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3

        21.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멸종위기 야생동물의 서식지 특성 이해는 종과 서식지를 보전하기 위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GIS를 이용하여 멸종위기종인 삵의 서식지 특성을 조사하였다. GIS 분석을 위하여 삵의 위치자료와 11개의 환경 인자를 이용하였고, GIS분석을 위한 연구대상지로 오대산국립공원을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삵은 오대산국립공원의 일반적인 숲 구성에 해당하는 활엽수림, 수관밀도 밀밀도, 영급 5영급, 경급 중경목 지역을 선호하였다. 그러나 삵은 오대산국립공원 평균 고도(901.4m)보다 높은 고도(1,045m)와 오대산 평균 경사도(22.1°) 보다 낮은 경사도(15.7°)를 선호했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와 선행된 연구결과와 비교를 통해, 삵이 선호하는 서식지 환경에 대한 포괄적으로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삵은 수목연령은 5-6영급, 고도는 800-1100 m 경사도는 15-24°, 사면향은 남서향, 수계로부터의 거리는 200-300 m, 주거지나 농경지로부터는 1400 m 이상 떨어진 지점을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500원
        22.
        2014.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whether second language writings at different proficiency levels can be distinguished using automatic indices of linguistic complexity. For this study, 35 linguistic measures in 234 essays selected from the Yonsei English Learner Corpus were analyzed in order to identify the best indicators of L2 writing proficiency among the three categories: text length, lexical complexity, and syntactic complexity. The key to this study is the use of computational tools, the L2 Syntactic Complexity Analyzer and the Lexical Complexity Analyzer, which measure different linguistic features of the target language, and a robust statistical method,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automatic computational tools indicated different uses of linguistic features across L2 writers’ proficiency levels. Specifically, more proficient writers produced longer texts, used more diverse vocabulary, and showed the ability to write more words per sentence and more complex nominalizations. These findings can offer a window to understanding the linguistic features that distinguish L2 writing proficiency levels and to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new computational tools for analyzing L2 learner corpus data.
        6,300원
        23.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optimal composition of muffins added with dropwort powder, egg and sugar. The experiment was designed based on BBD (Box-behnken design), and evaluation was carried out by means of RSM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consisting of 13 experimental points with three replicates each for three independent variables dropwort powder, eggs and sugar. Using F-test, height, moisture, 1,1-diphenyl-2picri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L-value, a-value, springiness, cohesiveness, chewiness, brittleness, color, and appearance acceptability were expressed as a linear model, whereas pH, b-value, flavor, taste, and texture were expressed as a quadratic model. After swallow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expressed as a 2FI model. As dropwort powder content increased, 1,1-diphenyl-2picri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Increasing amounts of dropwort powder led to reduction of sensory scores for color, appearance, flavor, taste, and texture quality. The optimum formulation determined by the numerical and graphical methods were similar: dropwort powder 6 g, egg 77 g, and sugar 60 g.
        4,600원
        24.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퍼플루오르옥탄설포네이트를 LC/MS/M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분석 대상물질의 고유한 스팩트럼을 얻어 정량 하여 머므름 시간은 4.33분이었으며 상관계수(R2)은 0.9998 로 양호한 직선상의 그래프를 얻을 수 있었다. 퍼플루오르옥탄설포네이트에 대한 분석법의 회수율은 99.84%로 전반적으로 좋은 회수율을 보였으며 또한 이 연구에 적용되기에 충분한 정밀도와 정확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퍼플루오르옥탄설포네이트 정량한계 및 검출한계 는 0.03, 0.009 ug/L이었다. 따라서 식품 용기포장재에서의 분석에 적용이 가능하였다.
        4,000원
        25.
        2010.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ew studies have evaluated the apoptosis-inducing efficacy of NaF on cancer cells in vitro but there has been no previous investigation of the apoptotic effects of NaF on human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cells. In this study, we have investigated the mechanisms underlying the apoptotic response to NaF treatment in the YD9 human squamous cell carcinoma cell line. The viability of YD9 cells and their growth inhibition were assessed by MTT and clonogenic assays, respectively. Hoechst staining, DNA electrophoresis and TUNEL staining were conducted to detect apoptosis. YD9 cells were treated with NaF, and western blotting, immunocytochemistry, confocal microscopy, FACScan flow cytometry, and MMP and proteasome activity assays were performed sequentially. The NaF treatment resulted in a time- and dose-dependent decrease in YD9 cell viability, a dose-dependent inhibition of cell growth, and the induction of apoptotic cell death. The apoptotic response of these cells was manifested by nuclear condensation, DNA fragmentation, the reduction of MMP and proteasome activity, a decreased DNA content, the release of cytochrome c into the cytosol, the translocation of AIF and DFF40 (CAD) into the nucleus, a significant shift of the Bax/Bcl-2 ratio, and the activation of caspase-9, caspase-3, PARP, Lamin A/C and DFF45 (ICAD). Furthermore, NaF treatment resulted in the downregulation of G1 cell cyclerelated proteins, and upregulation of p53 and the Cdk inhibitor p27KIP1. Taken collectively, our present findings demonstrate that NaF strongly inhibits YD9 cell proliferation by modulating the expression of G1 cell cycle-related proteins and inducing apoptosis via mitochondrial and caspase pathways.
        4,000원
        26.
        200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팽화미분을 활용한 타락죽의 제품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서 팽화미분 첨가에 따른 타락죽의 pH, 수분, 고형분, 총당, 아밀로스, 점도, 퍼짐성 그리고 색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타락죽의 pH는 갈은 쌀로 제조한 시료가 팽화미분으로 제조한 시료보다 높았다. 그리고 분유를 첨가한 시료도 우유를 첨가한 시료보다 높았다(p<0.05). 수분 함량은 갈은 쌀과 분유를 혼합한 타락죽이 84.56%로 가장 높았고, 팽화미분과 우유를 혼합한 타락죽은 81.04%로 가장 낮았다(p<0.05). 고형분 함량은 수분함량과 반대되는 결과를 보였다(p<0.05). 총당 함량은 조리 시 가열처리한 시료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가열처리하지 않은 시료보다 높았다(p<0.05). 팽화미분으로 제조한 타락죽의 아밀로스 함량이 갈은 쌀로 제조한 타락죽보다 높았다(p<0.05). 점도는 갈은 쌀 타락죽이 팽화미분 타락죽보다 높았으며(p<0.05) 아밀로스 함량과 반비례하는 결과를 보였다. 퍼짐성은 점도와 상반되는 결과를 보였다(p<0.05). L값은 갈은 쌀 타락죽이 팽화미분 타락죽보다 높았다. 적색도는 팽화미분 타락죽이 가장 높았으며(p<0.05), 갈은 쌀과 우유를 혼합한 시료가 가장 낮게 나타나 L값과 반대되는 결과를 보였다. 황색도는 a값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4,000원
        28.
        2007.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ulti-walled carbon nanotube (MWNT)를 황산과 질산의 혼산(3:1)에 넣고 상온에서 ultrasonication 을 가해주어 MWNT의 표면에 산화반응을 통하여 카복실기를 도입하였다. 세정된 실리콘 웨이퍼를 3-aminopropylethoxysilane (3-APDIPES)의 톨루엔 용액에 담그어 실리콘 웨이퍼 표면에 3-APDIPES의 자기 조립 단층막을 형성하였다. 이 과정에서 실리콘 웨이퍼 표면에 형성된 3-APDIPES 자기 조립 단층막의 두께는 8 Å 이며, 이 단층막이 매우 견고하게 실리콘 웨이퍼 표면에 결합되어져 있음을 확인하였다. MWNT의 카복실기와 3-APDIPES의 아미노기 사이의 산-염기 반응을 통하여 생성되는 이온 사이의 정전기적 인력을 이용하여 실리콘 웨이퍼 표면에 MWNT를 배열하였다. 이 때 얻어지는 MWNT의 배향은 수직 배향이 아니라 수평 배향임을 atomic force microscopy (AFM)와 field emission-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4,000원
        32.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청각 사상관련전위(ERP)를 이용하여 다양한 성격 특질 모형들의 생물학적 근거와, 구조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명확히 하기 위해서 설계되었다. 48명의 대학생 피험자들에게 4가지 성격 측정 검사(NEO-Pl-R, EPQ-R, BIS/BAS 척도, IVE)를 시행하고, 이어 두 종류의 청각 자극 세트(50㎳와 300㎳)를 이용한 오드볼 과제를 통해 ERP를 측정하였다. 설문지 간의 상관과, 설문지와 ERP 내외생적 구성 요소 간의 상관, 그리고 그 상관의 두피 분포 양상을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해석하였다. 각 성격 검사의 외향성 척도에 해당한다 할 수 있는 E, E, BAS-FUN은 양성 모두에서 높은 수준의 설문지 척도 간 정적 상관을 보였으나, 50㎳ 자극으로 유발된 P3 진폭은 E와 BAS-FUN에 대해서만 유의하게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는 Eysenck의 모델과 일견 일치하는 결과이지만, 그가 개발한 EPQ-R의 외향성 척도(E)보다는 오히려 다른 척도들이 뇌파에 반영된 성격의 생물학적 기제를 측정하기 위한 적절한 도구일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신경증적 경향성을 반영하는 N과 N 척도는 50㎳ 자극에 대한 여성 피험자의 N1, P2 진폭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그러나 이론적으로 두 척도에 등가적인 것으로 예상되었던 BIS 척도는 설문지 간 상관이나 ERP요소와의 상관에서 모두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Eysenck가 성격의 세 번째 축(차원)으로 제시했던 P(정신병적 경향성) 역시 여성 피험자들에게서 두드러지는 설문지간 상관을 보였으나, 300㎳자극에 대한 P2 진폭과의 정적인 상관은 양성을 합한 자료에서만 발견되었다. 여성의 상관 분포는 비록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는 이르지 못하였으나, 양성 자료의 분포와 유사함이 확인되었다 이 실험의 결과는 P3 진폭과 외향성 간의 부적인 상관 관계를 보고하였던 기존 연구들을 지지한다. 또한 본 실험에서 확인된 Eysenck 모델의 신경증적 경향성이나 정신병적 경향성이 ERP의 비교적 초기에 나타나는 외생적 구성 요소들(Nl, P2)과의 상관 양상은, P3 요소에 집중하였던 기존 연구들이 외향성 이외의 차원으로 일관된 결과를 얻어내지 못했던 이유를 설명해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성격 차원과 그것을 지표 하는 ERP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해석할 때에 성별이나 유발 자극의 속성을 고려해야 함을 보여준다.
        4,000원
        33.
        2017.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PE film thickness on the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MAP) deastringency of ‘Sanggamdungsi’ (Diospyros kaki cv.) astringent persimmon at room temperature (25°C) and low temperature (-1°C). The fruits were individually packaged with PE film of which the thickness is 60, 80, 100, 115 or 130 μm and stored at room or low (-1°C) temperature. At room temperature, firmness shows the highest value (23.3-26.5) at 100 μm thickness. Top flesh browning and decay was monitored at 20 days after storage, and peel blackening and style-end softening was negligible at optimal thickness. Therefore, optimal film thickness of deastringency at room temperature is 80-100 μm. At this thickness, the astringency was removed after 5 days and the fruits can be distributed until 10 days after the MAP. At low (-1°C) temperature, firmness was maintained regardless of film thickness. However, the firmness is higher as the film is thicker. Top flesh browning and decay was not occurred even after 90 days after storage. Peel blackening and style-end softening was monitored at 90 days after storage. Off-flavor was monitored at 115 and 130 μm thickness. Therefore, optimal film thickness of deastringency at low (-1°C) temperature is 80-100 μm. At this thickness, the astringency was removed after 50 days and the fruits can be distributed until 80 days after the MAP.
        34.
        2017.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열전소자와 플라즈마 장치를 삽입하여 제작된 컨테이너와 기존의 사용되고 있는 스티로폼(EPS)박스에 소고기를 저장하면서 저장 중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온도변화 측정 결과 저장기간 동안 TCS-1 컨테이너가 2℃ 이하로 온도유지가 잘 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EPS박스는 저장 3일 이후 소고기가 부패되어 더 이상 실험이 불가능 하였다. 소고기의 신선도를 나타내는 휘발성염기질소(VBN)과 지방산패도(TBA)값의 측정 결과, 저장 7일째 TCS-1의 VBN은 7.72 mg%, TBA는 0.52 mgMA/kg, TCS-2의 VBN 값은 9.20 mg%, TBA는 0.91 mgMA/kg로 측정되어 TCS-1이 TCS-2 보다 유의적으로 적은 증가율을 나타내어 소고기의 신선도를 더 잘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미생물 변화는 저장 7일 TCS-1은 4.62 log CFU/g, TCS-2는 7.09 log CFU/g으로 측정되어 TCS-1이 유의적으로 미생물 증식 억제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호도 조사 또한 저장 7일째 TEU-1은 모든 항목에서 6.5점 이상의 평가를 받았으나 TCS-2는 4.1 이하의 평가를 받아 소고기의 상품성이 상실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모든 분석항목에서 TCS-1이 TCS-2보다 소고기 신선도 유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35.
        2016.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r the distribution of fresh produce, the thermoelectric cooling system combined with thermo electric materials (TEM) and phase change material (PCM) was studied. The PCM used this study was produced by in-situ polymerization technology which referred microencapsulation of hydrocarbon (n-tetradecane and n-hexadecane). In this study, quality characteristics of bell peppers in thermoelectric cooling system combined with TEM and PCM were analyzed and control was placed in an EPS (expanded polystyrene) box. As a result of quality characteristics analysis, weight of bell peppers decreased and moisture content of bell peppers was 90.96~94.43% during storage. Vitamin C content of bell pepper decreased during storage and reduction ratio of control was higher than that of BPT-5 treatment(bell pepper in thermoelectric cooling system with PCM which is kept the temperature at 5℃). The result of color value, on 21 day, ΔE value of BPT-5 treatment was 5.05 while that of control was 41.8. On 21 day, total bacteria count of BPT-5 treated bell pepper shown less than that of control. In conclusion, it suggested that the thermoelectric cooling system combined with PCM improved quality of fresh produce during transportation and storage.
        36.
        2015.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icacy of an experimentally designed cold chain container and a currently used styrofoam container was investigated with respect to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fresh beef during storage under different conditions. The temperature in the TEPP-1 container was maintained at 5℃ using a phase change material (PCM) during transport and delivery. During storage in the TEPP-1 contain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pH of beef, but color decreased slightly, which does not affect the desire to purchase. After storage for 7 days, the rate of VBN and TBA in the TEPP-1 container, was lower than that in the TEPP-2 container. Drip loss was lower in the TEPP-1 container (0.87%) than in the TEPP-2 container (1.78%). No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microbal count until 4 days in either of the containers, but after storage for 7 days, the count increased significantly. Microbial count in TEPP-1 was 6.65 log CFU/mL and that in TEPP-2 was 7.62 log CFU/mL.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s indicated that the overall acceptability of beef after storage for 7 days was better in the TEPP-1 container than in the TEPP-2 container. The EPS container was inferior in comparison with TEPP-1 and TEPP-2. It was impossible to continue the experiment using the EPS container after 3 day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xperimentally designed TEPP-1 container can be used for beef transport and delivery for 7 days without significantly affecting the quality of beef.
        37.
        2015.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생리 활성 기능을 지닌 미나리를 이용한 다양한 가공제품의 개발 및 미나리의 활용성 증대의 일환으로 미나리 분말 첨가에 따른 만두피의 제조 및 품질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밀가루 대체 미나리분말 0, 1, 3, 5,7%를 첨가하여 만두피를 제조한 결과 수분결합력은 미나리 분말이 첨가될수록 증가하였으며 수분함량은 미나리 분말 첨가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만두피의 조리 특성에서는 무게와 수분흡수율과 부피는 대조군에 비하여 미나리 분말 첨가구가 높게 나타났으며 미나리 분말 첨가량이 많아짐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01). 탁도는 미나리 분말 7% 첨가 만두피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미나리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용출성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미나리 분말 첨가 만두피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미나리 분말 첨가량이 증가 할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색도에서는 미나리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과 a값은 감소하였으며 b값은 증가하였다. Texture에서 경도는 대조군에 비해 미나리 분말 첨가구가 높게 나타났으며 탄력성과 응집성은 미나리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01). 외관의 기호도에서는 미나리 분말이 많이 첨가될수록 선호도가 높았으며 향미, 맛, 질감,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미나리 분말 3%첨가 만두피가 기호도면에서 우수하게 평가되어 기능성과 기호적인 측면에서 도움을 줄 수 있는 만두피로 사용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38.
        2013.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possibility of preserving frozen vegetables (Aster scaber, soybean sprouts, Chinese cabbage, green pumpkin, and Welsh onion) for a long period and of using them after such storage by measuring changes in quality due to their preservation. Various freshly harvested vegetables were blanched under optimal conditions (that were determined in a preliminary experiment), quick-frozen at –40℃ for 24 h, and stored at –20℃. The change in the chromaticity of the frozen A. scaber, soybean sprouts, Chinese cabbage, green pumpkin, and Welsh onion did not vary. The hardness of the frozen A. scaber, green pumpkin, Chinese cabbage and Welsh onion did not change during the preservation period, whereas the hardness of the cotyledon and hypocotyl of the soybean sprouts significantly increased on the sixth month of their storage. The total bacterial counts of the A. scaber during the preservation period remained constant at 103 CFU/g, whereas those of soybean sprouts, Chinese cabbage, green pumpkin, and Welsh onion decreased slightly to 102 CFU/g. Coliform was not detected in any of the samples. The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the preservation period that was used in this study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marketability of the frozen vegetables. Therefore, it was considered that A. scaber, soybean sprouts, Chinese cabbage, green pumpkin, and Welsh onion can be safely preserved by freeze-storing them for up to 12 months.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