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본 연구는 중년기 성인의 감각 처리 능력과 직무 스트레스 및 여가활동 정도를 알아보고, 감각 처 리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 및 여가활동 및 수면과의 상관성을 규명하여 중년기 성인에서의 감각 통합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청소년/성인 감각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40-50대의 중년기의 성인 남자 107명, 여자 100명을 대상으로 감각 처리 능력과 직무 스트레스 및 여가활동을 평가하였다.
결과 : 첫째, 중년기 성인의 ‘감각등록 저하’, ‘감각 민감’ 및 ‘감각 회피’는 ‘대부분의 사람들과 유사’한 양 상을 나타냈지만, ‘감각 찾기’는 대부분의 사람들보다 감각 자극을 적게 받아들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 째, 중년기 성인의 감각 처리, 직무 스트레스, 여가활동과의 상관관계 결과, ‘감각 찾기’에 적극적인 사람 들이 스트레스가 적고 여가활동에 더 많이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년기 성인의 감각 처리와 직무 스트레스, 수면과의 상관관계 결과, ‘감각등록 저하’와 ‘감각 민감’이 높을수록 직무 스트레스가 높 게 나타나 수면 부족이 중년기의 감각 통합 활동과 직무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감각 처리 능력이 중년기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며, ‘감각 찾 기’가 직무 스트레스와 여가활동의 참여와 관련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paper,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Al-graphene nanoplatelets (GNP) composites surface engineered by a modified friction stir processing (FSP) is reported. Here, multiple micro channels (MCRF) are used to incorporate GNPs in the aluminium matrix instead of a single large groove (SCRF) that is usually used in conventional FSP. With the MCRF approach, ~ 18% higher peak temperature (compared to SCRF) was observed owing to the presence of aluminium sandwiched between consecutive microgrooves and higher heat accumulation in the stir zone. The MCRF approach have significantly reduced the coefficient of friction and wear rates of the processed composites by ~ 14% and ~ 57%, respectively as compared to the SCRF approach. The proposed reinforcement filling method significantly improves the particle dispersion in the matrix, which in turn changes the adhesion mode of wear in SCRF to abrasive mode in MCRF fabricated composites. The uniformly squeezed out GNP tribolayer prevented the direct metal to metal contact between composite and its counterpart which have effectively reduced the deterioration rates.
우리나라는 여러 건의 여객선 사고를 겪으면서, 여객선 안전관리를 위해 다양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2021년 기준 우리나라 연안을 운항하는 여객선 162척 중, 차량갑판이 개방된 형태의 차도선이 105척(65 %)을 차지하고 있다. 차도선은 2~4개의 섬을 경유하는 운항 패턴을 가지고 있다. 출항지(모항)에서 안전점검은 선원과 운항관리실의 운항감독관, 해사안전감독관에 의해 실시된다. 경유지에서 의 안전점검은 자체점검이 실시되는 경우가 있다. 여느 제도와 마찬가지로 제도적, 현실적 한계 등이 있다. 이를 위해 영상처리기법을 활 용하여 차량을 검출하고 이를 선박 복원성 계산과 연동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차량 검출을 위해 차영상을 이용 하는 방법과 기계학습을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검출된 데이터를 선박 복원성 계산에 활용하였다. 기계학습을 통해 차량을 검출하 는 경우, 차영상에 의한 차량 검출 방법보다 차량 식별에 안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카메라가 일몰과 같은 상황에서 역광을 받는 경 우와 야간과 같은 상황에서 부두와 선박 내부의 강한 조명에 의해 차량이 식별되지 않는 한계가 있었다. 안정적인 영상처리를 위해 충분 한 영상 데이터 확보와 프로그램 고도화가 필요해 보인다.
목적 :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을 위한 가정환경 기반의 감각처리반응의 평가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과정은 사전연구와 문헌고찰을 통하여 수집한 학령전기 아동의 가정환경과 관련된 감각처 리반응 항목들을 기초로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조사는 감각통합치료 경험 5년, 석사 학위 이상을 획득한 작업치료사 20명을 대상으로 총 3회를 실시하였다. 델파이조사를 통해 내용타당도 지수(Content Vailidity Ratio; CVR), 안정도, 합의도, 평균지수를 산출하여 항목의 적절성 여부를 평정 하였으며, 학령전기 아동의 보호자를 대상으로 항목의 내용과 구성에 대한 이해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 자료수집과 델파이 조사를 통해 결정된 항목은 가정의 물리적 환경에 따른 6개의 영역으로 총 80 개 항목이었다. 각 영역별 항목은 일반적 환경 12항목, 거실 7항목, 주방 15항목, 침실 16항목, 화장실 19항목, 현관11항목으로 구성되었다. 최종 항목의 평균 CVR값은 .95로 높게 분석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국내 가정의 감각환경을 바탕으로 감각처리반응을 평가 할 수 있는 평가도구의 항목을 개발하고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추후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사용을 위해서는 각 평가항목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e, status and economic ripple effects of the fisheries processing industry in Korea using interindustry analysis. Five input-output tables published over the past twenty years have been reclassified with a focus on the fisheries processing sector. Through these multi-period tables, we analyzed changes in the inducing effects in production, value added and employment as well as the backward-forward linkage effec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industrial scale of the fisheries processing industry is very small compared to other food manufacturing industries. The backward linkage effect of the fisheries processing industry was greater than that of other industries, but the forward linkage effect was rather low. This means that the fisheries processing industry can be greatly affected by industrial depression of the downstream industries such as fishery and aquaculture. Production and employment-inducing effects of the fisheries processing industry have shown a decreasing trend in recent years. This reflects the reality that intermediate inputs are gradually being replaced by imports from domestic production due to the expansion of market opening and the depletion of fishery resourc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strategy to increase the value-added productivity of the fisheries processing sector and foster it as an export industry.
요즘은 4차산업혁명으로 교과별 AI(인공지능) 교육이 점점 강화되는 추세이다. 이런 관점에서 연구자는 2021학년도 1학기에 S중학교 한문 AI(인공지능)동아리 학생을 대상으로 AI(인공지능) 활용 한문교육으로 지식정보처리역량을 길러주는 사례를 찾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먼저 엠블럭 프로그램의 인공지능 기능 곧, 음성변환, 번역, 인식서비스, 기계학습을 활 용하여 한문 교육을 하였다. 번역에서는 한국어와 한문 사이의 번역에 활용하였고, 인식서비스에서 는 언어소리인식은 한국어 또는 한문을 인식하는데 활용하였고, 언어문자인식은 한자 자형을 인식 하는데 활용하였고, 이미지 인식은 한자 자형을 인식하는데 활용하였고, 이미지 묘사는 한문 관련 이미지 묘사를 설명하는데 활용하였고, 기계학습에서는 한자 자형을 기계학습하는데 활용하였다. 다음으로 머신러닝포키즈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인성을 인공지능으로 만드는 한문교육을 하였다. 다시 말하면 텍스트를 활용하여 선행, 악행, 효도, 불효, 신뢰, 불신이라는 인공지능을 만드는 한문교 육을 하였다. 이와 같은 한문교육으로 학생들은 스스로 AI(인공지능) 활용 한문교육으로 지식정보처리역량을 기르는 사례를 다소나마 익히게 되었다. 한편으로 지식정보처리역량 개발에서 실험집단이 작아서 그 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렵지만, 어느 정도 변화는 감지할 수 있었다. 앞으로 해당 학년 학생 모두 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이루어지면 소기의 결과를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Molds are actively used for mass production of products such as mobile phones. Molds are required to be durable and have a high level of surface roughness. Therefore, the optimization of mold processing is essential. In this study, the cutting processing of SDP20 steel used in molds was analyzed and optimized.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product productivity to which plastics are applied.
Base on the survey and financial statement on fish-paste processing company,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management efficiencies of fish-paste processing management using a data envelopment-analysis (DEA), In-depth interview and to find out their determinants. Model results show that the estimated mean management efficiencies obtained for the VRS and CRS DEA are 83.7% and 89.1%. In-depth interview results also show that efficiencies caused by scale of technical matter was greater than efficiencies caused by the scale of the company. Thus it implies that technical development is essential for achieving high-efficiency of fish-paste processing company more than expanding the size of company.
I propose an algorithm to detect defects in the production of wire mesh using computer image processing. The process is explained as follows, First reading consecutive frames coming through the camera, then the preprocessing process is performed. Second calculate the absolute difference between the two images to distinguish the moving wire mesh from the unnecessary background image. Third based on the past moving data of the welded wire mesh, predict and track future movement.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samples of some defective welded wire mesh products, it was confirmed that the horizontal line of the defective wire mesh had a higher height value of the tracked wire netting. Therefore it is possible to judge whether there is a defect or not at the same time without any additional process to judge. Finally, shear strength test were performed on the welds determined to be normal products by the algorithm proposed in this paper, so that I could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proposed algorithm.
Parts made from CFRP materials are fabricated by hand or using automated layup and forming techniques. Finishing must be performed to meet the requirements for the necessary dimensions and geometry to facilitate assembly with other component parts. Parts such as airplane wings require trimming, milling and drilling to make CFRP into its final shape. In this study, the machining characteristics of CFRP were evaluated by manufacturing an end mill with a changed helix angle of the end mill. The cutting force was the lowest at the helix angle of 60 degrees, but the peeling state of the surface was the best at the point angle of 45 degrees.
Aluminium metal matrix composites (AMMCs) are the fastest developing materials for structural applications due to their high specific weight, modulus, resistance to corrosion and wear, and high temperature strength. Carbon nanotubes (CNTs) is known as the material of the twenty-first century for its various applications in structural components for their high specific strength as well as functional materials for their exciting thermal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The present study comprise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Al/CNT nanocomposites fabricated through a solid state friction stir processing. The present review is primarily focussed on the dispersion and survivability of CNTs in the Al matrix because these are the key factors in decid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fabricated composite. Additionally, the formability, weldability and machinability of the FSPed fabricated composites reinforced with CNTs are also summarised here. Based on the detailed literature review, following research gaps are identified which require a critical and more focussed attention of the scientific community working in this research area: (i) the presence of agglomeration or clustering of CNTs in the composite, (ii) survivability and shortening of CNTs during FSP, (iii) interfacial reactions or the formation of reaction products (such as Al4C3) between Al matrix and CNTs, and (iv) the unidirectional alignment of CNTs in the fabricated composite. Important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in effective dispersion of CNTs with its preserved structure by FSP are also provided.
국제통증연구학회(IASP)에 따르면, 신경병증성 통증은 정상 조건에서 중추신경계에 유해한 정보를 전달하는 신경계 기능 장애로 특징 지워진다. 이런 통증은 말초 혹은 중추 신경계에 확인 가능한 병변이 있는 질환과 어떠한 신경에도 병변이 없는 상태에서 발생하는 상황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두 가지 상황 모두 장기적이고 만성적인 변화과정을 겪게 되며, 결과적으로 신경계가 부적절하게 적응하여 치유되기 어려운 만성통증 증후군으로 발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통증 치료는 진단에서부터 치료까지의 과정이 어려운 탓에 현재까지도 특별한 해결방안이 부족한 실정이다. 최근 자기공명영상(fMRI), 양전자방출단층촬영법(PET), 광영상(optical imaging) 등 영상분석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통증을 유발할 수 있는 유해 자극에 대한 중추신경계의 반응을 영상화하는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영상 기법들을 통해 통증을 해석하고 처리하는 뇌 영역에서 시냅스 간 가소성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신경병증성 통증을 비롯한 만성통증과 학습과의 상호 작용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본 연구는 병리적 통증의 기전과 통증 자극에 따른 뇌의 구조적, 기능적 변화에 대해 최근까지 밝혀진 연구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만성적 통증의 정의와 발생기전을 되짚고 새로운 연구 동향을 살펴보는 것은 통증을 완화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