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는 과거 산업화 이후 빠른 통신 발달과 고도화된 인공지능 기술 산업화로 진 입하게 되었고, 최근에는 ‘4차 산업혁명’이라는 새로운 화두가 산업전반에 변화를 요 구하고 있다. 사회학자 등 관련학자들은 4차 산업에 대한 준비와 연구, 인식의 변화 등 다양한 문제들을 제시하고 있지만 정작 현대인들은 인식과 교육 훈련이 부족한 상태로 새로운 산업 환경에 직면하게 되었다. 그 동안 우리 현대인들은 무한 경쟁사회에 내몰려 치열한 삶을 살면서 정신적 고통과 육체적 피로를 동반하여 심신 건강이 위협받고 있다. 관련학계에서도 이러한 환경적 변화에 대한 많은 관심과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우리 인간이 심리적 안정과 정서적 감정 조절을 위해 영화를 선택하여 관람하 게 되면 심리적 장애 발생을 최소화하거나 심리적 장애를 겪는 관객들에게 치료 또는 치유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많은 연구결과들이 있다. 즉, 영화가 우리 인간의 정서적 변화에 크게 관여하여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모든 영화가 심리치료를 목적으 로 활용되는 것은 아니다. 관객들은 영화의 내용과 장르에 따라 치료보다는 정서적 감정 이 치유되었다는 측면에서 영화를 통해 힐링(healing) 받았다는 표현을 한다. 관객들이 ‘영화를 통해 힐링 받았다’라는 얘기는 영화의 서사 즉, 영화 이야기 일 수 도 있고, 배우의 연기, 공간, 음악 등 영화를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이 포함된다. 필자는 이러한 영화적 요소 중에 관객들이 힐링을 받을 수 있는 연구대상으로 영화<마담 프루스트의 비밀정원>에 등장하는 비밀 정원이라는 영화적 공간을 치유적 관점으로 분석 연구하였 다. 특히 영화에서 공간은 영화의 이야기를 풀어내는 매우 중요한 공간으로 영화의 이야 기를 더욱 영화적으로 서술할 수 있는 장치일 뿐만 아니라 관객들에게 특별한 추억을 소환하기도 하고, 판타지를 제공하여 치유적 효과를 제공하기도 한다. 이러한 영화적 공 간에 대한 분석연구는 관련이론 연구와 병행될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영화의 특정 공간 과 장면을 치유적 관점으로 분석한다. 관객들은 영화의 특정 공간을 통해 주인공 폴이 정신적 장애를 치유해 가는 과정을 지켜보면서 어떠한 심리적 안정감을 획득하게 되는지에 대한 연구이기 때문에 특별한 연구의 틀을 적용하여 분석하기 보다는 이론적 객관 성과 타당성에 집중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영화의 특정 공간을 통해 극중 배우가 심 리적 장애를 극복해 가는 과정에서 관객들은 자신을 반추하며 감정이입에 따라 관객들 도 치유적 효과를 얻는다는 연구결과이다.
Objective: To explore the medicinal and health value of tea, to deepen our understanding of using tea as a form of therapy and its cultural connotation, and to provide an effective therapy within the field of natural healing.
Methods: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special value of tea therapy and its cultural connotation by looking back on the history of tea culture and basing the research o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literature. This paper looks back upon the important books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nd tea theory to analyze the health effects of tea and the historical changes of the methods of using and drinking tea. At the same time we explore the medicinal effect of different varieties of tea and how they affect different groups of peopl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levant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that is, the unique natural and human environment of China, including the influence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on how drinking tea improves health, we discuss the unique role of tea culture in improving health.
Conclusion: Using tea therapy to improve health has had a long history in China, and its medicinal history can be traced back to the period of Shen Nong, which was thousands of years ago. The medical books and tea books of the past dynasties all recorded the medicinal effects of tea. Tea is the most common health drink. Tea has been integrated into Chinese Medicine throughout the ages, such as taking medical herbs with tea, or drinking Chinese medicine as tea drinks. Tea therapy can be used by different means, such as oral administration and external use. As for the methods of drinking tea, they have evolved from boiling tea to brewing tea. New tea making methods not only make its application more convenient, it also improves the medicinal value of tea. Now days, there are six main kinds of tea in China, and each of them have their different medicinal effects and the best way to drink them. Tea therapy is not only the substance of tea itself. It also includes the environment (nature and people) in which the tea is drunk and the tea’s cultural connotation. These make up the main components of tea therapy. The natural integration of the physical and cultural qualities of tea is the highest realm of tea therapy.
본 연구는 유가사지론 성문지에 나타난 산수수습법의 수습과정과 그것의 자연치유적 의미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산수수습법에는 크게 보통의 산수수습법과 특수한 산 수수습법으로 나누어진다. 보통 산수수습법에는 일일산수법, 이일산수법, 순산수법과 역 산수법의 네 가지가 있다. 수습과정은 일일산수법의 수습이 완성될 때 이일산수법을 익 힌다. 그때 순산수법과 역산수법을 병행하여 익힌다. 그 다음에 온전히 승진산수수습법 을 닦아 익혔을 때 과산수지법을 익히고 이것마저 온전하게 닦아 익혀지면 그 때 심일 경성과 신심경안을 얻게 된다. 심일경성이란 삼매의 동의어이다. 삼매란 인식주관, 인식 대상과 인식 자체의 셋이 하나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산수수습법을 단계적으로 닦아 익히면 마음이 깊이 안정되어 육체적으로 정신적으로 건강과 능력이 향상되는 자연치유 적인 효과가 있게 된다.
경제적인 여유와 기대수명의 증가로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최근 보완대체요법인 명상, 요가 , 기공 등 심신수련 프로그램이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활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 요가는 어느 한 가지 요가자세 또는 적절한 호흡조절만 가지고도 많은 육체적인 것뿐만 아니라 정신적으로도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요 가의 치료적 효과로는 스트레스와 긴장을 감소시키고, 통증, 심혈관계 질환, 면역기능 등 신체적 효과와 우울, 불 안, 수면 등 심리적 효과로 대별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요가가 건강의 중요한 지표로 작용하는 여러 가지 요인 중 정신과 신체를 포함한 전인적 간호의 실현 이라는 목표에 다가가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요가에 관한 간호연구에서는 생애주기 별 대상자에게 적용하여 긍정적인 자아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교육 과 일반적인 관심의 대상인 요가를 간호학적 시각 속에서 신체적, 심리적 특성이 반영된 요가운동으로 구성하여 현대인들의 스트레스 대처법의 개발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간호실무 차원에서 요가운동은 움직임이 반 복적이고 단순하여 배우기 쉽고, 개인의 건강요구에 맞게 동작과 시간을 조절할 수 있어서 요가운동에 숙련된 간 호사가 임상현장이나 지역사회 보건소 등의 다양한 간호현장에서 대상자의 특성과 요구에 맞는 건강증진 프로그 램으로 재구성하고 적용하여 널리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인간의 뇌는 수많은 유전자들과 돌연변이들에 의해 변화되어 왔고, 환경의 변화에 적응해 나가면서 점점 커져갔 다. 그러나 신석기 시대 이후 뇌의 용적의 변화는 없다. 신석기 시대 이후 질병은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고, 현대인 들은 급변하는 환경에 적응하지 못하고 질병으로 고생하고 있다. 자연치유의 원리는 자연계로부터 주어진 항상성 을 통해 질병의 근본 원인을 제거하고 예방하는 것이다. 카이로프랙틱에서는 Innate Intelligence라는 개념으로 이 를 설명하고 있다. 전통의술, 자연의학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보완대체의학을 현대 서양 의학적 진단과 치료에 접목시키고자 하는 것이 통합의학이다. 보완대체의학의 한계는 과학적 데이터의 부족과 표준화된 진단기준이다. 사회적으로 환자 중심의 의료 서비스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현재 자연치유가 기존 제도권 내로 들 어가도록 그 한계를 극복하고 환자의 요구에 맞출 수 있는 맞춤형 치료를 위해서는 보완대체의학이 가지고 있는 장단점과 현대의학의 한계점을 돌아보고, 서로의 약점을 메워주며, 상호존중과 통합을 통해서 서로의 상생의 길을 찾아야 하고, 인공지능의 발달에 따른 의료적 의사결정 문제에 대한 고민을 지속해야 한다.
본 연구는 월경전증후군 증상의 지속적인 신체적 고통으로 일상생활과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40代의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호흡명상을 실시하여 월경전증후군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한 단일사례연구이다. 연구방법은 ABAB 설계에 따라 제1기저선 단계(A)에서 진단평가 4회기(15일간), 1차 개입단계(B )에서 호흡명상 8회기(25일간), 프로그램 개입을 철회한 40일간의 제2기저선 단계(A )에서 진단평가 2회기, 2차 개입단계(B )에서 호흡명상 8회기(27일간)를 차례로 진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수집된 연구참여자가 느끼는 월경증후군증상에 대한 자기 보고식 호흡명상 전·후 평가지, 월별 월경에 따른 조사 기록지, 척도검사, 상담 축어록, 인터뷰 자료 등을 분석하고 해석한 결과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연구참여자의 월경전증후군에서 눈썹, 코, 볼의 경직은 1차에서는 53% 감소, 전신증상은 30% 감소, 근육 통, 소화기계는 24% 감소, 생식기계는 35% 감소가 되었으며 2차에서는 눈썹, 코, 볼의 경직은 12% 감소, 전신증상 은 20% 증가, 근육통, 소화기계는 3.3% 증가, 생식기계는 20%로 감소하였다. 평가질문지 검사 중 신체증상 척도검 사 결과는 1차 개입으로 57점에서 24점으로 33점 감소하였고, 2차 개입에서는 28점에서 29점으로 1점 증가한 것으 로 나타났다. SSI-3/5 검사에서는 1차 개입으로 64점에서 33점으로 31점 감소하였고, 2차 개입으로 42점에서 35점 으로 7점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수용 억압 검사 결과는 1차 개입으로 57점에서 38점으로 19점 감소하였고, 2차에서는 46점에서 29점으로 17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호흡명상이 월경전증후군을 경험하는 여성들의 신체적 고통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월경전증후군 증 상 감소에 대해 안전하고 효율적이라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한 탈북여성이 남편에 대한 그리움과 경제적 집착을 어떻게 경험했는지, 그 고통들을 이해하기 위한 맥락은 무엇인지, 그리고 그러한 고통들은 명상상담을 통해서 어떻게 변했는지를 내러티브 연구방법으로 연구하였 다. 연구 참여자는 군의 소장이었던 남편이 제대하면서 여관방에 배치되고 배급이 끊겨서 도저히 살 수 없는 형편 이 되었다. 결국 고민 끝에 자식들을 위해서 탈북을 결심하지만 남편은 용기가 없어서 주저하게 되고 결국 사랑하 는 남편과 헤어져 자식들만 데리고 탈북하게 되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두 번씩이나 잡혀 감옥에서 극심한 고생 을 하면서 돈에 대한 집착이 생기게 되었다. 명상상담을 통하여 남편과 헤어질 때의 고통, 감옥 생활에서의 충격 을 영상관법으로 다시 직면하고 나서 헤어진 남편에 대한 그리움과 돈에 대한 집착으로부터 벗어나게 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탈북여성에 대해 심층적인 상담을 통한 질적 연구가 희소한 상황에서, 탈북여성의 경험을 8회기 심 층 상담을 통하여 내러티브연구로 연구했다는 점이다. 또한 명상상담의 핵심적인 방법인 영상관법을 기존 논문에 서는 적용하지 못한 분야인 탈북여성의 남편에 대한 그리움과 경제적 집착 경험에 적용하여 치유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는 점이다.
R. Schwartz가 개발한 내면가족체계(IFS)는 우리의 내면심리(intrapsychic)를 가장 쉽게 설명한 이론이다. IFS에서 는 우리 내부의 생각, 감정, 행동의 반복되는 패턴들을 부분(part)이라 불렀다. 그리고 우리 안에는 이 부분들을 관 찰할 수 있고 의식의 중심이 되는 또 하나의 자리가 있는데, 이를 참자아(Self)라 하였다. IFS는 참자아를 개발시켜 우리의 심리체계에 조화와 균형을 갖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심리극은 우리의 내면심리를 매우 구체적으로 형 상화할 수 있다. 특히 심리극의 이중자아(double)는 내면의 부분들을 극화하는데 유용한 기법이다. 명상의 한 방법 인 마인드풀니스를 통해 관찰하는 자, 즉 참자아를 등장시켜 극적 과정을 통해 부분들을 수용하고 심리체계의 균 형을 잡아가는 전략을 IFS심리극이라 하였다. 본 과정에서는 IFS심리극의 전반적인 과정을 안내하고 있다.
이 연구는 mindfulness를 기반으로 하는 심리치료들의 자연치유의 특징과 가능성을 문헌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mindfulness에 근거한 심리치료는 심리적인 삶의 문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신체적인 증상들을 치유하는데도 도 움이 된다는 사실은 많이 연구되어 있다. mindfulness의 치유기제는 몸과 마음이 분리되어 있지 않고 연결되어 있 다는 심신의학에 기초를 둔다. 특히 현대에 발전한 정신신경면역학(PNI)은 면역계와 신경계, 내분비계가 서로 연결 되어 있고, 이와 같은 통합적인 신체 시스템이 몸과 마음에 서로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이는 mindfulne ss를 기반으로 하는 심리치료들이 면역력을 높이는 연구결과와 맥락을 같이 한다. 이러한 결과는 mindfulness가 스 스로 치유할 수 있는 자연치유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자는 mindfulness에 근거한 심리치료가 자연치유력의 증진을 시킬 수 있는 기제로 현재 순간의 경험, 수용적 태도, 자각의 요인으로 본다. 그리고 이러한 요인들을 상담 및 심리치료 현장에 구체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알아차리고, 머물러, 지켜보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염지관 명상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나친 물질에 대한 욕망과 집착이 영적성장을 가로막고 있는 우리의 삶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의식을 일깨워 자 신의 습관적인 사고방식에서 벗어나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명상의 관점에서 본 자연치유의 개념을 위빠사나 명상과 크리야요가 명상을 중심으로 고찰함으로써 자연의 특성을 가진 인간의 마음을 평화의 상태에 이르게 하는 데 있다. 자연의 에너지를 가진 우리 자신의 몸과 마음을 위빠사나 명상과 크리야요가 명상의 통합적 접근을 통해 그 치유력의 계발을 고찰한다. 위빠사나 명상과 크리야요가 명상의 자연치유력 인자는 1) 마음을 들뜨지 않고 보 호한다. 2) 대상을 있는 그대로 보아 쓸데없는 생각을 멈춘다. 3) 주시적자기를 강하게 함으로써 대상과의 탈동일 시가 일어나게 한다. 4) 에고를 내려놓아 개인의 삶을 평화롭게 한다. 치유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인간 의 존재’에 대한 본질적인 이해, 함께하는 명상수련, 꾸준한 명상을 통한 자각능력 키우기를 해야 한다. 결과적으 로 자연치유는 자연의 속성을 갖되 자연을 초월할 수 있도록 한다.
배(Pyrus pyrifolia)와 생강(Zingiber officinale )을 함유한 기능성 약주의 개발과 생리활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약주의 알코올의 함량은 지장수 약주 17%, 생강+배 첨가한 약주는 15% 그리고 생강+배 첨가 탁주는 8%로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전자공여능, tyrosinase 저해 활성, 아질산염 소거활성, ACE 저해활성은 배와 생강 첨가 약주에서 가장 높게 나타 났다. 폐암과 간암세포에 대한 항암활성은 지장수로 만든 약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보행시 상체의 움직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하였다.
방법 : 30명의 대상자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고, 모든 대상자들은 보행 시 상체의 움직임을 측정하 였다. 대상자들은 서로 다른 4가지의 타입의 보행을 실시하였다. 1) 앞으로 걷기(FW), 2) 뒤로 걷기 (BW), 3) 팔의 흔들림 없이 걷기(NS), 4) 뒷짐지고 걷기(HBB). 본 연구는 6대의 카메라를 사용한 3차 원 동작분석기를 사용하여 운동형상학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 척추의 관절움직임 관상면 시상면 횡단면, 흉부의 관절움직임 시상면 횡단면, 흉부의 움직임 관상면 시상면 횡단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흉부의 관절움직임 관상면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BW 는 FW와 비교하였을 때 척추의 관절움직임 관상면 시상면 횡단면, 흉부의 관절움직임 시상면 횡단면, 흉부의 움직임 관상면 시상면 횡단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NS는 FW와 비교하 였을 때 척추의 관절움직임 관상면 횡단면, 흉부의 관절움직임 횡단면, 흉부의 움직임 관상면 시상면 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HBB는 FW와 비교하였을 때 척추의 관절움직임 관상면 시상면 횡단 면, 흉부의 관절움직임 시상면, 흉부의 움직임 횡단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우리는 각 보행형태에 따른 상체의 움직임 변화를 제공한다. 그리고 이 연구를 통해 뒤로 걷 기 시 척추의 시상면 관절범위와 흉부의 시상면 횡단면 관절범위, 흉부의 앞-뒤 움직임이 증가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척추의 관상면과 횡단면의 관절범위, 흉부의 안쪽-가쪽, 위쪽-아래쪽으로 의 움직임은 감소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보행 형태에 따라 몸통 움직임은 다르게 나타나며 필 요에 따라 선택적 보행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의료법이 처음 제정된 이래부터 현재까지 논란이 된 보완대체요법과 의료행위 간의 모 호한 경계를 명확히 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한민국법원 종합법률정보와 로앤비를 검색엔진으로 사용하여 판례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총 15편의 판례에서 의료행위에 대한 간접조항, 무면허 의료행위의 정의,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헌법재판소와 대법원의 입 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의료법에서 의료행위를 규정한 조항은 찾지 못했다는 점에서 의료행 위와 보완대체요법의 경계가 불명확하다는 사실이 재확인되었다. 본 논고에서 판례조사를 통해 얻은 결론에 따르면 소정의 의료행위란 의학적 전문지식을 기초로 하는 경험과 기능으로 진찰, 검안, 처 방, 투약 또는 외과적 시술을 시행하는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행위를 말한다. 이 행위에는 의료인이 행하지 않으면 보건위생상 위해가 생길 우려가 있는 행위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비의료행위에 해 당하는 무면허 의료행위란 의학적 전문지식이 있는 비의료인이 행한 질병의 예방, 치료행위가 사람 의 생명이나 신체, 공중위생에 위해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는 행위인 것이다. 보완대체요법이 의료법 상 법적 규제로부터 자유롭게 이용되기 위해서는 사회적 문제화를 일으키고 있는 부분별한 시술을 제한할 수 있는 제도적인 장치(관련 규정의 정비 등)와 과학적 검증이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과학적 인 검증을 통하여 안전성과 효율성을 확보하게 된다면 지금보다 더 다양한 보완대체요법이 이용되어 건강관련 종사자의 증가와 국민의 건강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기는 우주만물을 구성하는 본질로 눈으로 볼 수도 없고 손으로 만질 수 없는 아주 미세한 물질과 운동의 통일체다. 음양의 대립통일로 기의 승강운동이 생명조절 시스템인 장부에서 일어나며, 각 장 부 기의 승강운동의 협조 평형으로 우리가 정상적인 생명활동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배꼽호흡테 라피는 복식호흡법과 마사지로 누구나 손쉽게 할 수 있는 몸과 마음의 호흡마사지 치유프로그램으로 인체의 생체에너지(氣)순환의 촉진과 조절로 자연치유능력을 향상시켜준다. 오장육부에 질병이 생기 면 복부에서 그에 상응하는 단서를 찾을 수 있는데 바로 배의 주름과 그 주위의 응어리가 반응점이 다. 망진과 복진으로 반응점을 찾아 복식호흡과 마사지로 다스리면 자연스럽고 신기하게 배꼽주위가 부드러워져 질병이 치유되어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본고는 에니어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현장연구가 아니라, 에니어그램의 기본적인 성격분류에 대한 심리학적인 기반과 함께 성격의 하위개념을 확장하고자 하는 이론적 연구이다. 에니어그램은 성격을 감정형, 사고형, 의지형 3가지로 분류한다. 본고는 성격을 왜 3가지로 분류하는지에 대해서 프로이트 심리학, 뇌과학적 입장, 불교 심리학적 관점에서 고찰한다. 나아가서 성격의 요인분석으로 5범주 12 하위개념으로 에니어그램을 이해한다. 5범주는 대인관계, 어린 시절, 자아개념, 성격역동, 성장과 본 질로 분류하고 12개의 하위개념은 본질, 사회성, 교류방식, 애착태도, 어린 시절의 도식, 감정, 사고, 갈망, 대응, 위기, 모순, 성장으로 분류한다. 아울러서 에니어그램의 궁극적인 목표를 성격을 넘어서 본질로 나아가는 성장과정으로 이해한다.
최근 우리사회는 고도의 산업성장을 통해 국토의 도시화, 인구 고령화, 핵가족화 등에 따라 우리의 삶도 빠른 성장속도에 맞추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변화는 단순히 우리의 라이프스타일 뿐 만 아 니라 삶의 관념적 의식 특히, 죽음을 대하는 태도를 크게 바꾸어 놓았다. 우리의 삶의 변화는 급속한 산업 성장 속도와 비례하면서 양적 풍요는 얻었지만, 사람들은 무한 경쟁 속으로 내몰리면서 육체적 피로와 정신적 상실감은 그 어느 때 보다 크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이러한 배경으로 현대를 살아 가는 사람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정신적 피로를 치유하는 방법 중 하나로 영화를 선택한다. 영화는 대중적인 시각매체로 힐링 효과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필자는 영화<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 를 통해 관객들에게 어떠한 치유적 요소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카세티(Francesco Casetti)는 “영화적 상황에는 심리학적 과정에서 관객이 ‘참여’라고 하는 관객이 스크린의 대상과 교류하는 ‘감정이 입’ 과정을 가진다고 말한다. 본고는 동 영화가 오늘을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죽음’이라는 관 념적 이미지를 어떤 새로운 시선으로 바라봐야 하는지를 서술 하였으며, 또 관객들은 영화를 통해 자신이 현재 처해있는 상황을 반추하면서 자신의 감정을 영화 속 등장인물이나 상황으로 이입 시켜 분노, 공포, 웃음, 눈물 등을 통해 정서적 치료 효과를 가진다고 서술하였다. 본고의 영화는 진모영 감독의 인터뷰와 영화치료이론, 영화이론을 바탕으로 관객의 치유적 관점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아유르베다와 한의학의 병인에 대한 연구로서, 두 이론의 사상적 배경과 몸, 병 의 원인에 대해 살펴보고, 어떤 상관성이 있는지 비교해 보는 것이다. 아유르베다는 상키야 철학을 근본으로 생리학적인 측면에서 본 몸은 쁘라나(prāpṇa)와 나디(nānḑi), 차크라(cakra), 말라(Mala)로 이 루어지며, 증상 이면에 감추어진 질병의 원인을 찾는다. 아유르베다에서는 바따․삣따․까파 등 세 도샤 의 불균형을 모든 질병의 직접적인 원인으로 보고, 계절의 변화 등의 외적요인이나 잘못된 감정과 같은 내적요인 또한 이런 불균형을 일으키는 것으로 본다. 한의학은 중국의 음양 오행론을 근본으로 몸은 오장(五臟), 육부(六腑)와 정신기혈(精神氣血) 및 경락(經絡)으로 이루어졌다고 본다. 병의 원인은 정상상태에서 신체 내의 음양과 기혈. 경락과 장부 등이 서로 의존 하고 제약하는 상대적 평형상태 를 유지하는데, 이러한 평형상태가 무너지면 한 동안 자기조절 작용이 약화되어 질병이 발생하는 것 으로 본다. 아유르베다와 한의학의 몸과 병인에 대한 공통적 관점은 자연 중심적 인식론을 바탕으로 인간은 자연현상과 환경에 순응하고 조화롭게 살아가는 존재로 본다. 또한 아유르베다와 한의학의 인간관이 인간중심적, 인본주의적인 면이 궤를 같이한다. 아유르베다와 한의학의 병인에 대한 연구는 시대적 요구로서 본 연구에서의 두 이론의 연관성과 차이점은 인간의 다차원적 의식을 다루는 상담 현장에서 건강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를 가진 내담자에 대한 새로운 견해와 열린 사고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자동차 산업은 전 세계적으로 그 어느 산업보다 인간 생활에 있어 최상의 풍요로움과 편리함을 제공해 주고 있다. 자동차의 기본적인 역할인 교통수단뿐만 아니라 인간 생활을 위한 부가적인 용도들이 계속하여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의 자동차 생산 기업들은 고객들을 위하여 더욱 차원이 높은 신모델들을 디자인 생산하고 있다. 모든 자동차 운전자들과 시설에 대한 조작과 활용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더불어 동승자들에 대한 수많은 편의시설에 관한 연구는 계속되고 있다. 이에 대한 기업전략을 위해서는 기업의 체계적인 디자인 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최근 디자인 전략은 사용자 중심(UI Design), 시장의 경향, 높은 과학 기술, 지역에 따른 차별화 전략 등을 분석하고 연구하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자동차 생산 기업은 자동차라는 특수성에 따라 자동차 디자인 개발을 위한 기업 특성에 적합한 디자인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디자인 전략을 수립하는 방법으로 중요한 것이 기업의 CPI(Corporate Product Identity) 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자동차 산업의 기업들이 사업의 성공을 위하여 기업 제품에 대한 통일된 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디자인 개발에 적용하는 것이다. 이것을 통하여, 본 연구는 기업과 소비자 간의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기본적인 CPI(Corporate Product Identity) 전략을 수립한다. 이를 기반으로 신개념의 자동차 디자인을 연구하는 것이다. 소비자층의 신개념 경향 변화에 따른 자동차 디자인 연구에서, 독신자층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자동차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따라서 자동차 기업의 CPI 전략을 활용하여 신개념을 위한 혁신적인 디자인 요소를 수집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자동차 디자인을 연구하고 제시하였다.
정보통신의 눈부신 발전으로 국가, 사회 그리고 개인의 소통의 다양한 방법으로 다양한 각국의 문화상품들을 손쉽게 접하거나 공유하여 왔다. 오늘날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21세기 트렌드는 문화와 감성이며 이것을 알리기 위한 유형적 결과물이 문화상품이다. 그 중 캐릭터를 이용한 범위는 넓고 다양하기 때문에 성장 잠재력이 무궁무진하여, 애니메이션, 게임, 카툰, 모바일, 영화 등의 다양한 콘텐츠 문화산업을 발전시키는 요소로 고부가치 만들어내고 있다. 이러한 변화와 추세에 맞춰 도시와 지자체가 국제화 시대에 부응하기 위해 아이덴티티를 정립하고 지역 정서를 이끌어내기 위해 캐릭터를 도입하였고, 지역의 특징이 묻어나는 캐릭터는 농산물, 문화상품 등으로 이미지를 통합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 고 있다. 이러한 효과를 기대하면서 많은 지자체에서 캐릭터를 도입하지만 지역적 특징에 대한 준비와 이해부족으로 홍보 및 수입사업으로 연결되지 못하여 단발성으로 방치되거나 재원만 소요되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내용을 기반으로 본 연구자는 경상북도 신라시대 인물들을 분석하고 재해석하여 디자인 및 문화적 요소를 제품군에 응용하여 대중적으로 호응을 얻을 수 있는 캐릭터 문화상품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품으로는 문화상품류로 이것에 대한 제한적 상품개발이 아닌 다양한 제안과 실질적이고 대중적인 상품들을 제시하여 그 범위들을 확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보다 대중적인 캐릭터 개발과 함께 다양한 상품군에 대한 개발 연구를 하였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정체성이 깊은 캐릭터는 아이덴티티가 확실하여 대중들로 하여금 기억에 오래남아 문화상품의 다양성과 디자인 향상을 도모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되는 향상방안을 제시하였다.
캡스톤디자인은 공학 분야 교육프로그램으로 시작되었다면 현재에는 전방위 모든 교과목까지 확대되어 기업이 요구하는 현장적응형 직무능력을 갖춘 종합설계 창의교육과정으로 확대되었다. 그러나 창의문제해결을 위한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을 지도하는데 창의활용을 고려한 교재가 부재하여 교육목표를 달성하는데 어려움이 많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전문대학의 제품디자인 전공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을 중심으로 교육과정 운영안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캡스톤디자인과 창의적 문제해결모형(CPS) 등 이론적 배경을 문헌조사를 통해 정의하였다. 그리고 창의적 문제해결모형 캡스톤디자인 교과운영 방법을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제시된 연구를 바탕으로 결론 및 시사점 논의를 통해 결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대학생들의 창의성과 창의적 성향, 문제해결능력 교육에 활용하고자 산업디자인학과의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매뉴얼로 활용하기 위한 효율적 창의문제해결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개발 내용은 산·학이 협력하는 캡스톤 디자인 방식과 창의적 문제해결모형이라는 두 가지 개념을 결합시켰다. 본 연구로 개발된 창의적 문제 해결력 운영 방안은 현재의 캡스톤디자인 교육과정을 변형하여 창의적 문제해결 모형을 적용한 과정으로 구체적으로 수업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될 것이다. 향후 실질적인 수업을 위한 자료 활용 및 교사의 창의문제해결 수업을 위한 활용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