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저관리 경량형 옥상녹화의 온도저감 및 온 열환경을 평가하여 도시열섬현상완화 등 도시 열환경 개 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옥상녹화 는 1,500 × 1,500mm크기의 돌단풍(Aceriphyllum rossii)과 두메부추(Allium senescens)를 이용하여 2012년 7월 30일 부터 31일까지 48시간 동안 연속으로 외부기상환경, 대 조구 표면 온도, 옥상녹화 표면 및 하부 온도, 열류량, 열 수지를 측정하였다. 2012년 7월 30일 14시 30분에 34.0oC 의 최고기온을 보였을 때 대조구 표면은 55.6oC였으나, 돌 단풍과 두메부추 표면은 각각 33.3와 33.4oC를 하부는 각각 32.9oC와 32.8oC를 보여 옥상녹화에 의한 온도저감효 과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7월 31일에도 대조구 표면과 비교하여 옥상녹화가 온도를 큰 폭으로 저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열류량은 7월 30일의 경우 대조구가 467.3W • m−2로 최대 열류량을 보였을 때, 돌단풍과 두메 부추 표면은 각각 19.8W • m−2와 39.0W • m−2를 보였으며, 하부는 각각 −0.2W • m−2, −9.2W• m−2로 나타나 건축물로 이입되는 열류량이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기간 내 총 증발산량은 두메부추 14,426.1g • m−2, 돌단풍 12,424.3g • m−2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발광층의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 영역을 확인하고, 단계적 도핑구조를 이용하여 여기자들의 효율적인 분배를 통해 roll-off 효율을 감소시켜서 녹색 인광 유기발광다이오드의 수명 증가 를 나타냈다. 발광층 내 호스트는 양극성의 4,4,N,N'-dicarbazolebiphenyl (CBP)를 사용하여 전하의 이 동을 원활하게 하였다. 발광층을 네 구역으로 분할하여 각각 소자를 제작하였고, 네 구역의 도판트 농도 에 따라 발광효율과 수명 향상을 보였다. 이로써 발광층 내의 단계적 도핑구조를 이용하여 캐리어와 여 기자들이 원활하게 분배된 것을 확인하였다. 기준소자 대비 발광층의 도판트 농도를 5, 7, 11, 9% 순서 로 단계적 도핑구조를 적용한 device C의 수명이 약 73.70% 증가하였고, 휘도 효율은 51.10 cd/A와 외 부 양자 효율은 14.88%의 성능을 보였다.
본 연구는 냉각코일과 리튬브로마이드 수용액을 활용 하여 유리 chamber 내 냉각 및 제습 실험을 수행하였다. 냉각수 온도별 냉각 효과와 리튬브로마이드 수용액의 제습량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동시에 적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냉각수 온도별 냉각 실험은 279K, 286K, 293K에서 각각 19K, 13K, 10K 가량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냉각수 온도가 낮을수록 높은 냉각 성능을 보였으며, 여름철 상하수도 온도인 293K의 물로도 충분히 작물이 생육하기 좋은 온실 내부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리튬브로마이드 수용액을 활용한 제습 실험에서는 약 80%의 외부 습도가 리튬브로마이드 수용액과 결합하여 약 50%로 감소되어 약 30%의 제습량을 보였으며, 이는 시설 내 제습 시스템의 적용에 적합한 물질로 판단된다. 냉각코일과 리튬브로마이드 수용액을 동시에 적용한 실험에서 약 9K의 온도 강하, 15%의 제습량을 나타냈으며, 리튬브로마이드 수용액이 수증기를 흡수하는 과정에서 반응열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냉각 실험 결과와 대비 비교 한 결과 약 299.7K의 내부 온도를 보여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수분의 제습과정을 거치면서 농도가 낮아진 리튬브로 마이드 수용액(희용액)은 수집탱크로 모아 재생부로 이송되어 가열, 수분을 증발시켜 농용액으로 전환된 후 열 교환을 거쳐 냉각되어 다시 제습시스템으로 공급되는 시스템을 적용하면 일정량의 리튬브로마이드 수용액만으로 온실 제습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실험을 통해 냉각 및 제습이 동시에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리튬브로마이드 수용액을 활용하여 실제 온실에 적용된다면 기존 온실에서 사용하고 있는 냉방 및 제습 방법에 비해 에너지 절감을 통한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제습 부분은 시뮬레이션을 통한 분석 및 실험결과와 대비 검증이 요구되고, Lab scale의 제습 시스템에 서 Farm scale의 온실 규모로 확장하여, 추가 변수에 대한 제습 및 냉각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measure temperature, humidity, and bacterial concentration and species from the indoor air of a greenhouse used for shiitake cultivation. The highest level of humidity in the greenhouse was recorded at over 91.5% and the lowest humidity was recorded at 50% during 12 months. Temperature was between 5.1-30.5oC except for Januar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acteria can survive in the indoor air of the greenhouse. Total bacterial concentration exceeded the Korean indoor air quality standard value (8.0 × 102 cfu/m3) in winter. A total of 13 genera and 17 specie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from the indoor air of the greenhouse. Especially, 3 species (Kocuria rosea, Staphylococcus xylosus and Curtobacterium flaccumfaciens) have been reported to affect on human health. This is first report of airborne bacteria in a greenhouse used for shiitake cultivation.
This study established the evaluation index system of green logistics of Changjitu in Chinarelated to environment, resource, economics and technology. It derived the weight value of indexes by using AHP method analyzing interviews logistics researchers and surveys. Based on the results, the paper described the problems of Changjitu's green logistics and proposed some development suggestions.
국내 상수원을 대상으로 시행하고 있는 조류경보제는 남조류 발생 현황을 취 정수장 등 물관리 기관에 전파하여 대응조치를 유도하는 제도로 신속하고 정확한 남조류 계수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조류경보제 발령 기준 대상 남조류인 Anabaena, Aphanizomenon, Microcystis, Oscillatoria 속의 군체 크기와 세포수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고 회귀식을 도출하여 군체 크기로 세포수를 계산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3년 8월부터 10월까지 남조류가 과다증식한 시기에 한강(팔당호), 낙동강(달성보, 창녕함안보) 및 금강(고복저수지)의 대표지점에서 남조류 시료를 채집하였으며, 조류경보제 발령 기준 대상 남조류 속의 종별 군체 크기와 세포수의 상관 관계를 조사하여 종 및 속별 회귀식을 산정하였다. 남조류의 속별 상관분석 결과는 사상형인 Anabaena와 Aphanizomenon의 r2값이 0.93 이상으로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구형의 Microcystis는 0.76의 상관계수 값을 나타냈다. 종 별 상관분석 결과 사상형 남조류 Anabaena crassa, Aphanizomenon flos-aquae, A. issatschenkoi, Oscillatoria curviceps, O. mougeotii는 r2값이 0.89~0.96의 범위로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으며, 구형인 Microcystis aeruginosa, M. wessenbergii, M. viridis는 0.76~0.88의 상관계수 값을 나타냈다. 다른 속에 비해 상대적으로 Microcystis의 상관성이 낮게 나타난 이유는 동일한 종, 동일한 크기의 군체라도 Microcystis strain에 따라 점액질 내의 세포 밀집 정도와 세포 크기에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 결과 도출한 회귀식을 이용하여 군체 크기 측정값을 세포수로 환산하는 방법이 기존의 세포 계수법과 비교할 때 신속하고 간편할 것으로 보인다. 향후 남조류 종별 더 정확한 회귀식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료수 확보와 더불어 다른 종들에 대한 조사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표고 톱밥배지 재배시 녹색LED 광량에 따른 생육특성 분석 결과 5 umol ·m -2 · s -1에서 3주기 기준 배지당 자실체 의 수량은 239 g으로 형광등 202 g 대비 18% 증수효과가 있었으며, 자실체 폴리페놀 함량은 형광등 107 ppm에 대 비 78.4 ppm으로 27% 정도 낮았지만 에르고스테롤 함량 은 형광등 145 ppm 대비 307 ppm으로 2.1배 높은 함량을 보였다. 전력소모량은 형광등 대비 15.9%의 에너지 절감 율을 보였으며, 전등의 에너지 효율이 77.5%로 가장 컸다.
본 연구는 원주시 완충녹지를 대상으로 잠재적 과밀 수목의 재활용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현재의 식재수량 및 식재밀도를 조사하여 법적수량 및 수목 가중수량의 산정을 시도하였다. 가중산정 기준에 따라 완충녹지 재활용 이식수목을 선정하여 이를 토대로 원주시 과밀녹지의 조경수목 재활용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원주시 기존 완충녹지 중 2001년 조성되어 가장 과밀하다고 판단되어지는 무실택지변 완충녹지 3개 필지를 조사대상지로 선정하였으며 단위면적당 수목 밀도를 산정하고 표준수량을 기준으로 대경목 식재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여 법정현행 조경기준과 비교 후 식재밀도의 적정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임목밀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현재의 과밀수목에 따른 이식, 재활용 가능 조경수의 수목 및 수량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시도는 지방자치단체의 재정건전성확보와 녹지·공원 조성률 향상 및 연간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후 효율적인 도시 재생공원 및 녹지조성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Mushroom is cultivated as one of the major economical crops in many areas in Korea. The total production has steadily increased from approximately 198,563 M/T in 2009 to 208,941 M/T in 2012. Several fungus are known as the causal agents of diseases of the cultivated button mushroom (Agaricus bisporus) and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Trichoderma harzianum is the causal agent of brown blotch disease of commercial mushrooms. Colonization of mushroom caps by the bacterium results in development of brown or cream lesions on pileus and stipe. These lesions are slightly concave spots and can be round or spreading. Antagonists against Trichoderma harzianum, CAM33 were selected and their control efficacy of green mould disease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CAM33 strain was selected as antagonistic bacterium by inhibition zone method and it was identified as Bacillus methyrotrophicus. by the cultural,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nalysis of the 16S rDNA. The isolated bacterium is saprophytic but not parasitic nor pathogenic to cultivation mushroom. The isolated bacterium for Trichoderma harzianum cell, was sufficient for inhibition in vitro. Inoculation of the isolated bacterium prevents the development of bacterial disease in Trichoderma harzianum. Control efficacy of browning disease of strain CAM33 treatment was 77% on Agaricus bisporus. The optimal culture medium for the antagonistic bacteria growth was determined as follows: 3.0% Saccharose, 1.5% Soytone, 1.0% (NH4)2HPO4, 10 mmol MgSO4, and 2.0% Glutamic acid at pH 6.0 at 25°C. The suppressive bacterium may be useful in future for the development of biocontrol system and the construction of genetically modified edible fungi resistant to the disease caused by Trichoderma harzianum.
In previous studies, we selected green LED(light emitting diodes) for suitable wavelength of light by higher commercial yields and lower ratio of abnormal fruit body in Lentinula edodes. In this study, we aim to select efficient irradiation intensity of green LED. Stronger irradiation intensity of green LED resulted in more polyphenol contents of fruit body. In four level of irradiation intensity, 5, 10, 15, 20umol/m2/sec there was no big difference in commercial yields and characteristics of fruit body. In addition, Lower irradiation intensity resulted in smaller amount of electircity used. In conclusion, we selected 5umol/m2/sec for suitable irradiation intensity in Lentinula edodes with sawdust substrate cultivation.
급격한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하여 도시 내 인공구조물이 증가하고 토지이용이 무분별하게 추진되어오면서 환경오 염에 따른 여러 문제들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 다. 국내 광역시의 생활권 도시 숲(공원, 녹지) 면적은 세계 보건기구(WHO)가 권고하는 최저기준인 1인당 9㎡의 1/2 수준이지만 서울시의 경우 4.54㎡로 생활권 도시 숲의 면적 이 부족하다. 도심지의 녹지공간 확보를 위하여 1980년대부터 옥상녹 화 개념이 도입되었고, 옥상녹화와 관련된 지원 사업이 이 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서울시의 경우 2002년부터 옥상녹화 활성화를 위한 옥상 녹화 지원 사업을 진행하였으며, 2007년부터는 10만 녹색 지붕 만들기 사업을 통하여 자치구별로 생활권녹지 10만평 확충 등 도시 내 부족한 녹지공간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옥상녹화와 관련하여 옥상녹화의 효과, 이입종에 관한 연 구, 단일 식물종의 생육연구 등에 관한 연구는 활발하게 이 루어지고 있으나, 다년간 옥상녹화에 실재 식재에 사용된 식물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의 지원을 받아 2010년부터 2012 년 동안 조성된 옥상녹화 조성지를 대상으로 실재 식재에 사용된 식물 조사를 통하여 향후 옥상녹화 보급에 있어 식 재식물 선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0년에 조성된 61개소의 옥상녹화 조성지 와 2011년에 조성된 52개소의 옥상녹화 조성지, 2012년에 조성된 47개소의 옥상녹화 조성지를 포함하여 총 160개소 의 대상지 내 실재 사용된 식재식물을 조사하였다(표 1).조 사는 실제 옥상녹화 조성에 사용된 설계도면을 바탕으로 이루 어졌으며, 초본, 관목 교목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표 2). 대상지에 사용된 식재 식물은 초본의 경우 가는잎 금계 국, 감국, 갯패랭이, 거미바위솔, 고사리 등 332종의 식물이 식재되었다.옥상의 극단적인 기후에서 생존하기 위해 내건성, 내한 성, 내습성은 물론 강한 일사와 바람에 적응할 수 있는 특성 을 포함하여 관상가치가 높은 식물인 구절초, 비비추, 맥문 동 등의 식재 빈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관목의 경우 개쉬땅나무, 겹철쭉, 꼬리조팝나무, 공조팝 등 109종의 식물이 식재되었으며, 혼합형과 중량형에 이용 되는 특성상 비교적 관리가 용이하고 관상가치가 높은 수종 들의 식재빈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교목의 경우 감나무, 공작단풍, 구상나무, 금송 등 67종의 식물이 식재되었으며, 방문객의 이용을 목적으로 조성되는 중량형에 이용되는 경우가 많아 관상가치가 높은 수종들의 식재빈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겨울철 평균기온의 상승으로 인해 남부지역에서만 생육 가능한 꽃도라지, 꽃무릇, 한라구절초 등의 초본류와 남천, 산수국, 무화과나무 등의 관목류가 식재 됨에 따라 남부 식물종의 중부 생존 가능성이 점점 높아지고·있는 것 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2010년에서부터 2012년 총 3개년간 서울시의 옥상녹화 지원을 통해 조성된 옥상녹화 조성지를 대상으로 실재 식재에 사용된 식물 수종을 조사하여 그 동향을 살피 고 향후 옥상녹화에 도입 가능한 식재 식물 연구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옥상녹화 조성지가 증가함에 따라 향후 옥상녹화는 옥상 이라는 인공지반위에 녹지를 도입하는 수준을 벗어나 생물 서식지의 개념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설계 단계에서 식재 및 관리에 이르기까지 양호한 생물 서식공간 으로의 조성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판단된다. 또한 장기적으로 식재 식물을 조사하여 지역에 적합하고 관리가 용이한 옥상녹화 수종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사료 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mote the utilization of fish paste added with green laver powder as a food product. The tested concentrations of green laver powder were 0, 3, 5, and 7%. The pH of the samples ranged from 6.71 to 6.90, and moisture content ranged from 70.03 to 70.57%. The L and a values of the samples decreased as the concentration of green laver powder increased and b value increased. Folding test in all test samples showed AA that mean good flexibility. In the texture meter test, hardness, cohesiveness, and springiness increased according to increasing concentration of green laver powder. However, gumminess and brittleness of the fish paste decreased upon addition of green laver powder. In the sensory evaluation, fish paste prepared with 5% green laver powder was preferred over other fish past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green laver powder can be applied to fish paste for the purpose of high quality and functionality.
The migratory locust, Locusta migratoria, is one of the famous insect pests in the world. This species reveals several morphological variations; however, it is largely divided into two lineages, Southern (Africa, Southern Europe, Southern Asia, and Australian) and Northern (East Asia, Eurasian continent). In 2014, a large number of L. migratoria with red-brown color were suddenly occurred in the southern region (Haenam-gun, Jeollanam-do) in Korea. Generally, L. migratoria collected in Korea has revealed green color, indicating that the occurrence of the red-brown L. migratoria is unprecedented. In this study, mitochondrial COI sequences of 6 red-brown and 6 green individuals of L. migratoria were analyzed to examine 1) linage of the Korean L. migratoria and 2) co-relation between color and genetic difference. The analysis results reveal that all 12 individuals are belonging to the Northern linage; however, they have genetic divergences from 0% to 0.9%, consisting of five haplotypes. In addition, the red-brown and green individuals did not show genetic differences. Our study suggests that the Korean L. migratoria has genetic divergence which do not related with color differences. Additional studies should be need to examine the origin of the Korean L. migratoria and their geographical relationships.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와 저탄소 소비행태를 향한 움직임이 일어남에 따라 이에 대한 대처가 요구되고 있으며, 국제적인 유가상승은 그린카에 대한 소비자들의 니즈를 촉발시키고 있다. 본 논문은 그린카 산업 플랫폼 구축 정책과 기업전략을 도출하기 위한 선행 연구로서 이를 위해 정책프레임 및 실증분석, 개념적/수리적 모델링, 시스템 다이내믹스, ABM 등의 다양한 방법론을 사용하여 다각적으로 접근, 통합하여 플랫폼 관점에서의 학제적 연구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그린카 사례 분석을 위한 산업플랫폼 분석 프레임워크를 도출하고, 필요한 구성 요소들을 제시하였으며 계량경제학 모형을 적용하여 그린 플랫폼(양면시장)에 관련된 기본 모델을 수립하였다. 또한 동태적인 관점에서의 분석을 위해 시스템 다이내믹스 모형을 그린카 환경에 접목하여, 특정 그린카 산업분석에 적용할 수 있는 시스템 다이내믹스 분석 모델을 수립하였다. 마지막으로 보다 미시적 관점에서 한국의 하이브리드 자동차 시장의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ABM을 이용하여 개별 소비자 관점에서 연구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현 한국시장에서 실행 중 혹은 실행 예정인 하이브리드 자동차 정책에 대한 분석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consumers' attitudes toward pro-environment, and their actual purchasing behavior. It aimed to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s of the consumers' attitudes toward pro-environmental products, the importance of the product attributes and the perceived value of the companies' environmental activities, on their purchasing behavior of eco-friendly fashion products, including their satisfaction, trust, and repurchase intention. Th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on 304 married women with previous experience of buying eco-friendly fashion produc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nsumers' behavioral patterns in terms of environmental concerns and the purchasing of eco-friendly household items were significantly positive in relation to the purchasing behaviors of eco-friendly fashion products. Second, the importance of eco-friendly attributes was significantly positive in relation to the purchasing behaviors of eco-friendly fashion products. Third, the perceived value of corporate environmental activity was not related to the purchasing behaviors of eco-friendly fashion products. Finally, the purchasing behavior of eco-friendly fashion products was significantly positive in relation to the satisfaction with eco-friendly fashion products as well as the trust and repurchase intention, and satisfaction and trust positively affected the repurchase intention. The implication of the research and direction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In Jeju Island, Korea, a demonstration complex for smart grid technology was established to demonstrate the efficiency and feasibility of five fields, such as ‘smart place’, ‘smart transportation’, ‘smart renewable’, ‘smart power grid’, and ‘smart electricity service’. The demonstration of the efficiency and feasibility of this technology ended in May 2013 and now the second stage projects are proceeding to expand the scope of the above fields. Also, Dae Kyung Engineering Co., Ltd., one of the professional engineering businesses in Jeju Island, is steadily expanding its green industry domain in the ‘smart renewable’ and ‘smart transportation’ fields by establishing consortiums with major companies. I would like to introduce how a small and local company’s passion for a ‘green’ technology led to establishing ‘green’ communities and inducing changes in the world through developing ‘green’ technologies. A case of ‘Gapado (Gapa Island)’ which is a small island belonging to Jeju Island is quite relevant example of this kind of change and experience. Gapado has become a green island and dreamt about making the world greener through the networks with other islands and local governments around the world. In the future, the International Green Island Forum Corporation will hold forums on environment and green technologies regularly and build networks with local governments at home and abroad and businesses which aim at supporting ‘green and carbon-free islands’. Through this, the forum will contribute to conserving islands’ unique ecology and culture and pursue development in island areas using new and renewable energy and realizing where no carbon is emitted. We are looking forward to seeing people all around the world who dream green islands, and eco cities join forces with us.
Next to brand manufacturers, retailers are increasingly incorporating ‘green’ issues in their store brands. Although a lot of studies are devoted to comparing store brands with national brands (e.g., Steenkamp et al., 2010), there is limited research that compares these two types of brands in a ‘green’ context. This study investigated what factors influence the consumption of ‘green’ store brands and national brands by focusing on three important determinants: brand equity, store image and brand identification.Different models are tested in which we incorporate both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these constructs on green brand consumption. Using the context of organic food brands, we conducted a longitudinal online panel study among consumers in Australia, Canada, Germany, the Netherlands, the UK and the US. Participants complete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nd, for each country, received either a questionnaire on store brands (n = 562) or on national brands (n = 302).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for store brands, brand equity and brand identification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brand consumption. Additional analyses indicated that brand equity was not mediated by store image, but that store image moderated the effect of brand equity on brand consumption. For national brands, store image and brand identification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brand consumption. Mediation analysis showed partial mediation of brand equity by store image. We did not find a moderating effect of brand equity on brand consumption for national brands.Our findings indicate that for ‘green’ store brands,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equity and consumption is strengthened by consumers’ image of the store. In contrast, for national brands,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brand equity and brand consumption is not strengthened but actually partially determined by the current image of the store where that brand is sold. In addition, identification with the green brand seems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brand consumption for both store brands and national brand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ole of green perceived value, green trust and perceived quality on the adoption behavior of green consumers.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ample of 188 respondents and a partial least squares approach was used to validate the research model.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both green perceived value and perceived quality have a direct influence on green purchase intention. Green trust also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green perceived value and green purchase intention, which in turn predicts the purchase behavior of green products. The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the drivers of green product adoption are represented by green perceived value, green trust, and perceived quality. Marketers should be putting more emphasis in this relatively new approach of green marketing strategies to induce purchase and adoption of green products by creating competitive advantages for the compa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