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76

        121.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게임 공간에서 플레이어는 시공간적 한계가 없는 활동 영역과 다중적이고 변화하는 자아상을 체험한다. 게임 속 가상공간은 무수한 다시점과 움직이는 시선을 가진다는 점과 온 몸의 체험을 통해 대상을 관조한다는 점에서 동아시아의 전통회화와 공통점을 가진다. 플레이어는 게임 공간 밖의 물리적 자아와 게임 공간 안에서 현전하는 자아로 분열되며 그 둘은 서로 상호 작용과 반작용의 행위로 연결된다. 이 때 게임 플레이어의 표현은 수동적 지각의 경험이 아니라 게임의 내용을 완성하고 다양한 층위의 의미 해석을 가능하게 하는 적극적 활동이며 현전적 자아의 체험을 지금여기로 소환하는 행위이다. 또한 게임 플레이어의 행동은 반복이라는 일정한 패턴을 가진다. 어린아이의 놀이에서와 같이 플레이어는 상호작용적 반복 행위를 통해 자아를 표현하고 게임 세계를 창조해 나간다. 여기서 반복행위는 상실과 불안을 벗어나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려는 회복의 욕구를 반영하고 자기애를 실현하는 실존적 자아를 형성하는 행위로 정의된다. 따라서 게임공간은 자아의 확장과 표현을 통해 건강한 자기애를 실현할 수 있는 적극적인 예술표현과 치료의 장이다.
        4,200원
        122.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투사적 그림분석을 통해 이중섭 미술작품의 의미를 분석하고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중섭은 한국의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작가 중 한 사람으로 일제강점기, 해방혼란기, 그리고 한국전쟁 등 비극적인 현대사에서 정치적 격동의 중심에 있었다. 그는 외적 고통과 심리적 갈등을 겪으면서도 일관되게 따뜻한 가족애와 소망을 담고 있는 소, 어린이, 물고기, 게 등 일상에서 볼 수 있는 친근한 소재를 그렸다. 이중섭 작품의 특징은 갈등적 상황을 회피하려는 특성인 방어나 저항이 나타나지 않고 자신의 무의식적 소망, 욕구의 심리를 잘 반영한다는 것이다. 이중섭 미술작품의 의미 해석을 위한 연구방법은 투사적 그림분석을 사용하였고, 작가의 심리적 역동이 잘 반영된 인물화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작품의 선정은 유일하게 그려진 자화상과 많은 작품이 남겨진 아동화 중 공통적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을 선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이중섭 미술작품에 나타난 의미의 핵심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상적 애착욕구. 둘째, 퇴행. 셋째, 승화이다. 미술감상은 미적체험, 의미발견, 전이 및 자기이해 등 치료적 요인을 갖고 있으며 심리치료에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이중섭 작품의 의미를 이해하고 심리치료의 관점에서 미술감상이나 미술심리치료 프로그램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6,100원
        123.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지난 2015년부터 동두천 원도심 활성화를 위해 진행되었던, 그라피티 조성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문화예술을 매개로 한 도시재생사업 사례를 다루었다. 동두천의 그라피티 조성사업은 2015년부터 2018년까지 4년간 진행되었으며, 진행 단계에 따라 변화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하나의 정책에 대해 실행단계에서 시도해볼 수 있는 다양한 접근방법의 차이로 볼 수 있는데, 마치 그라피티라고 하는 하나의 예술 경향이 낙서, 거리미술, 공공미술, 환경미술 등 다양한 의미로 해석되는 것과 같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도시재생을 위한 그라피티의 매개성 실험에서, 방법의 차이는 어떠한 결과의 차이를 만들 어내는가를 알아볼 수 있는 사례라고 판단이 된다. 환경적 측면에서는 동두천시가 보산동 외국인관광특구를 중심으로 펼치고 있는 ‘K-Rock 빌리지 조성사업’, ‘디자인아트 빌리지 조성사업’ 등 문화예술을 매개로 하는 다양한 전략사업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이 사업들은 ‘캠프보산 (CAMP BOSAN)’이라는 통합브랜드 아래 문화예술을 매개로, 기존의 ‘외국인관광특구’를 ‘동두천문화특구’로 변화시키려고 시도하는 사업들로 최근에 개념이 정립되었다. 따라서 도시재생의 매개적 측면에서 문화예술의 접근방법을 분석해보고, 활성화 방안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조사 분석 결과에 대해서 첫째, 그라피티를 참여적 행위가 중시되는 도시재생의 공공미술 차원에서 다뤄야 한다는 점과 둘째, 도시재생에서 문화예술의 매개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사업의 지속성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7,000원
        124.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립미술관이 지향하는 공공성의 실체를 파악하는 과정에서 그 운영방침의 전제가 되는 미술정책과 공공성의 역학 관계를 과연 어떤 관점에서 조명해야 하는가를 질문한다. 만약 정책을 ‘공익의 실현’이라는 목표에 이상적으로 부합할 수 있는 실질적이면서 합리적인 수단이라고 전제한다면, 박정희 정권의 조국 근대화 프로젝트 중 하나였던 국현 경복궁관 개관, 공공 미술관으로서의 대중성과 전문성을 확보하고자 했던 과천관의 설립과 전개, 그리고 민간 경영의 개념 도입 이후 정부와 미술계의 논쟁으로부터 비롯된 특수법인화 추진까지의 정책사는 공공성 에 대한 복합적인 정치적 이해관계가 얽혀있음을 전제해야 한다.
        6,300원
        125.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시민 삶의 질적 추구와 여가생활 증진에 이바지하는 미술관의 역할은 수동적인 예술작품 보존의 공간에서 방문객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는 공간으로 전환됐다. 현대인에게 부족한 자연과 예술에 대한 향유와 보다 나은 휴식의 공간이 되기 위해선, 미술관의 역할을 내부공간에 국한시키지 않고 옥외의 공간으로 확장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미술관의 옥외 전시공간 방문객을 대상으로 중요도 및 만족도를 조사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옥외 전시공간의 질적 향상을 추구한다. 연구 대상지로는 수도권을 대표하는 국공립 미술관으로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과 소마미술관을 선정했으며 설문조사 및 IPA 분석 방법을 사용해 후행 연구에 활용 가능한 실증적 데이터를 제공한다. 연구 결과 25개의 항목에서 중요도와 만족도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각 항목에 따라 현상 유지, 최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사항, 현시점에서는 고려가 불필요한 사항, 추후 시설 도입 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특히 보행공간에 대한 안전성과 연계상태 그리고 이동의 용이성 등이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미술관의 옥외 전시공간 조성 과정에서 고려 또는 개선되어야 하는 방안을 수립하는 데에 본 연구의 결과는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민의 요구에 따라 미술관의 옥외공간에 대해 보다 세부적인 연구와 체계적인 가이드라인 구비와 함께 쾌적한 휴식의 장소가 되도록 해야 함을 명시한다.
        4,200원
        126.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angang Artpark construction is an enterprise founded in 2018 that involved installing public artworks created by 37 different people (teams) in Hangang Park located in Yeouido and Ichon Park. An iconic public space in Seoul, Hangang Park is turning into an even better public space due to the efforts to change the park into an eco-friendly, cultural-artistic space in tandem with the change in times. The objective of the Hangang Artpark construction business is to augment the environmental and scenic value of Hangang not only to provide a space for leisurely activities but also to revive it as a cultural-artistic area. This is a study of the concept and the design and installation processes of “Thinking of each other”, a project by the Hangang Artpark construction business. This art piece has been installed in the wetlands and it trails along Ichon Hangang Park, which was created during the environmental recovery project. The piece consists of sculptures molded into animal shapes that are unique to the location and ecology of the area, displayed in harmony with the park’s street furniture. By showing the coexistence of animals that existed in Hangang in the past along with the current inhabitants and the natural enemies of these inhabitants, the piece displays an ecofriendly scene. Moreover, by incorporating this piece into the street facilities of the park, such as gazebos, streetlights, surveillance cameras, and perches, the piece exhibits a different kind of street view compared to the installation style of other conventional environmental artworks. The various sculptures are installed along with the street facilities throughout the trail, rather than in a specific location intended for artworks, thereby achieving harmony with the park scene. In so doing, the piece elicits in the beholder an environment-friendly way of thinking, and at the same time, gives them a sense of calm and pleasure. Further, the paper researches the methods of safely installing art pieces in public spaces and of maintaining these installations.
        4,300원
        127.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해결중심 부부미술치료가 중년기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결혼생활에 대한 불만을 호소하는 중년기 부부이다. 연구기간은 2017년 2월 25일부터 2017년 4월 28일까지 주 1회 총 10회기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결혼만족도 척도(Marital satisfaction Scale: MSS)와 K-HTP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결혼만족도 척도에 대하여 사전, 사후검사와 추후 점수 간의 차이를 비교하고 그 변화를 분석하였다. K-HTP는 사전, 사후 검사결과를 비교 분석하고 변화에 대해 평가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해결중심 부부미술치료가 중년기 부부의 결혼 만족도의 전반적 결혼생활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해결중심 부부 미술치료가 중년기 부부의 결혼만족도의 부부관계의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K-HTP 사전 및 사후 검사 결과와 단계별 진행과정에서 나타난 변화들에서 부부관계와 결혼생활 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해결중심 부부미술치료가 중년기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6,100원
        128.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1920년대 말-1940년대 중반 초현실주의가 일본 미술계에 소개되어 주요한 미술운동으로 전개되는데 큰 역할을 담당했던 단체와 인물을 중심으로, 일본 초현실주의 미술의 보편성(국제성)과 특수성(민족성)을 문화번역의 관점에서 살펴본다. 일본 초현실주의 미술은 초기에는 기계주의, 주지주의가 반영된 도시적 모더니즘 경향이 강했으나, 점차 “앙드레 브르통 및 그의 동료들과 마찬가지로” 반이성주의와 인간정신의 해방을 강조하게 된다. 1930년대 중반 이후 사회 전체에 대동아공영(大東亞共榮) 사상이 확산된 무렵 일본 초현실주의를 이끈 지도자들은 오리지널과의 차이를 역설하면서 ‘일본 환상성의 전통’을 소환한다. 특정 전통의 재발견은 군국주의와 전체주의가 강화되어가는 전시(戰時) 체제 하에 초현실주의를 보호하기 위한 전략이었을 수 있으나, 결국 전위가 시국(時局)에 동조함으로써 전위성을 상실하게 되는 모순을 낳았다.
        7,000원
        129.
        201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철학적인 관점에서 푸드아트테라피의 생명중심사상을 분석함으로써 오늘날 우리에게 주는 교육적인 함의들을 발견하려는 데에 있다. 이정연에 의해 개발된 푸드아트테라피의 생명중심사상은 동양적인 사고와 한국의 전통음식문화에 기초를 두고 있는데, 그 궁극적인 목표는 우주적 감수성을 회복하고 함께 더불어 사는 대긍정의 세계로 나아가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푸드아트테라피의 생명중심사상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첫째, 푸드아트테라피는 전일적인 치유을 추구한다. 둘째, 푸드아트테라피는 통합적인 치유를 추구한다. 셋째, 푸드아트테라피는 사회구성주의적인 치유를 추구한다. 이와 같은 푸드아트테라피의 생명중심사상은, 내담자와 상담자는 상호작용을 통해 함께 회복과 치유를 향해 나아갈 것을 시사한다.
        8,100원
        130.
        201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Cartier developed Art Deco jewelry designs that have been used as design inspirations to this da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 Deco jewelry designs of Cartier in the early 20th century. Regarding the research method, this study explored the jewelry designs from 1904 to 1939 by extracting 288 analysis subjects from Cartier’s exhibitions, auction picture books, and foreign books,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in terms of design motifs, colors and material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Regarding the design motifs, 73% were geometric motifs, and 66% were a combination of circular shapes and polygons, the most frequent. In terms of colors, 69% were chromatic in color, and vivid colors were mostly used in the order of red (24%), - green (19%), and - blue (14%). Of the materials, 92% of the metals consisted of platinum, and gemstones were used in the order of diamonds (41%), - onyx (13%), - emeralds (11%), - rubies (9%), and - sapphires (8%). In the early 20th century, Cartier’s Art Deco jewelry designs featured abstract and geometric motifs, vivid colors and strong contrasts, platinum and precious gemston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lores the competitiveness of Cartier’s designs and provides practical ideas to combine Art Deco style with contemporary jewelry designs successfully.
        4,500원
        131.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or centuries, the smell was considered as an inferior sense, underestimated by scholars who considered it linked to animals and sexuality, thus, unsuitable to knowledge. The disinterest of our civilisation for olfaction is reflected by the poverty of the language to describe scents, that comes from our lack of education and culture in this field. In addition, the French law states: “the fragrance of a perfume, which proceeds from the simple implementation of a know-how, does not constitute the creation of a form of expression that can benefit from the protection of copyright”. Yet, thanks to its unique climate to grow flowers in Grasse and the implementation of Fashion Houses in Paris, France is the cradle of Fragrance. How then, can we explain that the first perfume museum in Paris opened only a year ago? For Guillaume de Maussion, the initiator of this tremendous project, it seemed unbelievable that such a place didn’t exist in the French capital city, where Perfume industry is an essential part of the heritage. The Fashion Houses, as Dior, Chanel, Saint-Laurent or Givenchy benefit from this lack of knowledge and spend colossal amounts in Marketing in order to attract consumers. People thus focus on advertisement rather than on the scent and most of the time buy a perfume because of the brainwashing. Fragrances are in this case made with the intention to sell as much as possible. This mass-market industry offers very similar product, at an accessible price and easily available. Consequently, designer brands skimp on the quality using synthetic material and lower concentration. From this aspect, the perfumer is more a technician that aims to seduce the biggest part of the population in order to generate a maximum of profits for the brands. Hence, could perfume be considered as an Art? Is there a future for Fragrance sector, despite the lack of education? Most perfumer compare themselves to compositors, painters, and artists while creating a perfume. Edmond Roudnitska, widely considered as one of the greatest perfumers of 20st century and creator of masterpieces such as Diorissimo or Eau Sauvage, defined himself as a « perfumer-compositor ». Nevertheless, with the multiplication of alternatives perfumes brands, the Perfume sector reveals itself and spreads its artistry. Indeed, these niches companies perceive the perfumer as an artist, and the fragrance as a creation. They focus on the scent, using the best quality ingredients, know-how and craftsmanship. Niche devotees often argue that boutique perfumes offer the consumer the opportunity to reward oneself with a scent that is both uncommon and individual. These brands are focused on customer experience and relationship, take time to initiate and educate the customer on scents. According to Euromonitor; “The next five years will likely see the proliferation of small, artisan perfume brands hoping to capture millennials’ hearts, minds and noses.” In addition, a new trend is emerging from perfume experience: olfactory Marketing. Offices, fashion stores, opticians, even bakeries and using this new sensorial dimension. Brands are trying to reinforce their DNA by creating a distinctive scent to make them unique and unforgettable. The scent is completing a visual and auditory experience by bringing soul. Few studies showed that a pleasant fragrance, triggers a positive mood and a customer will stay 30% to 40% longer in a store well perfumed. These facts increase chances to make a purchase and especially to increase loyalty from the customer who will keep a good memory of its experience. Even though scents were created more than thousands of years ago and evolved over the centuries, Fragrance is still unknown and not recognized as a craft. With the rise of artist-perfumers, a willingness of education on scents, the ease of access to information and a real desire of uniqueness and distinction, there is no doubt that Perfume industry is the Art of tomorrow.
        132.
        2018.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demonstrate that art appreciation enhances positive self-concepts, which induce abstract mind-sets and, in turn, endorsements of cultural diversity. Advertisements of a product that feature art and contain embedded ideas about cultural diversity enhance intentions to purchase that product. Furthermore, appreciating artwork increased endorsements of cultural diversity for individuals with positive self-concepts.
        4,000원
        133.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resently unexplored) relationship between a peculiar kind of performing art, i.e. opera (as in the Western musical tradition), and the fashion and luxury business within the context of fashion cities. In particular it investigates, on the one hand, how the relationship with opera production may benefit the marketing strategy of luxury companies and, on the other hand, how opera houses may profit from the relationship with the luxury industry. As a preliminary work, introducing a new research project, its aim is to provide a tentative systematization and clarification of the research questions and to stimulate an early discussion of their consistency and relevance. Three sets of research questions are proposed for discussion and further exploration, concerning: a) the audience segmentation of opera as experiential luxury (based on self-congruency theory) and its implications; b) the luxury industry as opera sponsor; c) integrating opera in luxury marketing strategy (brand heritage vs. opera heritage).
        134.
        2018.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esearch study explores the concept of storytelling as a method to facilitate the communication of the art of the traditional upholsterer to add value to professionally restored chairs and sofas within the context of design and sustainable practice.
        4,200원
        135.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픽셀 아트는 낮은 해상도와 제한된 색 팔레트를 가지고 영상을 표현한다. 픽셀 아트는 낮은 연 산 성능과 적은 저장 공간을 가지는 초기 컴퓨터 게임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현대에 이르러, 픽셀 아트는 예술이나 퍼즐, 게임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찾아볼 수 있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게임 캐릭터 영상을 입력으로 받는 픽셀 아트 생성 모델을 제안한다. 기존 방법 과는 달리, 합성곱 신경망(CNN:Convolutional-Neural Network)를 픽셀 아트 생성 목적에 맞게 변형하여 이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기존의 합성곱 연산 후에 upsampling 과정을 추가하여 픽셀 아트가 생성될 수 있도록 하였다. 네트워크는 ground truth와 생성된 픽셀 아트와의 평균 오차 제곱(MSE:Mean Squared Error)을 최소화해나가며 학습을 수행한다. Ground truth는 실제 아티스트가 생성하도록 하였고, 이미지 회전과 반전 기법을 이용하여 augumentation을 수행하였다. 생성된 데이터 집합은 학습, 검증, 시험 데이터로 나누었다. 이러한 데이터 집합을 기반으로 감독 학습을 실시하여 픽셀 아트 생성 네트워크를 학습하였다. 학습 모델의 학습 과정과 학습 정확도를 제시하고, 시험 데이터 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상에 대한 픽셀 아트 결과도 함께 제시한다.
        4,000원
        136.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들어 다양한 스트레스로 인한 병적인 해석이 마음의 내면으로부터 만들어낸다는 말들이 과학적으로 증명되면서 예술치료에 대한 개념이 새롭게 부각되기 시작했다. 예술심리치료는 전문가의 예술작품보다 치료 개념에서 사용되어질 때, 작품성보다는 창작과정을 통해 그려지는 과정에서 내면세계를 탐구하는 심리치료의 가능성을 보고자한다. 때문에 예술을 매개체로 사람의 심리적 변화를 탐색하여 치료하려는 예술치료사들이 점점 증가하고 있다. 이와 관련 선행논문들을 살펴보면 김인수(2013)는 무속원형적 관점에서 본 민화의 시각성 연구, 한유진 (2014)은 민화의 주술적 기원과 상징연구를 호랑이를 중심으로 하였다. 신미경(2014)은 분석심리학 관점에서 본 민화의 상징적 의미와 예술치료적 가치탐색 연구 등에서 다양한 활용매체도구로 이용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그리고 임상 현장에서 예술매체의 활용이 다양하게 구성되어 재미와 흥미를 유발해 감정표출이 더 자유로워짐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논고는 우리의 전통적 맥락을 함께하고, 민족 신앙적 요소가 많은 무속의 원형에서 민화의 심리치료적 요소들을 찾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민화에서 심리치료적요소를 찾아 그 의미와 가능성을 살펴본다. 또한 한국 전통사상 속에 내재한 무속과 민화에 나타나는 원형들의 연관성과 상호작용을 살펴봄으로써 심리치료의 매개요소를 다루어 보았다.
        6,400원
        137.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아서 웨슬리 다우의 구성은 20세기 초 미국의 고전주의적 미술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고안 된 새로운 미술교육법이다. 학생들은 구성을 통해 동양과 서양, 과거와 현재를 망라한 모든 시대와 양식의 미술로부터 구성의 기본요소인 선, 매스, 색채를 조화시키는 법을 스스로 발견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디자인을 창조할 수 있었다. 다우는 학생들에게 구성 디자인을 수공예로 만드는 실험도 권장하였다. 구성교육은 미국에서 유행한 아트 포터리 운동과 여성 도예가의 등장에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아마추어 장식가였던 여성들이 구성교육 이후 독창적 도자기 디자인을 개발하게 되는 배경과 과정을 고찰하고, 도자기를 예술적으로 생산하는 프로페셔널 미술가의 지위를 획득한 여성 도예가들에게 미친 구성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6,900원
        138.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ttention restoration effects provided by Seoullo 7017, an elevated public skygarden newly transformed from a 40-year-old overpass as a part of an urban revitalization project. In October 2017, a questionnaire survey utilizing Perceived Restorativeness Scale (PRS) and Zuckerman Inventory of Personal Reaction Scale (ZIPERS) was conducted among employees visiting Seoullo 7017 and 133 valid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a series of factor analyses of PRS and ZIPERS items, four PRS factors were derived from 16 PRS items and named as “Diversion”, “Boring”, “Coherence” and “Compatibility”; and two ZIPERS factors were extracted from twelve ZIPERS items, namely “Positive impacts” and “Negative impacts”.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toration effects and psychological stress were found according to frequency of visits, accessibility, and whether or not Seoullo 7017 was seen from offices. In conclusion, the newly created Seoullo 7017 was found to have healing effects, such as psychological stability and relief from stress, on employees who could easily access the garden.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