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52

        541.
        1991.08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to identify the ineffectiveness of inter-connected system of cargo volume between the Pusan Port and inland areas and also to make more rational suggestion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by analyzing Container Cargo Traffic from BCTOC to Off-Dock CY: 1. There existed about 30% to 50% reduction in the container transport times when the container transport vehicles were operated during the off-peak period to alleviate the traffic congestion due to mixed traffic. 2. There appeared to be more economic when Off-Dock DY's scattered around the City of Pusan were unified in one ODCY Unit at YangSan, and the Exclusive Overpass Freeway System for the container transport vehicles were constructed and operated on the existing Urban Freeway from BCTOC ti this ODCY Unit (Expected to make about 230 billions Won in net present value by NPV method).
        542.
        199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88년도 강원도내 산간고랭지 등 국지적으로 발생한 랭해피해양상을 조사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저온 경과시기는 지역간 차이는 있으나 7월 23일부터 8월 2일 사이로 감수분열기에 해당된 벼가 장해형 랭해를 유발하였다. 이때 최저극기온 횡성군 둔내면은 8.5℃ , 평창군 진부면은 5.7℃ 였다. 2. 저온피해지역은 표고 300m 이상 산간고랭지가 대부분 해당되는 지역이었다. 3. 랭해피해지역의 임실비율이 80% 이상 되려면 감수분열기 13일간 평균기온 적산온도 285℃ , 최저기온 적산온도 225℃ 이상, 17℃ 이하 지속일수 5일 이하로 경과하여야 함을 추정할 수 있었다. 4. 감수분열기 저온피해정도별 수량은 총재배면적 총피해품종면적/총면적 감수 분열제 피해면적/총피해품종면적 총예상수량 임실장해율로 산출할 수 있다.
        543.
        199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를 이용하여 국내외 재래종과 야생종 대두 계통들의 trypsin inhibitor의 변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본 시험이 시도되었으며 1706계통의 한국산 재래종과 103계통의 한국 야생종콩, 그리고 167계통의 외래 재배종과 71계통의 외국 야생종 대두가 공시되었다. 2. Trypsin inhibitor를 함유하지 않은 ti/ti형과 Ti c/c형은 한국 재래종에서만 발견되었으며, Ti* c형을 Hymowitz도 일본 대두품종에서 보고한 바 있으나 그도 이 계통은 한국 도래종일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한 바 있다. 3. 한국기원의 콩에서 trypsin inhibitor에 관한 이형접합형의 출현빈도가 외국 기원 콩 계통에서 보다 비교적 높았으며, 재래종에서 3.6%(N=61)와 야생종에서 9.7%(N=10)이었으며 종합적으로 보아 중국, 일본 등의 대두에 비해 한국 기원의 콩이 가장 큰 변이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544.
        197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간척답에서 생육한 수도의 근군의 형태 형성을 알기위하여 간척답과 숙답에서 재배된 수도의 근군을 채취하여 비교·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간척답에서 생육한 수도 의 근군은 작토의 표층부에 밀집되어 있는 상태였으나, 숙답에서 생육한 수도의 근군은 작토의 심층부까지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었다. 2. 간척답에서 생육한 수도의 근군 발달은 숙답에서 생육한 수도의 근군보다 불량했다. 이와 같은 경향은, 특히 이식 직후 출근하거나 관근의 원기가 형성되는 하위 요소에서 뚜렷하게 나타났다. 3. 재배 토양에 관계없이 유수형성기 이후에 출근하는 요소에서는 생장중지형 관근이 점하는 비율이 생육 초·중기의 그것보다 높았다. 4. 분기근의 형성밀도는 수도의 생육후기에 출근하는 관근을 제외하고는 간척답에서 생육한 수도가 숙답에서 생육한 수도보다 높았다.
        545.
        1979.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전형적인 조숙성 재래종의 특성은 월동전에는 잎이 담녹색 광엽 직입이며 성숙시에는 화모이 짧고 직수이며 입중이 가볍다. 또한 내한성이 약한 재내종도 상기 조숙성 품종과 같은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는 한숙성과 약한 내한성간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당연한 것으로 생각된다. 2. 강한 내한성과 관련된 특성은 않지 않으나 대체로 월동전에 포복형이거나 반포복형이며 엽색은 녹색 또는 암녹색을 띠며 협엽, 장간, 당숙인 경향이 있다. 2. 강한 내한성과 관련된 특성은 많지 않으나 대체로 월동전에 포복형이거나 반포복형이며 엽색은 녹색 또는 암록색을 띠며 협엽, 장간, 중숙인 경향이 있다. 3. 조숙성 집단에서 내한성이 강한 품종의 선발은 대단히 어렵고, 또한 매년 합리적인 내한성 검정을 실시하기란 극히 곤란하나, 본 내항성과 관련된 형질연구에서 중생인 재래종을 이용하므로서 내한성이 강한 품종이 선발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4. 중생이며 내한성이 강한 품종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특성은 장망, 장수, 장립, 장간, 늘어진잎, 중간지엽폭 및 장, 중간화경장, 월동전의 반포복형 및 중간엽폭 등이며, 중생이며 내한성이 약한 지엽이 넓고, 월동전에 잎이 직입, 담록색, 광엽 등의 특성이 있다.
        546.
        197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육도의 출수기의 유전에 관한 정보를 얻고자 5개의 육도품종과 수도품종 통일을 전조합 이면교배하여 출수기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동기온실에서는 F1 의 출수기는 모두 양친의 평균보다 단축되었던 바 출수기가 빠른 쪽이 우성이었고 우성의 정도는 부분우성을 나타내었으며 비대입 유전자간의 교호작용은 인정되지 않았다. 2. 하기포장에서는 교배조합에 따라 F1 의 출수기가 우친의 평균보다 단축되거나 혹은 지연되었는데 평균 우성의 방향은 출수기가 늦어지는 쪽이었으며 우성의 정도는 회귀선이 원점위를 통과하여 부분우성을 나타내고 었었다. 3. 하기포장의 경우 Wr, Vr간의 회귀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고 Unit slope과도 멀어 비대립유전자간의 교호작용이 인정되었는데 평화나 와 삼낭에 교호작용을 유발하는 인자자리가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4. 동기온실의 경우 평화나 및 청국대왕은 우성대에 포천장망벼와 농림나 001는 열성대에 위치하였는데 하기국장에서는 삼낭과 청국대왕은 우성대에 그리고 통일과 농림나 001는 열성대에 위치하고 있었다.
        547.
        197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deals with the study of the effective reflecting area of the land targets for the improvement of the map of the Radar Simulator,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ictures on P.P.I Scope. It is very important to anticipate the effective refiecting area of land marks, either forinterpretation of radar scope or for simulating accurately the radar scope, but has seldom been studied theoretically or experimentarily, especially on the stand point of simulating the radar scope. Most of the maps of Radar Simulator in use are made without consideration of the effective reflecting area of land marks, so that the P.P.I. Scope of the Radar Simulator may show much different pictures from the actual shore line and other targets. This paper has derived the following conclusiions by experimental procedures. 1. The effective area of the land target greatly varies according to the gradient of the contours, roughness and material of the land surfaces, so that simulator maps of uniformly coated land taret practically used now many be effectively improved by varying the intensity of the land marks proposed in this paper. 2. The intensity of the land targets on the P.P.I. is also related much to the distance from the radar, so that the precalculation of this effect may results in a much simulated P.P.I. picture improved. 3. If the ambient condition is constant, the intensity of the picture increases as the height of the targets is increased.
        548.
        197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간척지 제염정도에서 유실되는 유효한 비료성분을 흡착하고 완급하여 비효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토양개량제인 Zeolite를 시용하여 수도 생육과 그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Zeolite를 시용한 처리구에서의 토양염도 변화는 최고분얼기 이후에 무시용구에 비해 0.07∼0.12%차로 감소되었다. 2) 수도생육에 있어서 Zeolite시용 효과는 각 구 공히 Zeolite 600kg시용구가 양호하였으며 그 효과는 최고분얼기에 현저히 나타나 수량까지 영향을 미쳤다. 3) Zeolite시용구에 있어서 수수 및 일수영화수는 증수요인으로 작용하였고, 유효경율과 등숙비율은 수량과 부의 경향이었다. 4) 현미수량에 있어서 Zeolite시용 효과는 인도형인 '유신'이 일본형인 '진흥'보다 현저하게 나타났다. 5) Zeolite시용에 있어서 양 시비(표준비구와 1.5신 비구 및 품종(유신과 진흥) 처리구 공히 600kg/10a가 적정량으로 인정되었다.
        549.
        197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개간지에서 대두를 재배함에 있어서 시비의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개간지에는 10a당 N.P.K:4.10.8 kg의 시용구를 비롯하여 무비구를 포함한 6개 처리구를 설치하고 효과를 비교하고저 따로 숙전에다 N.P.K:4.10.8 kg의 시비구를 설치하여 수량과 성분함량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간지는 같은 수준의 시비에서도 숙전보다 청예수량이나 자실수량이 극히 적었고 자실의 단백질함량도 적었다. 2. 같은 개간지내에 있어서는 질소의 시용량이 많을수록 자실수량이 많았다. 3. 자실성분에 있어서 숙전은 단백질과 지방함량이 개간지보다 많았고 탄수화물은 개간지가 숙전보다 많은 경향이었다. 4. 개간지에 있어서 자실성분함량은 처리간에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5. 수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100입중, 1주협수 간장 간중등은 자실수량과 정의 상관을 나타냈으며 1%수준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550.
        197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야산개간지토양과 숙전토양을 대상으로 토양중 치환성 알미늄의 중화량에 해당하는 량의 석회를 시용한 조건과 석회를 시용하지않은 조건하에서 인산을 토양의 인산흡수계수의 2.5%, 5%, 7.5%에 상당하도록 다량시용 했을 때 용인과 중과석에 대한 대두의 반응을 조사하고, 석회시용이 2종류의 인산질비료의 비효에 어떻게 영양하는가를 구명하고자 pot에서 시험을 수행했던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산다량시용 및 석회시용으로 야산개간지토양의 비옥도는 당년에 크게 증대되어 작물의 생육을 양호하게 하였고 숙전 이상의 수량을 얻을수 있었다. 2. 일반적으로 비효면에서 용인이 중과석보다 우수했으며 인산질비료로서 용인을 시용할 경우 중과석 보다 높은 수준의 양을 요구했다. 3. 식물체내의 가리함유율은 토양 및 식물체중의 √Ca+Mg의 크기와 통계적으로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 개간지토양에서 용인단용구 및 석회와의 병용구는 파종후 40일경까지의 생육이 부진하였는데 이는 식물체의 인산 및 가리흡수율인 낮은데 기인했던 것 같다. 5. 용인단용 및 석회와의 병용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앞으로 용인과 석회의 시용적기확인 및 석회, 약토, 가리의 균형시비를 감안한 가리시용량의 증대, 작물생육초기에 용인중의 인산용출속도문제등에 관한 연구가 있어야 할 것 같다.
        551.
        196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기상재해로 인한 극만앙의 경우 합리적인 저묘방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행하여 졌던바 그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경영적인 면에서 어떠한 저묘방법도 7월 20일 이후 이앙의 경우에는 효과를 기대할수 없다. 2. 이앙후의 수도생육은 건묘구가 가장 좋았고 다음이 비닐저묘상처리구 였으며 전엽처리나 묘솎음처리는 묘의 노화방지에 거의 효과가 인정되지 않았다. 3. 수도의 현미수량은 7월 20일 이앙의 경우 건묘구 (378kg/10a)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이 비빌저묘상처리구(약280kg/10a)였으며 7월 30일 이앙의 경우에는 건묘구에서는 222kg/10a로서 가장 높았으나 그 외 다른 처리구에서는 모두 90kg/10a미만이었다.
        552.
        196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 수도작개량의 방향은 단위당 수량을 향상시키되 어디까지나 지역전체에 고도기술의 적용으로 고단수를 평준화시키면서 능률면에서도 공동작업관리로 이끌어 노동생산성을 높혀야 한다는데 있으므로 이를 구현하는 생산체제인 수도집단재배의 수행을 위한 이론을 연구하고 그 발전을 위한 기대효과와 전망을 구명하여야 하는바 현재까지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도작지대에서 고단수의 평준화를 위한 생산기술을 보급하고 고능율의 경영을 위해서는 집단재배가 가장 효과적인 방법의 하나이다. 2. 효과적인 집단재배를 실천하기 위하여는 단지의 수리, 토양, 품종 기타 영농상황을 보다 체계화하여야 한다. 3. 이와같은 기간재배기술은 경작농가의 협의에 의하여 재배력을 작성하고 단지내에서의 모든 재배법은 재배력에 의하여 통일되며 기간기술의 작업은 공동으로 하고 기타 세부작업은 개발로 한다. 4. 개별경영에서는 충실하게 도입되기 어려웠던 기술이 집단재배에서는 용이하게 도입될 수 있었으며 1968년도의 전국 집단재배 성적을 보면 일반재배에 비하여 평균 23.3%의 증수를 보이고 있다. 5. 현재 우리나라 집단재배의 형태는 초보적인 협정 영농형을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는데 일부작업에는 공동작업형 및 청부작업형도 드물게 결합되고 있는 것이 보이고 있으나 앞으로 보다 안정다수확을 위한 성력화 또는 대규모의 기계화를 위해서는 공동작업형을 촉진시키면서 입지조건에 따라 기술신탁형이나 청부작업형을 결합시켜 나가는 방향으로 발전되어야 할것이다.
        26 27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