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 조직은 SEM, FT-IR 스펙트라, 인장특성, 그리고 [NCO]/[OH]의 mole %, 입도분석에 의해 측정하였다. 친환경적인 NATM에 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스테인레스같은 금속코팅에 더욱더 중요한 열경화 무용제 수지를 합성 하였다. 이 수지는 일반적 도료와 비교하여 매우 강도가 강하고 내구성이 매우 좋다. 폴리우레탄 수지는 폴리올, IPDI, 실리콘 계면활성제, 촉매, 충전제로 구성된다. 폴리우레탄 화합물은 가교제가 첨가된 수지가 가교제가 첨가되지 않은 수지보다 물성이 우수함을 나타냈다. 견고한 폴리우레탄 도료의 기계적 특성은 [NCO]/[OH]와 가교제가 증가함에 따라 강도가 증가하였다. 합성한 도료의 물성 향상은 스테인레스 산업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에서 폴리우레탄 고분자 수지가 강구조물의 보수보강에 많은 응용이 기대된다.
The sensitivities of PrP Sc detection methods, western blotting (WB), immunohistochemistry (IHC) and protein mis-folding cyclic amplification (PMCA) techniques were compared from brains, spleens and blood of mice challenged with PrP Sc of murine-adapted BSE strain 301C. PrP Sc was detected in the spleen from 30 dpi by IHC and at 60 dpi by WB. At 30 dpi, disease-specific signals of PrP Sc was observed in only two follicles of a single spleen. PrP Sc was detected in spleen at 10 dpi with PMCA after 5 rounds of amplification. Clinical signs were obviously shown from 240 dpi, and coincided with first detection of PrP Sc in brains by WB, IHC and PMCA after one round amplification. In addition, PrP Sc was also detected in blood at 60, 180 and 240 dpi with PMCA after 5 rounds of amplification. The FDC-M1 epitope, which appears in immature FDCs, and PrP Sc were detected in follicles first at 30 dpi, whilst the FDC-M2 epitope of mature FDCs was detected at 60 dpi. More FDC-M2 epitope and PrP Sc were detected in follicles as disease progressed. The CD21/35 epitope is expressed on both FDCs and germinal center B cells. The pattern of CD21/35 expressing cells was similar to but less dominant than that of FDCs.
 ,  , Pseudanostirus ecarinatus (Stepanov, 1930) is recogniz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 redescription and illustrations of the species are presented based on a single male specimen collected from Mt. Bangtae Gangwon-do. We also provide diagnostic characteristics of the genus, which clearly separate it from other closely related genera, Calambus Thomson, 1859 and Anostrius Thomson, 1859.
본 연구는 1930년대 한국의 비평가, 김환태를 중심으로 비평의 예술과 비평의 교육적 기능이 ‘언어’와 ‘자국어’의 표현과 발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이다.김환태를 중심으로 박용철, 박영희, 윤기정, 김문집 등의 비평은 일제하의 문단에 “세계 설명”이라는 자각을 하게 하였다. 비평은 곧 예술로서 인간성의 성숙과 세계관을 넓히는 데 박차를 가하였던 것이다. 특히 이데올로기적 표현중심의 KAPF의 경향에서 벗어나 새로운 세계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순수문학의 금자탑을 세운 것은 한국문학사에서 중요한 전거로 주목하고 있는 사실이다.순수문학은 새로운 세계를 설명하고 수용할 것을 전제한다. 새로운 세계로 열려있는 지평에서 ‘자국어’에 대한 관심과 예술적 표현에 무게를 두고 영원불멸한 가치를 창조하기 때문에 자연과 인간 세계, 그리고 인간 관계의 창조를 주장한다. 이는 성리학적 측면에서 통섭의 원리를 원용하고 있는 것이다. 김환태는 참신한 비평적 국면을 설정하여 순수문학의 기치를 확고히 하였다. 특히 인상주의 비평과 유미주의(예술지상주의) 비평, 그리고 형태주의 비평을 통하여 ‘열정’, ‘관조’, ‘공감적’, ‘미적 태도’, ‘미적 경험’, ‘변별력 있는 주목’, ‘활동’ 등을 성리학Neo-Confucianism적 바탕에서 수용하여 조화를 이루고 있는 비평의식을 정립하고 실천하였다.비평은 성숙된 개성의 발견, 즐거움과 쾌락의 전달, 공감적 감각을 실생활의 변화를 가져다 주는 것임을 감안할 때, 비평은 그 시대의 ‘성숙된 인간성의 창조’, ‘열정과 즐거움의 공간 창조’, ‘실생활의 질적 변화와 창조’라는 교육적 기능을 함축하고 있는 장르임을 알 수 있다.1930년대 김환태의 비평은 순수문학의 터전을 바탕으로 인상주의와 예술지상주의, 형태주의의 요소를 수용하여 그 시대와 사회에 교육적 기능을 발휘하였다. 특히 당대의 비평의식에 미적 태도, 미적 경험, 열정, 관조 등에 대해 주목하고 세계관의 설정과 주관의 성숙을 논구함은 성리학의 이원적 요인을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비평의 교육적 요건은 시대와 민족, 그리고 제반 환경의 교육적 기능을 자각하고 실천한 것으로 현재 우리의 교육 현장에 되살려야 할 것이다.
국내의 많은 기업들은 품질경영시스템인 ISO 9000 시리즈와 식스시그마 등 기업의 품질 및 제품에 대한 품질을 높이기 위해 품질관리, 품질경영에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여왔다. 하지만 품질인증제도와는 달리 제품의 신뢰성에 관한 경영시스템인증을 받 으려고 하는 기업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부품·소재나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신뢰성경영시스템에 대한 인증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신뢰성 관련 기 법들을 표준화하고, 효율적인 경영시스템을 도입하여 운영하고, 여기에 세계적으로 통 용되는 기술체계를 도입하여 기업의 신뢰성경영시스템을 발전시킨다면 우리산업이 당 면한 수출 경쟁력 확보 등의 현안문제 해결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 뢰성 경영시스템 인증제도 수립에 있어 국제 표준인 신뢰성경영시스템 IEC 60300에 대해 소개하고, 신뢰성 경영시스템 평가방법을 활용한 MIR기법과 AHP기법을 분석 비 교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목 적: 20.30대 청장년층을 대상으로 전난시, 각막난시, 잔여난시의 빈도 및 난시도를 측정하고 전난시와 각막난시, 각막난시와 잔여난시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방 법 : 안질환 및 전신질환이 없으며 사시와 약시가 없는 마산지역 대학생(남자 43명, 여 36명) 154안을 대상으로 전난시, 각막난시, 잔여난시도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ARK(KR-8100P, TOPCON, Japan)를 이용하여 전난시 및 각막난시를 측정하고 그에 따른 잔여난시를 얻어 각각의 빈도 및 난시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단, 3회 측정 후 평균을 이용하였다. 결 과 : 전체난시(202안)는 직난시에서 (124안, 61.4%)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사난시를 제외한(154안) 각막난시는 직난시에서 (147안, 95.5%), 잔여난시는 도난시에서 (119안, 77.2%)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구면굴절이상값에 따른 난시도 분석 결과 구면굴절이상도에 따라 난시도는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전체난시와 잔여난시는 뚜렷한 양적상관관계(r=0.53, p
This study is aimed to utilize a basic data for setting up an allowable air noise with IMO standard in accommodation and working areas of 24m longer fishing vessels. The air noise in accommodation and working areas of 300 tons class squid-jigger were evaluated and the levels were compared to the allowable levels of IMO.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aximum range of noise levels was estimated to be between 54.8dB (A) and 83.2dB,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stance from the main engine to measuring point and the maximum noise level of each point was shown to be y=-13.8log (r)+92.91 (r2=0.821). In addition, except the case of making an accommodation area near to the engine room in 24m longer jigging vessels, it was evaluated that the accommodation noise regulation of 1,600 tons international voyage vessels with 60dB (A) or an improved noise level with 65dB (A) could be properly applied.
MicroRNAs are ~22nt small noncoding RNAs that control gene expression at the posttranscriptional level through translational inhibition and destabilization of their target mRNAs. Micro RNAs are phylogenetically conserved and have been shown to be instrumental in a wide variety of key biological processes including cell cycle regulation, apoptosis, control of metabolic pathways, imprinting and differentiation. The expression of miRNAs is often regulated in tissue specific and developmental stage‐specific manners. More than 500 miRNAs have been reported in diverse eukaryotic organism so far. One of the biological functions of miRNAs seems to be the regulation of self‐renewal versus differentiation in stem cells. Recent efforts have focused on defining the miRNA expression profile in undifferentiated ESCs as compared to their differentiated progeny. Among the so‐called ES‐specific miRNAs, the 302‐367 cluster stands out due to its intracellular abundance and high cell type specificity. Levels of miRNA 302‐367 correlate with Oct4 transcripts in ESCs and early embryonic development, indicating an important role in ESC homeostasis and maintenance of pluripotency. Several months ago, a paper showed that expression of the miRNA 302‐367 cluster can directly reprogram mouse and human somatic cell to an iPS cell in absence of any of the four factors (Oct4, Sox2, c‐Myc, Klf4) efficiently. To apply this efficient method to porcine, we made an inducible vector system including miRNA 302‐367 cluster originated from porcine embryonic fibroblasts and could make porcine ips by the miRNA 302‐367 cluster.
미국선녀벌레 [Metcalfa pruinosa (Say, 1830)]는 북미 원산 해충으로서 2009년 서울, 경기, 경남 등 3개 시군구에서 처음 확인되었으며, 2011년 현재 22개 시군으로 급격히 분포 지역이 확대 되고 있는 침입 해충이다. 본 연구는 미국선녀벌레의 국내 지역별 정착 위험도 분석을 통하여 빠른 확산 가능 지역을 예측하고 약충에 대해 효과적인 약제 선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위험도 분석은 상용 프로그램인 CLIMEX® (version 3.0) (Sutherst et al., 2007)와 Strauss (2010) 문헌에 수록된 매개변수 값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은 68개 시군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년(30년) 기상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거제 등 19개 시군은 EI (Ecoclimatic index)값이 9이하로 낮은 정착 가능성을 보였으며, 구미, 포항, 영천, 영덕, 대구는 20이상의 EI 값을 가져 높은 정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나머지 시군에서는 10∼19 사이의 보통의 정착 위험도를 보였다.
미국선녀벌레 약충에 효과적인 약제를 선발하기 위하여 imidacloprid 등 14개 약제의 기준량 및 배량에서의 사충율을 조사하였다. 시험방법은 콩을 기주로 하였으며, 3∼5령의 약충을 10초간 약액에 침지한 후 기주로 옮긴 후 25±3℃ 항온실에 보관하며 2일후, 5일후 사충수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기준량에서는 dinotefuran 등 7개 약제에서 5일후 100% 사충율을 보였고 1/4량에서는 dinotefuran 등 4개 약제에서 5일후 100% 사충율을 보였다.
본 연구는 sheep fescue 70%와 야생화 30%의 파종비율로 조성한 야생화초지의 생육특성, 계절분포 및 식생비율을 구명하고자 충남대학교 내 초지시험포장에서 2007년 10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수행하였다. 공시초종은 기본초종인 잔디형 목초로 sheep fescue (Azure)와 국내산 야생화 4종과 외국산 야생화 29종 등 총 33종을 공시하였다. 1년차(2008) 야생화의 개화당시의 평균초장은 1년차 29.9 cm, 2년차 38.4 c
A 20' X 20' region around 30 Doradus in the Large Magellanic Cloud (LMC) is observed and analyzed in the near-infrared. We obtain polarimetry data in the J, H, and Ks bands using the SIRIUS polarimeter SIRPOL at the Infrared Survey Facility 1.4 m telescope. We measure the Stokes parameters of 2562 point-like sources to derive the degree of polarization and the polarization position angles. We discuss the statistics of the groups classified by color-magnitude diagram and proper motions of the sources, in order to separate the Galactic foreground sources from those present in the LMC. We notice that groups classified by the proper motion data show a tendency towards different polarimetric proper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