를 보여 적조발생 년도에 비하여 해양환경의 큰 변화를 가져왔다. 또한 DIN 농도는 적조발생 년도에 비하여 약 2배 이상 높은 값을 보였고, N:P 및 Si:N 비율에서도 적조가 발생된 년도에 비하여 Redfield ratio가 16 이상을 나타내어 완전히 정반대의 양상을 보였다. 조사기간 동안의 대부분의 우점종으로는Chaetoceros spp., Skeletonema costatusm, Thalassiosira spp.와 같은 규조류가 대부분 출현되었고, 와편모조류로는 Ceratium spp.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2009년 8월경에는 C. polykrikoides 대신에 Gonyaulax polygramma 종으로 적조를 형성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2009년 6월부터 집중강우 및 일조량 부족으로 인한 C. polykrikoides 대수증식기 시점에 수온, 염분 등과 같은 해양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인하여 적조형성이 지연됨과 아울러 G. polygramma와 Chaetoceros 등과 같은 규조류의 세력에 밀려 2009년에는 C. polykrikoides 적조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4,200원
        97.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racticed to survey food-borne bacterial aspects of Escherichia coli and Bacillus cereus etc. from 210 processed seasoned marine products in Garak fishery wholesale market in Seoul, 2009. Distributions of these bacterial isolates were 28 coliforms, 32 Bacillus spp., 71 Staphylococcus spp., 11 Listeria spp, and 10Enterococcus spp. in 157 dried squids, 23 dried file fishes, and 20 dried pollacks etc. respectively. Results in 16 kinds of antibiotics susceptibility test by disc diffusion method, special multiple drugs resistance patterns were NOR + LVX + CIP + SAM+ VA + S + TE + CF, SAM + C + VA, VA + S + TE, and VA + S in 9 E. coli strains, also,AMC + SAM + CF, SAM + CF, and VA + CF in 21 Bacillus cereus strains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bove, many seasoned dried fishes had multiple drugs resistances, conclusively, we suggest limited guideline and special management on use of antibiotics in floating net cages of fishery farms.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