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94

        2323.
        200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Clark 방법으로 유역유출해석을 수행할 때 요구되는 시간-면적곡선을 GIS 기법을 이용하여 객관적으로 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 이와같은 시간-면적곡선이 유출해석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는데 있다. Clark 방법의 세 매개변수인 시간-면적곡선, 저류상수 및 도달시간의 상대적인 비교를 위해 1990. 9. 10 ∼ 9. 14 홍수사상을 선택하여 소양댐 및 충주댐 유역에 대해 유량의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특정유역의
        2324.
        2003.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determine as optimal sowing time of forage rape in spring time in southern areas of Korea, forage rape cv. Velox, the highest yielding variety among introduced varieties of forage rape, was grown under five different sowing times. Yield components such as plant length, number of branches and number of leaves etc. were higher at the sowing time of Mar. 15 and Mar. 25. The plants sown at Mar. 15 and Mar. 25 also showed highest fresh and dry matter yield. When plants were grown under later sowing time, they showed higher values in content of crude protein and lower values in contents of crude fiber such as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cid Detergent Fiber (ADF), cellulose and lignin.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variation of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and sowing time. The plants sown at Mar. 15 and Mar. 25 showed highest digestible dry matter yields.
        2325.
        200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해저 광테이블 공사는 해양조사, PLGR(Pre Lay Grapnel Run), 천해부공사, 포설/매설 순서로 이루어진다. PLGR은 케이블의 해저면 안착을 용이하게 하고, Plough 및 ROV(Remotely-Operated Vehicle)매설작업의 성능을 향상시키며, 매설 장비를 보호하기 위한 작업이다. 본 논문은 해저 광테이블 건설 작업 중에서 PLGR 작업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해서 논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하여 전체적인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계하고, 시리얼 멀티포트 통신 모듈, 실시간 처리 모듈, 환경 설정 모듈, 그리고 그래프 및 프린터 출력 모듈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끝으로 본 논문의 타당성 검토를 위하여 시리얼 멀티포트 통신, 실시간 데이터 추출, 그래프 출력을 실험하였다.
        2327.
        200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옻나무의 근삽에 의한 묘목생산에 있어서 적정삽목 시기와 삽수의 절단 여부에 따른 신초발생율과 묘소질을 조사하였다. 삽목시기가 빠를수록 신초는 3-4주 후부터 발생하여 늦은 경향이었으나 삽식 10주 후의 신초 형성율은 높은 경 향이었는데 3월 15일과 25일 및 4월 5일 삽목구는 84% 이상이었으며, 신초는 삽목시기가 늦을수록 각시기별로 고르게 발생하는 경향이었다. 묘소질은 4월 5일과 3월 25일 삽목구가 수장, 주당 분지수, 엽수, 경직경 및 엽면적 모두 가장 양호하였다. 절단하지 않은 삽수로부터 신초의 발생은 2주 후부터 시작되었으나 절단한 삽수로부터는 3주 후부터 시작되어 약 1주일이 늦었다. 그러나 삽식 6주 이후부터 10 cm의 크기로 절단한 삽수의 신초발생율은 급격히 증가하여 10주 후에는 84%이었으나 절단하지 않은 삽수의 신초발생율은 54%로 매우 낮았다. 절단하지 않은 삽수의 묘가 경시적으로는 양호하였으나, 수장, 분지수 및 경직경 등은 통계적인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2329.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determine the optimum harvest time for the seed production of inbreds and hybrids in silage corn, the ears of sib-pollinated 'KS5', 'KS7rhm', and 'Ga209' and cross-pollinated 'KS5' ~times 'KS6' (Suwon19), 'KS7 rhm' ~times 'KSl17' (Suwonok), and 'Ga209' ~times 'DB544'(Kwanganok) were harvested at the one-week intervals from 4 to 10 weeks after silking. The optimum harvest time for the seed production for 'KS5', 'KS5' ~times 'KS6', 'KS7 rhm', and 'KS7rhm' ~times 'KS117' was 7 weeks after silking considering both emergence rate and plumule growth in cold test. Although earlier harvested seeds showed similar germination rate as the seeds harvested at the optimum time at 25~circC , their emergence rate were lower in cold test. Seed weight and α -amylase activity of earlier harvested seeds were lower compared to those of seeds harvested at the optimum time, while leakage of total sugars and electrolytes were higher. However, the later harvested seeds showed lower germination rates at 25~circC and emergence rates in cold test probably due to the lower α -amylase activity although they showed increased seed weight and reduced leakage of total sugars and electrolytes. In contrast, the emergence rate of 'Ga209' and 'Ga209' ~times 'DB544' in cold test increased up to 10 weeks after silking probably due to the increased seed weight and α -amylase activity and reduced sugar and electrolyte leakages during the germination. The cross-pollinated F1 hybrid seeds showed higher germination and emergence rates at 25~circC and in cold test, and higher plumule growth and α -amylase activity compared to those of sib-pollinated inbreds.
        2330.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하도구간의 도달시간은 일정 구간별로 하도길이를 홍수가 하류로 유하하는 평균유속으로 나눔으로써 산정 할 수 있으며, 유역추적법에 의한 홍수량 산정 시 필요한 저류상수 등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도달시간을 산정 할 수 있는 경험공식이 많이 제시되고 있으나 경험공식별로 계산된 도달시간은 일반적으로 큰 편차를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00개 이상 하천의 확률홍수량에 대한 수면곡선계산 자료에서 구간별 하도의 평균경사와 평균유속을 수집하
        2331.
        2002.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 attempt was made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optimum extracting time from meat with bone of goat and the nutritional component of its extract. for the trials, the mixtures of meat with bone and water were adjusted to the ratios of five to four by weight and extracted for 6, 9 and 12 hours at 120 under autoclave. Judging from the content of mineral and amino acid, nonenzymatic browning and yield, the optimum extracting time was 9 hours. The major components of mineral were composed of 47.7mg% potassium, 12.7mg% calcium, 150.0mg% sodium, 105.3mg% phosphorus and 0.5mg% iron, and of amino acids composed of 1,308.0mg% glutamic acid, 1,464.2mg% glycine, 750.2mg% alanine and 828.lmg% proline in extract. The yield of extract was 32.1 percentage by dry basis.
        2334.
        2002.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study, a real-time simulation method for the phenomena, which are too complex to be simulated during real-time computer games, was proposed based on the neural network. The procedure of proposed method is to 1) obtain correlation data between input parameters and output parameters by mathematical modeling, code analyses, and so on, 2) train the neural network with the correlation data, 3) and insert the trained neural network in a game program as a simulation module. For the case that the number of the input and output parameters is too high to be analyzed, a method was proposed to omit parameters of little importance. The method was successfully applied to severe accidents of nuclear power plants, reflecting that the method was very effective in real time simulation of complex phenomena.
        2335.
        200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identify possible associations with concentrations of ambient air pollutants and daily mortality in Busan, this study assessed the effects of air pollution for the time period 1999-2000. Poisson regression analysis by Generalized Additive Model were conducted considering trend, season, meteorology, and day-of-the-week as confounders in a nonparametric approach. Busan had a 10% increase in mortality in persons aged 65 and older(95% CI : 1.01-1.10) in association with IQR in NO2(lagged 2 days). An increase of NO2(lagged 2days) was associated with a 4% increase in respiratory mortality(CI : 1.02-1.11) and CO(lagged 1 day) showed a 3% increase(CI : 1.00-1.07).
        2336.
        200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시계열의 예측은 통상 추계학적 모형에 의해 수행하여 왔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퍼지 개념을 이용한 퍼지 시계열 모형에 의해 강수량 예측을 수행하였다. 기존에 제안된 퍼지 시계열 모형을 이용하여 예측을 수행하고, 예측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퍼지 시계열과 뉴로-퍼지 시스템을 연계한 새로운 방법론을 제안하여 상호 비교ㆍ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미국 일리노이주의 강수량 시계열 예측에 적용하였으며, 예측 결과, 기존의 모형보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론의
        2337.
        200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체선ㆍ 체화시간의 경제적 가치추정은 항만의 투자나 운영효율화를 위한 의사결정에 필요한 가장 기초적이고 풍요한 자료이다. 이에 대한 연구는 ‘70∼80’년대에 걸쳐 Goss와 Mann의 연구와 세계은행을 중심으로 선박과 화물이 가지고 있는 장기기회비용관점 (long-term opportunity cost)에서 추정된 바 있으며 국내에서도 10년 전에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추정된 바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10년 전 연구를 최근의 자료를 이용하여 재조사하는 것이다. 국적선 외항선사의 약 47.5%에 해당하는 선박 205척으로부터 입수한 선박관련 소요경비, 무역통계, 해양수산통계 통을 이용하여 체선ㆍ체화비용을 추정하였다. 추정결과 저자의 10년 전 연구와 비교하여 액체화물선과 산물선의 체선비용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액체화물선의 비용은 두 배 가까이 증가하였다. 이는 고가의 LNG선이 투입됨으로써 선박의 시간당 기회비용을 증가시킨 때문이다. 10년 전과 비교하여 체선ㆍ체화의 시간비용이 크게 상승하지 않은 것은 사회적 할인율이 하락한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사회적 할인율의 차이에 따른 감도분석이 실시되었다.
        2338.
        200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병꽃나무의 화훼작목화를 목적으로 적정 삽목번식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병꽃나무의 삽목에 적합한 삽목용토를 개발하기 위하여, 모래, 펄 라이트, 질석 단용과 질석 : 펄라이트(1:1) 혼용처리한 용토에 삽목한 결과 숙지삽, 녹지삽, 반숙지삽 공히 펄라이트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발근율을 보였다. 특히 녹지삽은 모든 처리구에서 70.0~76.7%의 발근율을 보여, 숙지삽에 비해 약2.8배 정도 높은 발근율을 보였다. 병꽃나무의 삽목발근에 미치는 생장조절제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숙지삽의 경우에는 생장조절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농도가 높을수록 대조구에 비해 발근이 촉진되는 경향이었다. 특히 NAA 500mg. L-1처리구에서 80.0%로 가장 높은 발근율을 나타냈다. 녹지삽의 경우에는 대조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80%이상의 발근율을 보였으며, 특히 NAA 100, 500mg.L-1와 IAA 1000mg.L-1처리구에서 96.7%의 가장 높은 발근율을 보였다. 반숙지삽의 발근율 또한 생장조절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농도가높을수록 발근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던 반면 고농도인 1000mg.L-1처리구에서는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NAA 농도 및 침지시간에 따른 발근율은 숙지삽의 경우 농도가 높을수록, 침지시간이 길수록 양호한 경향이었다 녹지삽은 침지 시간이 길수록 현저하게 향상되었으며, 특히 500mg.L-1, 30분 침지처리구에서 100%의 발근을 보였다. 반숙지삽의 경우는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또한 침지시간이 길수록 발근율이 양호하였으나, 녹지 및 숙지를 삽수로 했던 것에 비해 그 정도는 낮았다.
        2339.
        200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patially distributed characteristic of longevity regions analysed using GIS tools. Fundamental factors for long life are categorized into natural conditions and artificial conditions. Degree of longevity is defined and used as a key parameter in analyzing longevity region. It is visually shown that aging areas are moving with time and variances of social and economic status. It is concluded that the degree of longevity is increased with improving living quality because of improvement of economic activities and living environment. However, longevity regions of recent times have slightly reversed tendency against urban areas in the manner of moving toward areas where social and economical activities are relatively weaker.
        2340.
        200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lanting date of soybeans [Glycine max (L.) Merr.] is one of production components in cultural systems. The objectiv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soybean production and cultural practices encompassing planting dates and cultivars that respond to dry matter accumulation, harvest index and yield components. Three determinate soybean cultivars were planted on May 13 (early), June 3 (mid), and June 24 (late). Planting density was 60~times 15cm with 2 seeds (222,000 plants per ha). Soybean plants were sampled every 10 days interval from the growth stages of V5 to R8 and separated into leaves including petioles, stems, pods, and seeds. Dry matter accumulations, harvest indices, and yield components were measured. Early planting had taken 55 days from VE to R2 and late planting taken 39 days indicating reduced vegetative growth. Early planting showed higher leaf, stem, pod and seed dry weights than late planting. However, late planting appeared to be higher harvest index and harvesting rate. Vegetative mass including leaf and stem increased to a maximum around R4/R5 and total dry weight increased to a maximum around R5/R6 and then declined slightly at R8. The highest seed yield was obtained with mid planting and 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early and late plantings. Cultivar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planting dates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components.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indicated that soybean yield in relation to planting dates examined was mainly associated with harvest index and harvesting rate, and planting date of cultivars would be considered soybean plants to reach the growth stage of R4/R5 after mid August for adequate seed y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