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러브정원’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장애아동을 가진 부모들이 겪는 심리 내적인 양육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스트레스대처 및 사회적 지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 본 결과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양육스트레스 수준은 평균 14.9(t=8.04)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자아존중감 측정 결과 3.5(t=-8.04) 증가되었다. 스트레스 대처 검사에서 실험군의 경우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9.55(t=-6.478)로 증가되었으며, 사회적지지 검사에서도 실험군은 프로그램 실시 후 18.2(t=12.82) 증가되어 통계적으로도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장애아동을 가진 부모들이 겪는 양육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스트레스대처 및 사회적지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각 회기별 활동에서 참여자들은 자신의 능력 내에서 계획된 결과물에 대한 성공적인 성취감과 만족감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원예활동에서의 식물을 다루며 끊임없이 변화하는 생명의 역동성과 그에 대한 책임감을 재인식하게 되어 새로운 요구에 대한 질 높은 양육을 위한 자신의 변화를 가져온데 대한 결과이고, 성공적인 결과물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향상은 물론 참여자들 간의 공통적인 문제에 대한 의사소통과 정보교환 등은 양육스트레스의 감소를 가능하게 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tramway embedded track is the concrete slab track in which rail is embedded for transit and walking over the pavement. The multi-directional continuous supported embedded track system by liquid polyurethane has high performance in reducing sound and vibration, the advantage of maintenance abroad. Domestic newly-developed embedded track was installed in Osong-test site after laboratory test and yard test. In this paper, newly –developed Polycork ERS rail fastening system was tested and the embedded track system was tested in the field
Offshore plant structures must be secured of structural safety applying real-time monitoring technology because they are in a state of very poor ocean conditions. In this study, Fiber Bragg Grating (FBG), sensors were attached to the scaled model of offshore floating structure, and put in scaled model in the water tank, and then calculated strain after measuring scaled model's wavelength through optical spectrum analyzer
The innovative and environment-friendly tram vehicle and it’s trackway system are developed based on the government’s R&D funding. Accordingly, in order for the test drive of developed vehicle, a tram trackway as test-bed, is being constructed in Osong, where is located inside Korea Rail Network Authority in Chungcheongbuk-Do. In this paper, the construction method of trackway for wireless and low-floored tram vehicle is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본 연구는 지적장애 청소년의 직업훈련 과정을 중심으로 한 원예치료 모델 개발 및 적용에 필요한 자료 확립 측면에서 문헌 중심으로 고찰한 내용으로 지적장애 청소년의 직업훈련 과정을 중심으로 한 원예치료의 정의를 ‘지적장애를 가진 청소년의 직업훈련을 위하여 식물과 원예활동을 이용하는 과정’으로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지적장애 청소년의 직업훈련 과정중심의 원예치료에 있어 목적이라고 할 수 있는 지적장애 청소년의 직업훈련을 위하여 구성주의 학습이론에서 과정중심의 인지적 도제학습 이론을 기존 원예치료 프로그램에 교수-학습 방법으로 도입하였다. 원예치료가 수행되는 과정은 사정, 계획, 수행, 평가를 따르며, 회기별 원예활동 단계는 원예활동의 시작단계로 동기 유발 및 원예활동을 위한 분위기를 조성하는 도입단계(Introduction), 치료사가 시범을 보이는 시연단계(Modeling), 문제 해결을 위한 인지적 틀을 제시하는 치료적 개입 단계(Scaffolding), 대상자 스스로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치료적 개입의 중지 단계(Fading), 활동을 점검하고 마무리할 수 있는 정리단계(Arrangement)로 구성하였으며, 그 전략 및 개입방법은 시범, 코칭, 스캐폴딩과 도움종료, 명료화, 성찰, 탐구를 적용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문헌 중심으로 고찰 한 위의 내용은 실제 적용을 통하여 검증을 수행하고, 수정·보완하여 최종적으로 지적장애 청소년의 직업훈련 과정을 중심으로 한 원예치료 모델로 개발 될 것이다.
본 연구는 다양한 식물들이 가지는 비침투적 치유 요소 중 감각자극 요인에 대한 인간의 심리, 생리적 반응을 밝히는 연구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허브식물 Lavandula spp., Mentha spicata, Thymus praecox 3종의 시각, 후각, 촉각의 세가지 감각자극 요소에 대한 맥박수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식물을 구별하지 않고 자극별로만 맥박수의 차이를 분석해 본 결과, 후각과 촉각자극에서 맥박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자극별로 살펴본 식물간의 맥박수는, 모니터에 사진으로 제공된 시각적 이미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후각과 촉각자극에서 Lavandula spp.의 경우가 다른 식물에 비해 맥박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별로 살펴본 자극간의 맥박수 차이는 Lavandula spp.와 Thymus praecox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Mentha spicata에서는 후각과 촉각자극 시에 시각자극보다 맥박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