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온에서 가루차를 일반포장, 일반포장+항산화제, 일반포장+방습제처리시 4개월 이후 품질관련 성분인 총질소, 총아미노산, 탄닌, 카페인, 엽록소, 지방산 함량이 상당히 저하되었으며, 일반포장 + 진공처리는 일반포장 저장에 비해 1개월 정도 저장기간의 연장이 가능하였다. 제품의 표면색상은 저온보관시 일반포장에서는 저장 1개월에 a값(녹색)이 -16.43에서 저장 5개월에는 정도 감소된 -10.11로 크게 감소되었다. 외관과 내질에 따른 관능평가시 저
신나무(Acer ginnala Max.) 껍질의 메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들의 Ames test를 이용한 항돌연변이원성 및 SRB assay에 의한 세포독성 효과를 규명하였다. 시료자체는 돌연변이원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MNNG ()에 대한 항돌연변이 효과에서 S. typhimurium TA100 균주에 대해 신나무 껍질 메탄올 추출물에서 시료농도 첨가시 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동일시료 농도에서 4NQO에 대하여서는 S. typhimuri
최근 빈번한 기상이변에 따라 발생되는 자연재해에 대한 방재대책의 중요함이 절실히 요청되는 시점에서 수공구조물들의 설계빈도를 상향조정하는 등의 대책이 마련되고 있는 실정을 고려하여 유역의 수문학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최적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강우의 임계지속시간 결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2002년 여름 강릉지역에 발생한 태풍 "루사"로 인한 집중호우는 기존 PMP 규모를 초과하는 사상 초유의 24시간 최대 강수량(880mm)을 기록하여
산마늘 에탄올 추출물과 각종 유기용매 분획물에 대하여 항돌연변이원성과 세포독성을 검토하였다. 시료자체는 돌연변이원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접 변이원인 MNNG에 대한 항돌연변이 효과에서 S. typhimurium TA100 균주에 대해 산마늘 에탄올 추출물(200/plate)에서 88.2%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동일 시료 농도에서 4NQO에 대해서는 S. typhimurim TA98과 TA100 두 균주 모두에서 각각 76.4%와 83.
두물차의 수량은 관행시비 (4회 분시)에 비해 완효성 비료 9월, 3월 분시 2회 와 3월 1회 분시는 수량차가 없었으나 9월 1회 분시는 감수되었다. 관행시비에 비해 완효성비료 2회 분시가 총 질소, 총 아미노산은 많았고, tannin과 caffeine 함량은 적은 경향이었으며 엽록소, 비타민 C, 유리당 함량과 감칠맛 주성분인 theanine 함량은 차이가 없었다. 형상, 향, 맛 등 제다품질은 완효성 비료 2회 분시가 1회 분시나 관행 시비 (4회 분시)에 비해 우수하였다. 그러나 완효성 비료처리는 토양비료성분 중 질소, 인산, 칼리의 효율성을 향상시켜 차잎 수량 및 품질을 증가시킨다고 생각된다.
In order to streamline the procedure of data transmission in port and logistics industries, MOMAF introduced EDI systems as the method of data transmission of 19 documents 5 years ago. While operating EDI system, MOMAF has found the inconvenience and the inefficiency of using EDI systems in the field of requesting fast response. This thesis focuses on finding the possible fields of on-line processing system. The result of the paper presents that if data transmission area such as 'application for pilot'is changed to on-line processing method, the processing cost and time will be reduced compared with EDI processing method.
Laboratory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arious factors on the phosphorus removal by electrolysis with aluminium electrodes. The efficiency of phosphorus removal increased with increasing of voltage applied, surface area of electrodes and electrolyte concentration, and decreasing of electrode distance. The phosphorus removal was not affected by the connection number of an electric circuit. The amount of aluminium ion eluted from electrodes according to Faraday's law was 4.47 ㎎ and the Al/P mole ratio was 2.14 at the electric current value of 20 ㎃.
덖음차 제조공정중 첫 덖음시간에 따른 최적 제다조건을 구명한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채엽시 엽수는 4매, 엽장 및 엽폭은 6.4cm × 2.4cm, 백아중(白芽重)은 40.2g이었다. 첫 덖음시간이 길어질수록 수분함량은 감소하여 6분 덖음시 6.0%에서 14분 덖음시 4.6%로 되었고, 제품수율은 10분에서 20.12%로 가장 높았다. 덖음시간에 따라 전질소는 5.14~5.41%, 총아미노산은 2,531~3,282mg/100g의 변이를 보였으며, 그 중에서 첫 덖음시간이 10분일 때 가장 함량이 높았던 반면, 탄닌은 13.22~13.86%로 10분 처리에서 함량이 가장 낮았다. 카페인 1.64~2.01%로 첫덖음시간에 별로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엽록소(319.1~380.3mg/100g)와 비타민 C (158.9~208.8mg/100g)는 덖음시간이 길어질수록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16종의 유리아미노산 및 질소화합물 분석 결과 총 함량은 2,447~3,192mg/100g이었으며 10분 첫 덖음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이들 중에서 theanine이 50% 이상이었고 aspartic acid, serine, glutamic acid 및 arginine을 합치면 89.4~90.0%였다. 차의 색깔은 덖음시간이 길어질수록 황색이 증가하였고 녹색은 10분 덖음에서 가장 진한 색을 나타냈다. 또한 관능검사 결과도 10분 덖음이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첫 덖음 시간의 경우 10분이 적당하리라 생각된다.
The export/import processing systems of the foreign advanced port use the integrated database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the users involved in the port and logistics activities. However all the port and logistics related organizations in Korea such as container terminal, customs,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etc. are using their own databases, so it is very inconvenient to the users to process their export/import affair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integrated database for the port and logistics affairs to provide the one stop service to the port and logistics related users. So we hav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databases of port and logistics related organizations, and recognized the users' various needs of information. And then we have suggested the conceptual architecture of integrated database for port and logistics, and proposed the strategies for successful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database in this paper.
The Dongbok lake water before and after alum coagulation and activated carbon adsorption were analyzed in terms of organic contents, molecular weight distributuin (MWD), and UV-absorbance. Dissolved organic compounds in the Dongbok lake were fractionated into three molecular size classes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The fractionation was reasonably successful in isolating compounds with MW>10,000 (Fraction Ⅰ) and those with 3,000MW (Fraction Ⅲ. The bulk of the dissolved carbon was present in compounds of molecular weight in the range of 3,000∼10,000. Alum coagulation preferentially treated molecules of high molecular weight, which has molecules larger than 10,000. The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removal after activated carbon adsorption was high in the Fraction Ⅱ, Ⅲ. The A_260/DOC ratio after alum and activated carbon treatment was high in the Fraction Ⅰ, Ⅱ. This results suggest that the organics remaining after each treatment has a trihalomethane formation potential
차광기간이 다른 재배환경이 다엽의 무기성분, 유리아미노산, 지방산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차광기간이 경과할수록 NH4+, K+. Mg++, PO4--함량은 증가하였으나 Na+, Ca++, F-, Cl-, No3-, So4--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이였다. 전질소 함량은 55% 10일+95% 5일 처리구에서 6.07%로 가장 높았고, 유리아미노산의 경우 차광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20~80mg/100g정도 함량이 더 많았다. Theanine함량은 55% 10일+95% 5일 처리구에서 1834mg/100g으로 가장 많았고, 무처리에서 1247mg/100g으로 가장 적었는데, 지방산 함량은 55% 15일+95% 일 처리구에서 3164mg/100g으로 가장 많았고, 55% 5일+95% 5일 처리구에서 2435mg/100g으로 가장 적었다.
다(茶)나무 삽목(揷木)시 삽수(揷穗)의 종류(種類), 상토(床土)의 종류(種類), 생장조정제(生長調整劑) 등이 발근(發根)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고자 시험(試驗)을 수행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숙지삽(熟枝揷)보다 녹지삽(綠枝揷)에서 발근율(發根率)이 양호(良好)하며 최적(最適) 삽목시기(揷木時期)는 숙지삽(熟枝揷)의 경우 4월 10일경, 녹지삽(綠枝揷)의 경우 6월 10일경이었다. 2. 적정상토(適定床土)는 마사토(磨沙土)이며, 녹지삽(綠枝揷)과 숙지삽(熟枝揷)에서의 발근율(發根率)은 각각 71% , 87%였다. 3. 생장조정제(生長調整劑)인 Oxyberon과 Rootone의 효과(效果)는 숙지삽(熟枝揷)의 경우 대조구(對照區)에 비해 4~9%의 발근율(發根率)을 향상(向上)시켰으나 녹지소(綠枝揷)에서 는 그 효과가 미미(微微)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