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52

        1522.
        199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에서 매년 실시하고 있는 국민영양조사 결과를(일본은 1950년-1988년, 한국은 1969-1988년) 바탕으로 양국의 식생활 변화 양상을 비교하여 미래의 한국 식생활의 지침이 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식품군별 섭취량에서 섭취총량은 일본은 1973년을 기점으로 감소하였으며 한국은 증가와 감소를 되풀이하며 전반적으로 증가 경향을 나타내었다. 한·일 모두 식물성 식품의 섭취는 감소하고 있고 동물성 식품의 섭취는 증가하고 있는데 1988년에는 동물성 식품 섭취 비율이 5% 정도 일본이 한국에 비해 많았다. 식물성 식품은 곡류의 경우 양국 모두 감소 경향을 보였고 1988년의 경우 한국이 일본에 비해 70g 정도 많이 섭취하였다. 한국은 감자류, 두류, 과실류는 1980년 이후 증가 경향이나 군별 섭취총량은 일본에 비해 낮은 수준이었다. 일본은 과일, 야채류의 섭취가 감소 경향이고 두류, 감자류는 변화가 거의 없으며 안정된 추세를 보였다. 동물성식품의 경우 일본은 우유 및 유제품, 육류는 증가 경향을 나타내었고 어패류, 난류는 1975년 이후 거의 평형 상태를 유지하였으며 한국은 육류, 어패류의 섭취 증가가 뚜렷하였다. 1970년 이후 양국의 신장, 체중의 연차추이를 보면, 1970년에서 1980년까지 한국인의 신장 증가가 현저하였으며(1970년 ; 150.3cm, 1980년 ; 160.2cm), 체중도 이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4,000원
        1523.
        199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생활은 지역, 경제, 문화 등의 다양한 요인에 의해 다른 양상을 나타낸다. 1960년 이후 한국의 경제는 급속도로 성장했고, 사회적으로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며 한국인의 영양상태 또한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같은 동양권에서 한국과 일본의 식생활은 많은 유사점을 갖고 있으며 또한 시대별로 비슷한 경향의 식생활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한국의 영양소별 섭취량은 1988년의 경우 탄수화물, 단백질은 일본을 앞서고 있으며, 지방은 일본이 한국에 비해 섭취량이 2배 이상 많았다. 에너지의 영양소별 섭취 구성비의 연차적 추이를 보면, 양국 모두 탄수화물의 섭취 비율은 감소하고 있고 단백질, 지방의 섭취비율은 증가하였다. 1988년의 경우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구성비가 일본은 59 : 15 : 26으로 적정수준에 도달해 있고, 한국은 67 : 19 : 14로 일본에 비해 탄수화물의 섭취 비율은 높고 지방의 섭취 비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 공급은 총량은 양국 모두 증가 추세이고, 공급 단백질 중 동물성 단백질이 일본은 45g, 한국은 30.7g이고, 공급 지질 중 유지류는 일본은 39g, 한국은 29g으로 동물성 식품과 유지류의 섭취가 한국에 비해 일본이 높았다.
        4,000원
        1524.
        199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일년생과 다년생식물의 생육환경으로써 토양인산 수준의 영향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1. 일년생의 IRG(Italian ryegrass)와 다년생의 PRG (Perennial ryegrass) 모두 인산시비량이 많을수록 초장이 길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2. 2년차 이후는 모든 처리구에서 PRG가 IRG에비하여 건물량이 많았다. 3. 다P처리에 대한 무P처리의 P수량 비율은 1년째부터 3년째에 걸쳐 IPG의 경우 건물량과 같이 매년비율이 커지는 것에 대하여
        4,000원
        1526.
        199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se studie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orean Job's tears on increasing control of body weight and organ and lipid in rats which were devided into control group, 10% Job's tears group(A), 20% Job's tears group(B), 30% Job's tears group(C), 60% Job's tears group(D) during 10 week administration after 3 week adaption before the experiment. 1. Food intake amount and food efficiency ratio decreased much better Job's tears amount in diet controled of body weight increasing. 2. The organ weight in 100g body weight heavier better 60% Job's tears group(D) then control group. 3. Serum lipid level are rowed Total cholesterol, Free-cholesterol levels in 60% Job's tears group, showed highed of HDL-cholesterol, TG levels.
        4,000원
        1527.
        199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rog legs were stored before and after 30, 60, 90, 120 days at -30℃ and -70℃. The amounts of triglycerides, glycolipide and phospholipids by TLC and composition of fatty acids by GC were shown in this experiment, there fore, I have got these following results. 1. The amount of PL in frog legs consisted of 80% of the total lipids before storage. As the days of storage was longer, the amount of TG was increased, while PL and GL were decreased. 2. TG and ES & HC were composed of 66% to 77% of the neutral lipids composition before storage. As the days of storage was longer, the amount of MG, DG. FFA and ES & HC were increased, while FS and TG were decreased. 3. PE and PC were composed of 78% to 81% of the phospholipids composition before storage. As the days of storage was longer, the amount of FA and PS were increased, while PC and PE were decreased. 4.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s in neutral lipids of frozen frog legs at -30℃, 120 days was studied, Capric acid. Stearic acid, Behnic acid. Oleic acid and Linoleic acid were increased as compared with initial neutral lipids.
        4,000원
        1528.
        199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experimented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on the changeable aspect and improvement of soil fertility in newly-reclaimed sloped land. Silage corn was cultivated under the six different treatments for 4 years. The relation between the amou
        4,000원
        1530.
        199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designed to forecast the characteristics in food consumption patterns under per capita GNP growth. Ordinary least square(OLS)method was employed as analyzing technique. Equation was Y=a0+a1X, in which X was per capita GNP and Y were Engel coefficient, food supply, energy supply, nutrient intake and ratio of self-supply of food. The result obtained indicates that the intake of nutrient such as protein and fat will be increased, and wheat, corn and legume are expected to be imported wholly due to lower ratio of self-supply, and rice will be over-supplied continually. Therefore, the relevant policy of government must be established in the field of supply and demand of food, and the research of sound national health should be done.
        4,000원
        1531.
        199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정상적으로 발육하는 담배나방 용 및 휴면용의 단백질과 탄수화물의 함량변화, 산소소비율, 몸무게의 변화, 삼투압등을 비교하였다. 정상용의 경우에는 산소소비율의 변화가 전체 기간에 걸쳐 U자 모양의 곡선을 보인 반면, 휴면용의 경우에는 의 매우 낮은 수준으로 감소되어 유지되다가 우화직전에 산소소비율이 다시 높아졌다. 또한 휴면용의 몸무게는 용화후 12일동안 변화가 거의 없었다. 주요 탄수화물과 수용성단백질 함량은 비휴면용보다 휴면용에서 더 높았으며, 함량변화는 비휴면용에서 더 급격했다. 휴면용과 비휴면용의 단백질에 대한 전기영동 패턴은 유사했으며 휴면용의 혈림프 삼투압은 저온에 보관되었을 때 더 올라갔다.
        4,000원
        1532.
        199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A25, 50ppm과 BA100, 200ppm을 옥수수 종자(種子)에 처리(處理)하여 발아율(發芽率) 및 호흡량(呼吸量)과 배유양분(胚乳養分)인 환원당(還元糖), 전당(全糖), 조단백질(粗蛋白質)의 이동(移動)에 대(對)하여 구명(究明)하고자 행(行)한 실험(實驗)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초기(初期)의 발아율(發芽率)은 GA 25ppm구(區)가 가장 높았고 BA 200ppm구(區)가 가장 낮았다. 중후기(中後期)의 발아율(發芽率)은 각(各) 처리구간(處理區間)의 차(差)가 크게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2. 호흡량(呼吸量)은 각구(各區) 공(共)히 발아(發芽)와 병행하여 현저히 증가(增加)되었으나 처리구(處理區)가 Control에 비(比)해 Q 가 낮고 특히 BA 200ppm구(區)가 현저하게 낮은 경향(傾向)임을 알수 있었다. 3. 배(胚)와 배유중(胚乳中)의 환원당(還元糖)과 전당(全糖)의 양(量)은 각구(各區) 공(共)히 경시적(經時的)으로 현저히 증가(增加)되나 BA 처리구(處理區)가 무처리구(無處理區)와 GA처리구(處理區)에 비(比)하여 증가율(增加率)이 낮음을 인정(認定)할 수 있었다. 4. 발아중(發芽中) 종자(種子)의 조단백질량(粗蛋白質量)은 각구(各區) 공(共)히 경시적(經時的)으로 배부(胚部)에서는 증가(增加)되고 배유부(胚乳部)에서는 감소(減少)되며 그 정도(程度)는 GA 25pppm 처리구(處理區)가 가장 현저하고 BA 200ppm처리구(處理區)의 소장(消長)이 가장 적었다.
        4,000원
        1533.
        199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attempted to observe the effect of Job's tear diet on change of body weight and tissue in rat. The changes of body weight were higher in Job's tear non-diet group(A) and seemed to lower in Job's tear diet group(c) as expected. The weight of each organ appeared to heavy more C group than A,Bgroup in Brain, Spleen. Lungs and Kidney. Liver was heavier in Job's tear to diet one day among six day group(B) and ovary was lighter in C group, The levels of each organ TBA-value were higher in Brain, Liver of A group and showed to higher Spleen, Lungs, Ovary of C group TBA-value of Kidney was revealed to lower more C group than A,B group.
        4,000원
        1534.
        199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기도 시흥시 무지동 포장에 추청벼를 1989년 5월 25일 이앙하여 벼물바구미의 각 태별 발생소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험포장내 육안 조사결과 월동성충의 발생 최성기는 5월 하순이었고, 신성충의 발생 최성기는 8월 상순이었다. 벼물바구미 월동성충의 산란시기는 5월 30일부터 6월 27일까지었고, 산란 최성기는 6월 상순이었다. 벼물바구미 유충은 6월 상순부터 8월 상순까지 발생하였고, 최성기는 7월 중순이었고, 번데기는 7월 상순부터 8월 하순가지 발생하였고, 최성기는 7월 하순이었다. 신성충의 최초 최성기는 8월 상순이었다. 공중포충망에 의한 월동성충의 유살최성기는 5월 중, 하순이었고 유아등에 의한 신성충의 유살 최성기는 7월 하순이었다.
        3,000원
        1536.
        1989.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tudy to report this result that state of lipid peroxides while beef Bulgogi Coocking of general-seasoning, sale-seasoning, each flavour's characteries. Raw meat show high lipid peroxides amount and high increasing in heat and antioxidative effected by flavour about lipid peroxidies change existence by beef Bulgogi seasoning. Change of lipid peroxides are significant increased in meat cold storage and cold storage and cold storage heat meat after while 30 minute after seasoned and reduced 9 hour - 33 hour cold storage raw meat, that change of lipid peroxides by cooking time. every condition by adding soften were revealed lipid peroxides, reduce. Lipid peroxide change are very high while no-sugar in raw meat and not a stone look in 9-hour raw-meat after seasone about antioxidative effect by each flavour characteristic TBA showed very high not take parched seasone seeds item about 30-minute cold storage beat raw-meat and high lipid peroxides revealed increase in not take wine item, not take a pear item, in 9 hour cold storage heat-meal and it showed little amount not-sugar item, no opepper item. According to high lipid peroxides change reduced high after seasoned cold storage stage in Korea traditional Bulgogi Cooking and thought high that action of antioxidative lipid peroxides wine and a pear in flavour.
        4,500원
        1538.
        198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금치의 조리(調理), 저장(貯藏)에 있어서의 질산염 및 아질산염과 ascorbic acid의 함량변화(含量變化)를 측정(測定)하여 그들의 상호관계(相互關係)를 조사검토(調査檢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데침으로해서 질산염은 감소(減少)하였으나 아질산염은 증가(增加)하였고, 조리(調理)한 것은 그 경향이 더욱 현저하였다. 실온(室溫)에 저장(貯藏)하였을 때 질산염은 36시간 후에는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아질산염은 24시간 후부터 급격히 증가하였다. 냉장온도(冷藏溫度)에서 저장한 것의 질산염은 서서히 감소(減少)하였고 아질산염은 서서히 증가(增加)하였다. 질산염 및 아질산염의 상호함량관계(相互含量關係)를 보면 실온(室溫)에서는 질산염은 감소(減少)하였고 아질산염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냉장온도(冷藏溫度)에서는 질산염은 서서히 감소하였고 아질산염도 서서히 증가하였다. 질산염 및 환원형(還元型) ascorbic acid의 함량관계(含量關係)를 본 결과(結果) 실온, 냉장온도 모두 ascorbic acid의 함량이 감소함에 따라 질산염의 함량이 감소하였으나 실온에서는 그 변화폭이 큰 데 비해 냉장온도에서는 변화폭이 적었다. 환원형(還元型) ascorbic acid 및 아질산염의 함량관계를 비교해 본 결과(結果) 실온, 냉장온도 모두 ascorbic acid의 함량이 감소함에 따라 아질산염의 함량은 증가하였다. 이는 저장기간에 따라 ascorbic acid 함량과 아질산염의 함량은 서로 다름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539.
        198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ructure and change of the salinity front formed by the outflow of Keum River into the adjacent sea is investigated through the analysis of some possible data. The outflow of the river has no peculiar direction and controlled by the various factors. The analysis of data which are obtained at March and October show that at March, the salinity front is weakened as compared with October. The outflow pattern is not uniform but varies significantly with time period less than one week.
        4,000원
        1540.
        198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북한산국립공원의 등산로훼손 및 등산로주변식생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북한산지구를 대상으로 1987년 8월에 실측조사를 실시하였다. 등산로훼손은 이용강도가 높은 우이동계곡과 정능계곡간 등산로 7.18km 구간을 조사했다. 식생 변화는 등산로 경계부에서 임내로 벨트-트란 섹트를 설치하여 매목조사를 하였고, 주변부식생은 등산로경계부를 따라 벨트를 설치해서 출현종을 조사하였다. 등산로 훼손량과 이용강도는 직접적 상관관계가 없었다. 훼손등급 II등급구간은 23.9%, III등급구간은 8.0%로 나타났으며, 자연등산로 II, III등급구간(19.7%)이 시설등산로 II, III등급구간(12.3%)보다 많게 나타났다. 북한산지역 주요등산로 15.3km중 보수정비가 필요한 등산로 II등급구간은 3.6km, III등급구간은 1.27km로 추정되었다. 등산객의 직접적 간섭이 없었던 등산로 주변 식생변화는 6-8m 구간까지 나타났으며, 등산로의 간섭이 있었던 등산로주변식생변화는 토양경도변화와 일치하지 않고 않았고 국지적으로 다르게 나타났다. 능선부 등산로 주연부식생으로서 Remkiaer 빈도계급 E계급수종은 신갈나무, 참싸리, 진달래, D계급수종은 병꽃나무, 조록싸리, 철쭉, 팥배나무이었으며, 중복등산로에서는 신갈나무가 E계급으로, 진달래, 참싸기, 국수나무가 D계급수종으로 출현했다. 계곡부에서는 진달래, 조록싸리, 국수나무가 D계급수종으로 출현했으며 자동차도로 옆 계곡부에서는 참싸리, 조록싸리, 국수나무가 D계급수종으로 나타났다.
        4,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