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09

        641.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국내에서 최초로 완전 복합신소재 교량을 현장 적용하여, 실제 차량하중 재하실험 및 공용 중 내 하력 평가를 실시 하였고 설계 제작 설치 등을 기술하였다. 현장적용에 앞서 교량상부구조 설계에 대한 검증을 위해 축소모형 교량상부구조를 제작하여 실내실험을 실시 하였다. 실험결과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유한요소해석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분석된 자료는 향후 복합신소재 교량의 설계 제작 설치에 대해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기 를 기대한다. 장기거동 성능에 대한 충분한 데이터가 없지만 복합신소재가 소형 교량에 혁신적인 재료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장재하실험을 통한 공용중인 상태에서 복합신소재 교량의 내하력등급을 통하여 장기 성능실험에 대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자료는 복합신소재 교량의 장기 성능평가에 자료로 제공 될 수 있다 .
        4,300원
        642.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mal emissivity of nuclear graphite was measured with its oxidation degree. Commercial nuclear graphites (IG-110, PECA, IG-430, and NBG-18) have been used as samples. Concave on graphites surface increased as its oxidation degree increased, and R value (Id/Ig) of the graphites decreased as the oxidation degree increased. The thermal emissivity increased depending on the decrease of the R (Id/Ig) value through Raman spectroscopy analysis. It was determined that the thermal emissivity was influenced by the crystallinity of the nuclear graphite.
        4,000원
        643.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도로안전 시설물의 풍하중에 의한 손상발생 사례를 토대로 현행 도로안전 시설물의 구조적 휨 성능을 평가하고 이에 대한 부재별 휨 성능개선을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구조물로는 대표적인 도로안전시설물이며 풍하중에 대한 선행 피해사례가 밝혀진 방음벽 지주프레임을 대상으로 고려하였으며 이들 지주프레임의 휨 구조성능 및 형상설계에 대한 평가를 우선적으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평가 결과에서 나타난 현행 보강재의 구조적 성능을 토대로 중량 대비 구조적 강성이 우수한 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 (GFRP)을 활용하여 다양한 보강 형태에 따른 성능개선방법을 해석 및 실험적 연구를 통하여 수행하였다. 그 결과 효율적 성능개선을 위한 GFRP 적용방법의 경우 구조적, 시공적 측면에서 효율적인 것으로 평가되었고 자체적인 형상단면 최적설계를 통한 개선방법도 성능보강에 효과적인 것으로 해석적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 적용된 GFRP 단면보강 및 최적형상설계 연구는 향후 노후 도로안전 시설물의 풍하중 또는 태풍으로 인한 피해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646.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파프리카를 재배하는 농가에서는 생산성 증대를 위하여 비닐하우스 측고를 관행 3.0m에서 4.5m까지 높이고 있으나 이에 대한 구조안전성 검토 없이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측고가 4.5m로 상승된 1-2W형 비닐하우스를 대상으로 풍속 40m·s-1, 적설심 40cm의 설계하중에 대하여 구조안전성 분석을 수행하고 적절한 구조보강방법을 제시하였다. 3차원 프레임해석을 이용하여 구조해석을 수행한 결과, 측면 방풍벽의 보강이 반드시 필요한 상태였으며 파프리카 작물하중으로 인하여 매우 취약해지는 중방의 보강이 요구되었다. 측면 보강 방법으로써는 외측 기둥과 방풍벽을 보강이음을 이용하며 서로 연결해주고, 외측 기둥 간격에 따라 방풍벽 부재를 보강하는 방법이 가장 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중방의 경우 비닐하우스 폭의 1/17~1/20의 높이로 2중 중방구조를 만들고 그 사이를 사재로 연결하여 트러스 형태로 보강하는 방법이 가장 큰 효과를 보였다.
        4,000원
        647.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ubterranean termiteslive in the soil and wood that is in contact with soil. They have to discover food by constructing underground tunnel networks. Once the food is discovered and connected to the galleries, one important aspect of the foraging behavior is the food transfer by individual termites moving within the existing tunnels that lead to multiple existing food sources. In order to reveal how much the tunnel network is reliable to the food transfer efficiency, we used a lattice model suggested by Lee et al. (2006), which is capable of simulating the tunnel networks of Coptotermes formosanus and Riparius flavipes. After constructing the simulated tunnel networks, we randomly distributed food particles on the tunnel networks and then computed path entropy for the networksby selecting and evaluating the shortest paths from encountered food particles to the nest. The path entropy measured the degree of reliability of the networks for the food transfer entropy.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path entropy between the simulated networks of C. formosanus and R. flavipe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ue to the combinational effects of the network components such as the number of primary tunnels and the branching probability. We discussed the meaning of the results in relation to termite foraging efficiency.
        648.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ubterranean termites excavate tunnels for searching and transporting food below the ground, which in turn causes complicated tunnel networks. In the present study, we explored the connectedness of the networks by using spectral graph theory. In the theory, tunnel network pattern can be constitutively expressed by the Laplacian matrix, and among the set of all eigenvalues of the matrix, the second eigenvalue directly reflects the degree of the connectedness. We constructed the simulated tunnel networks for Coptotermes formosanus and Riparius flavipes by the use of a lattice model suggested by Lee et al., (2006) and computed their connectednes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values of the connectedness between the two species were statistically-significantly different. We briefly discussed the results in relation to foraging efficiency.
        649.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와플구조의 구조적 거동에 파악하고자 한다. 와플슬래브의 두께, 주요 보의 깊이와 기둥의 크기를 변수로 하여 와플구조의 모드형상과 고유진동수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쉘요소와 입체요소를 사용한 유한요소모델의 해석결과를 비교하였다. i)레벨2에서 주요 보의 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ii)레벨3에서 와플슬래브 두께가 감소함에 따라 모드진동수는 증가하였다. 3차원 모델과 2차원 모델의 모드형상은 유사한 형상을 보였다. 또한, 3차원 모델과 2차원 모델사이의 모드진동수는 25%에서 36%의 차이를 보였다.
        4,000원
        650.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find a correlation between XRD and Raman result of the oxidized high modulus carbon fibers as a function of its oxidation degrees, and compare with the isotropic carbon fiber reported early. La of the high modulus carbon fiber prepared by oxidation in carbon dioxide gas have been observed using laser Raman spectroscopy. The basic structural parameters of the fibers were evaluated by XRD as well. The La of the original high modulus carbon fibers were measured to be 144 a from Raman analysis and 135 a from XRD analysis. La of the 92% oxidized fiber were 168 a by using Raman and 182 a by using XRD. There was some correlation between the La value obtained from Raman and XRD. However the La value changes of the high modulus carbon fiber through whole oxidation process showed opposite tendency compare with the isotropic carbon fiber because of the fiber structure basically.
        4,000원
        651.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건축가와 구조엔지니어가 어떻게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구조계획과 구조디테일을 발전시킬 수 있는 방법론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실제로 일반적인 건축물이 아닌 특수 건축물에서 구조적인 거동에 관한 조사 없이 디테일 해결이란 상당히 어렵다. 그러한 조사 없이 해결된 디테일은 힘의 흐름을 정확히 예측할 수 없고 단지 조형적인 이미지만 표현될 뿐이다. 건축가와 협력관계에서 디테일 해결하는 과정을 구조 엔지니어 입장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4,000원
        652.
        200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ructural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ried aloe vera gel by DIS (dewatering impregnation soaking) process under optimum conditions were investigated. FT-IR spectra for dried samples of DIS aloes showed the typical patterns of standard aloe polysaccharide, and surface structures by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were similar to a gel-like structure. In case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ried aloe samples by DIS process, solubilities and swelling powers of control (not osmotic treated aloe), DIS (S) and DIS (G), samples treated by osmotic solution of 60% sucrose/0.25% NaCl and 50% glucose/0.5% NaCl, were 48.3-57.3% and 8.3-11.7%, respectively,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amples, but swelling power of DIS (PEG), sample treated by using 50% polyethylene glycol as an osmotic agent was about 5 times higher that of control. Also, water holding capacities of control, DIS (S) and DIS (G) were similar to each other, but that of DIS (PEG) was about 5 times higher that of control. Oil holding capacities of control and DIS aloes maintained the 50.9-86.4% levels of water holding capacities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amples. Rehydration ratio of DIS (PEG) aloes were significantly dependent on the temperature of rehydrated solvent (water), and rehydration ratio of not-fileted aloe was about two folds higher than that of fileted aloe.
        4,000원
        653.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조선산업의 호황으로 인하여, 신생 조선소들이 많이 설립되고 있다. 이러한 조선소의 설비상의 특징은 기존의 조선소에 비해 규모가 크며, 또한 진수방식을 대형조선의 방식인 드라이도크 진수를 채택하고 있다. 본 연구 논문에서는 드라이도크 게이트의 구조 설계 및 유한요소법을 적용한 구조해석에 대해서 나타내고 있다. 설계는 트라이본을 사용하였고, 구조강도 평가는 범용 유한요소 해석 프로그램인 ANSYS Multiphysics 모듈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드라이도크 게이트는 자주 개폐를 하지 않으며, 도크내에서 일정한 건조 기간동안 외부의 해수압을 견딜 수 있는 구조 강도를 갖고 있어야만 한다. 실제적으로, 이 구조물의 설계 및 구조강도 평가에 대한 자료는 거의 찾아볼 수가 없어서, 설계 기준 및 합리적인 구조강도 평가에 대한 기준이 필요시 되고 있다. 향후 이러한 구조물의 설계 및 구조강도 평가에 본 연구논문은 기초적인 자료 및 참고문헌으로 유익하게 사용되리라고 판단된다.
        4,000원
        654.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LTPP(Long Term Pavement Performance) 연구에서 섬유보강 아스팔트 포장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국도 1호선 구간에 일반 아스팔트 포장과 섬유보강 아스팔트 포장을 각각 시공하였으며, 각각의 단면에 포장체 구조적 거동을 측정할 수 있는 계측센서를 매설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LTPP구간에서 수행된 차량재하시험과 FWD시험의 결과를 바탕으로 섬유보강 아스팔트 포장의 구조적 성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결과, 차량재하시험에서 섬유보강재를 사용할 경우 표층하단부의 변형률이 크게 저감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일반 아스팔트 포장보다 응력중립축이 상승하여 일반 아스팔트포장은 중간층 하단에서 압축변형이 발생하는 반면에, 섬유보강 아스팔트포장은 중간층 하단에서 인장변형이 발생하였다. 반면 기층 하단부에서의 인장변형률은 두 포장형식 모두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FWD 시험에서도 섬유보강재를 사용할 경우 약 24% 정도 표면 처짐 량이 저감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섬유보강 아스팔트 포장이 소성변형에 대한 저항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고 판단되며, 향후에 포장상태조사를 통해 장기포장공용성에 대한 연구가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4,300원
        655.
        200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plan and structural system of 4 kan(間) by 4 kan(間) square church built in early 20th century. At that time, three kinds of traditional wooden structure church had been built under the circumstances of transitional era : Basilica style such as Ganghwa Anglican Church, ‘ㄱ’ shaped style such as Keumsan Church and 4×4 Square style such as Bukok Church and Jacheon Church that are concerned in this study. Traditional plans and structural system were mixed with new religious function and transformed into korean peculiar style. 4×4 Square style is a residual product in that process. Despite of it, little concerns on it till now.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escribed as follows. 1. The plan of these 4×4 square churches is divided into three areas : cathedra(1×1), attendance(4×2), and intermediation(4×2). The location of cathedra is commonly the opposition part of main gate and projected out of the building. Attendance area was also divided into two, man and woman, because of keeping a distance with each other. 2. The structural system of these 4×4 square churches are somewhat different because of their size and roof style. In the case of Bukok church, 4×4 square fall off 3×3 and 2×2 gradually and turn into paljak(八作) roof, which enable us to get in traditional entering methods. On the contrary, Jacheon church use hipped roof but almost alike pyramidal roof, which could make us not to recognize entering in the aspect of gable part.
        4,800원
        656.
        200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민소득수준의 향상에 따라 국내 건축물의 디자인 및 사용목적의 대한 다양성이 요구되고 있다. 대공간 구조물은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적합한 구조물로서 최근 대공간 구조물에 대한 설계 및 시공법에 관한 관심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트러스구조는 대공간 구조에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구조시스템으로 트러스의 부재는 단면의 효율이 높은 강관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현재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강관은 생산처에 따라 다양한 제품이 생산되고 있으나 강관 소재의 출처 및 강관 자체의 실제 성능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일반구조용 각형강관, 원형강관 및 비계용 강관에 대하여 소재의 인장시험과 Stub-column 압축시험 및 기둥의 좌굴실험을 통해 강관의 소재성능 및 구조부재로서의 압축성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소재시험결과, 구입처 구분 및 단면형상에 따른 강관 소재성능의 편차가 확인되었다. 기둥좌굴 실험결과, 각 실험체의 압축내력은 LSD 기준곡선에 만족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SSRC 곡선1, ECCS-a곡선에 상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4,200원
        657.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 (PRRSV), CA, which was isolated from the serum of an infected pig in 2006, we investigated the nucleotide sequence and expression of the structural ORFs (ORFs 2 to 7) using the bApGOZA system. We found that the structural ORFs 2 to 7 of CA consisted of 3188 nucleotides that were the same as those formed from VR-2332. Comparison of the CA with the other strains revealed nucleotide sequence identity ranging from 89.8 to 99.5%. To better understand the genetic relationships between other strains, phylogenetic analyses were performed. The CA strain was closely related to the other North American genotype strains but formed a distinct branch with high bootstrap support. Additionally, expression levels of the PRRSV proteins in Sf21 cells were strong or partially weak.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for both the taxonomy of PRRSV and vaccine development.
        658.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 (PRRSV) has six structural proteins which encoded by ORFs 2 to 7 are designated as GP2, 3, 4, 5, M and N, repectively.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expression of each protein using novel transfer vector, pBmKSK4 which has the polyhedrin promoter of BmNPV and 6xHis tag. The recombinant transfer vector was co-transfected into Bm5 cells along with bBpGOZA DNA. Recombinant virus was purified by plaque assay and amplified in Bm5 cells. Expression of each protein was identified by SDS-PAGE and Western blot analysis using anti-6xHis monoclonal antibody. The expression levels of the structural proteins in Bm5 cells were stronger than the expression system using pBacPAK9 transfer vector in Sf21 cells. As expected, GP5 was expressed at low levels from its structural properties and its toxicity for cells. In addition, each recombinant protein was purified using Ni-NTA spin columns. The ability to produce each protein in the baculovirus system indicates that these could be major candidates for the development of a vaccine against PRRSV.
        659.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1-2W형 온실의 구조를 개조하여 착색단 고추 재배온실로 이용하고 있는 온실의 구조의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SAP-2000에 의한 구조해석 결과 1-2W기본형 온실의 기둥을 1.2m높였을 경우, 구조물이 견딜 수 있는 한계적설심은 변화는 거의 없으나 한계풍속은 약 26.0~41.0m/s정도로서 기본형에 비하여 약 3~18% 정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풍하중 작용시 변형도를 비롯하여 축방향력, 전단력, 휨모멘트 등의 최대단면력은 기본형이나 개조형에 관계없이 거의 유사한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최대단면력은 풍상측의 처마높이 부위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하중 작용시 변형도를 비롯하여 축방향력, 전단력, 휨모멘트 등의 최대단면력은 기본형이나 개조형에 관계없이 거의 유사한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축방향력을 제외한 최대단면력은 처마높이 부위에서 발생하였으며, 최대축방향력은 내측기둥에서 발생하였다. 한계적설심에 대한 내측기둥의 좌굴은 모두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장비 또한 제한값 범위내에 들어 기본형 및 개조형 모두 만족하였다. 기초의 인발저항력과 지내력은 기본형과 개조형에 관계없이 모두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660.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유한요소해석 코드인 ANSYS를 이용, 폭 5.6m간이 느타리재배사를 3차원 강뼈대 구조물로 모델링하여 베드기둥 형태 및 파이프 규격에 따른 구조적 안전성을 분석하였으며 허용응력 설계법에 기초해 구조안전 여부를 판단하였다. 전산구조 해석 결과, 베드기둥에 따른 구조적 안전성은 안전적설심의 경우, 직립형 베드기둥 구조가 다른 베드기둥 형태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으나 안전풍속 측면에서는 형태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까래 규격과 베드기둥 설치 간격에 따른 구조적 안전성은 본 연구에서 고려한 파이프 규격 범위에 있어서 안전풍속 측면의 경우, 베드기둥 설치간격보다 시설 외부적 요소인 서까래 간격에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안전적설심 측면에서는 안전 풍속과는 반대로 서까래 간격보다는 시설 내부적 구조물인 베드기둥 간격이 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베드기둥의 좌굴에 대한 안전성은 해석의 모든 경우에서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