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7

        21.
        201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조경식물인 금낭화, 돌단풍, 할미꽃, 붉은잎동자꽃, 벌개미취의 개화기 예측에 필요한 적산온도를 구명하였다. 경기도 수원시에 위치한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2013년 3월 시험포에 식재된 관상식물 5종을 채취하여 컨테이너(30×30×30cm)에 원예용 상토를 이용하여 식재하여 시험포와 온실에 4반복으로 배치하였다. 1주일 간격으로 개아기, 전엽기, 개화기를 조사하였으며 온도를 측정하였다. 온실과 시험포의 적산온도의 비교 결과 조경식물 5종의 생육단계에 따른 적산온도는 금낭화 개아기 176.3±9.12℃, 전엽기 265.1±47.63℃, 개화기 476.1±112.43℃, 돌단풍 개아기 170.0± 32.56℃, 전엽기 352.8±176.84℃, 개화기 452.3 ±17.74℃, 할미꽃 개아기 152.0±7.17℃, 전엽기 266.2 ±54.36℃, 개화기 410.4± 41.58℃, 붉은잎동자꽃 개화기 186.1±22.92℃, 전엽기 205.8± 16.92℃, 개화기 1426.6±135.99℃, 벌개미취 개아기 163.5±9.02, 전엽기 190.6±4.55, 개화기 2714.9±88.97로 나타났다.
        22.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국에 자생하는 몇몇 조경용 수목의 만개일과 기온자료를 활용하여 생물계절에 따른 기본온도와 생장도일(Growing Degree Day, GDD)을 추정하였다. 2011~2012년 조경수목의 만개일를 조사하였으며 수원기상대의 온도자료를 사용하여 일평균온도에서 기본온도를 차감한 생장도일을 계산하였다. 기준온도 설정을 위하여 0.1℃ 단위로 생장도일을 계산하여 2011~2012년 생장도일의 표준편차가 적은 온도를 기본온도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식물의 기본온도는 진달래, 박태기나무, 팥꽃나무는 1.9℃, 공조팝나무 0℃, 장구밥나무 1.2℃로 나타났으며 만개기의 생장도일은 진달래 324.10±96.32℃, 박태기나무와 팥꽃나무 506.90±84.99℃, 공조팝나무 853.65±59.61℃, 장구밥나무 2112.70±11.74℃이다. 계산된 생장도일을 이용하여 홍릉수목원에서의 예측만개일과 실제만개일 비교 시 진달래의 예측만개일의 45%, 박태기나무의 35% 수준으로 일치하였다. 팥꽃나무는 박태기나무와 만개일이 유사하므로 비슷한 예측 정확도를 보일 것이라 생각된다.
        23.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벽면녹화에 사용되고 있는 덩굴성 식물 5종의 벽면재질별 부착유무 및 식재방향에 따른 생장특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시험은 2010년 5월에서 9월까지 진행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벽면 재질은 흙벽돌, 적벽돌, 유리벽, 목재, 콘크리트, 알루미늄 방음벽으로 6가지 유형이었으며 시험에 사용된 덩굴성 식물은 능소화, 바위수국, 송악, 은빛줄사철, 금빛줄사철이었다. 덩굴성 식물의 초장의 생육은 능소화, 송악, 은빛줄사철, 금빛줄사철, 바위수국 순으로 높았으며 피복율은 능소화, 금빛줄사철, 송악, 은빛줄사철, 바위수국 순으로 높았다. 능소화는 초장 생육과 피복율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은빛줄사철, 바위수국, 송악은 초장 생육에 비하여 낮은 피복율을 보였다. 덩굴성 식물의 남·북 방향에 따른 초장 생육의 차이는 송악은 남향에서 높았으며 능소화, 바위수국, 은빛줄사철은 북향에서 초장의 생육이 높았다. 그리고 금빛줄사철은 5~7월에는 남향에서 8~9월에는 북향에서 초장 생육이 높았다. 벽면재질별로 덩굴성식물들의 부착유무는 능소화는 목재, 흙벽돌, 적벽돌, 콘크리트 벽면 재질에 부착이 가능하였고 은빛줄사철은 목재, 적벽돌에 부착이 가능하였다. 그리고 금빛줄사철, 바위수국, 송악은 목재에 부착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유리벽과 방음벽에는 모든 식물이 부착하지 못하였다.
        24.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산업화에 따른 폐수발생으로 하천의 악화된 수질환경에 대해 지역수종 중심으로 선발된 자생식물을 통하여 하천주변의 경관을 복원하는 동시에 하천의 수질을 정화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시험재료는 자생지 및 재배농가에서 물억새, 흰사초, 이삭사초, 삿갓사초, 갯조풀, 줄, 갈대, 창포, 미나리, 부채붓꽃, 벌개미취, 매자기, 흑삼릉, 석창포, 눈주름잎, 버드나무, 속새, 흰갈풀, 골풀을 수집하였으며 식물을 와그너 포트에서 식물체의 뿌리부분까지 침수되도록 식재하여 5개월간 생육시켰다. 그 후 Sonneveld 양액(장미양액)을 1배액으로 관주하여 3일차, 5일차에 식물의 뿌리의 부위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T-N, T-P를 측정하였다. T-N을 흡수하는 속도는 물억새, 흰사초, 이삭사초, 갯조풀, 삿갓사초는 T50까지 2.00, 2.13, 2.18, 2.21, 2.29일로 짧은 시간동안 T-N 총량의 50%를 흡수하였으며 눈주름잎, 버드나무, 속새, 흰갈풀, 골풀은 T50까지 3.13, 3.54, 4.17, 4.51, 7.55일로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이 필요하였다. T-P를 흡수하는 속도는 흰사초, 물억새, 이삭사초, 삿갓사초, 갯조풀은 T50까지 1.85, 1.90, 1.90, 1.90, 1.92일로 짧은 시간동안 T-P 총량의 50%를 흡수하였으며 버드나무, 흰갈풀, 석창포, 골풀, 속새는 T50 까지 2.24, 2.25, 2.25, 2.27, 2.30일 비교적 흡수 속도가 느렸다. 식물의 종에 따라 오염물질을 흡수하는 속도에는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수변에 수질정화를 위하여 식물을 식재할 경우 효율적인 수질정화를 위하여 식물의 오염물질의 흡수속도를 고려하여 설계하여야 할 것이다.
        26.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방과 후 특기 적성 교실의 원예-국어 통합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국어과 관련 학습흥미도와 학업성취도 및 식물친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수원, 군포, 양평의 초등학교에서 방과 후 특기 적성 교실에 참여하는 2~5학년의 학생들 41명을 대상으로 2010년 3월 23일부터 7월 9일까지 매주 1회, 회기 당 1시간20분씩 총 15회에 걸쳐 원예-국어 통합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과 원예활동을 통합하여 실내․외에서 개별 및 집단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실행 전후에 국어과 관련 학습흥미도와 학업성취도 및 식물친숙도를 검사하였는데 원예-국어 통합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보다 실시한 후에 아동의 국어과 관련 학습흥미도와 학업성취도 및 식물친숙도의 향상에 효과가 있음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교육현장에서 교과목과 연계한 다양한 원예교육프로그램의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개발 및 보급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으며 또한, 이를 위한 교육영역의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27.
        2010.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 실내식물 92종에 대해 5그룹으로 분류하여 새집증후군의 대표적인 원인 물질인 포름알데히드의 시간당 제거 효율을 조사하여 값을 표시하고 순위에 따라 배열하였다. - 양치류의 포름알데히드 제거 효율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그 다음이 허브류이었다. 또한 목본성과 초본성 관엽식물, 자생식물 및 난의 포름알데히드 제거효율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실내식물 92종 중에 고비, 부처손, 넉줄고사리의 포름알데히드 제거효율이 가장 우수하였다. - 자생식물에서는 남천, 황칠나무, 백량금, 월계수, 마삭줄의 제거 효율이 우수였다. - 목본성 관엽식물 중에는 구아바, 관음죽, 메시코소철, 디지고데카, 인도고무나무 등이 우수하고, 초본성 관엽식물 중에는 접란, 디펜바키아, 틸란드시아, 안스리움, 싱고니움 등의 제거효율이 우수하였다. - 허브식물 중에서는 라벤더, 제라니움, 로즈마리 그리고 난류에서는 나도풍란, 덴파레, 호접란의 제거 효율이 우수하였다.
        28.
        2010.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관목류 중에서 공기정화 능력이 우수한 식물을 선발하고자 톨루엔 제거 효과 측정 - 관목류 중에서는 소나무, 만병초 그리고 자금우의 톨루엔 제거 효율이 가장 높았다. 그 다음이 호랑가시나무, 광나무, 녹나무 순이었으며, 돈나무와 산호수가 가장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 소나무는 실내에서 기를 경우 햇빛이 부족해 기르기가 어렵다. 따라서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실내 공간에서 일반 소비자가 톨루엔 제거를 위해 식물을 기를 경우에는 자금우, 만병초가 가장 우수하다. - 돈나무는 포름알데히드 제거 효율이 매우 높은 반면, 톨루엔 제거 효율은 가장 낮았다. ○ 이끼류에 대한 톨루엔 제거 효과를 측정 - 이끼류는 새집증후군 원인물질인 톨루엔 제거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이끼류의 종류별로는 톨루엔 제거 효율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 식물 상호간에 제거 효율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단위엽면적당 톨루엔 제거 효율로 계산하는데 이끼류는 엽면적을 측정할 수 없어 이끼가 놓인 표면적을 기준으로 계산하였다. 실질적으로 엽면적은 표면적보다 클 것으로 보인다. - 엽면적으로 계산한 관목류와 표면적으로 계산한 이끼류를 서로 비교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이끼류가 톨루엔 제거에 상당히 효과적이었다.
        29.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실내조경용 화분에서 사용되는 관수방법별 배지의 수분분포 및 심지종류별 수분흡수 특성을 구명하였다. 심지 종류는 극세사, 관수용 부직포, 면제품 그리고 관수방법은 물뿌리개, 점적핀, 그리고 심지 관수로 처리하였다. 관수용 심지 3종류의 수분흡수 높이는 제품 간에 큰 차이가 있었으나, 배지로 이동되는 수분 공급 높이는 15일 동안 약 20 cm로 처리 간에 차이가 없었다. 또한 심지의 수분 흡수속도는 초기 30분 동안(약 20 cm 높이) 빠른 속도로 흡수된 후 느려지는 특성을 보였다. 관수용 심지는 1차, 2차 흡수지대로 구분되며 1차 흡수지대는 심지가 침지된 물에 의해 직접 흡수되며 흡수속도가 빨랐다. 2차 흡수지대는 1차 흡수지대에 의해 공급된 배지의 물이 공급원이 되어 다시 심지에 흡수되는 곳으로, 흡수 속도가 느리고 흡수된 후 배양토로 이동이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물뿌리개를 이용한 관수는 많은 물이 짧은 시간에 수평으로 공급되지만 점적관수의 경우 원형으로 공급되고(Snyder 1990) 심지관수의 경우에는 천천히 적은 물이 옆으로 공급되는 특성을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관수용 심지는 재질에 관계없이 배양토 높이 약 15 cm까지가 수분 공급이 가장 원활히 이루어지며, 높이 약 20 cm에 수분 이용한계선이 존재한다. 또한 건물내에 식물의 증발산양이 적은 곳에서 사용되는 미세관수에는 심지 관수방법이 적합한 것으로 보인다.
        30.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graft cactus (Gymnocalycium marsoneri x mihanovichii x G. mihanovichii) cultivar, 'Hwangjo' was developed from a interspecific cross between an orange colored G. marsoneri x mihanovichii breeding line '9834036', a line with characteristics of vigorous growth and stable color under the strong sun light, and an orange colored graft cactus (G. mihanovichii) breeding line 'IG177' and through line selection at the National Horticultural Research Institut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in 2005. It was developed with the aim to breed a bright and vivid orange colored cultivar. Its characteristic evaluation was conducted three times during 2003 to 2005. The color of both body and tubercle was yellow. The shape of globe was flattened round and it had 8 to 10 deep ribs. The spine was semi erect, medium sized and grayish brown color. Growth was faster than the comparison cultivar, 'Hugwang'. Propagation capability was excellent, setting 15 tubercles per globe. Characteristics of the cultivar could be maintained by vegetative propagation. Strong sun light and virus infection should be avoided.
        31.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graft cactus (Gymnocalycium mihanovichii) cultivar, 'Simhong' was developed from a cross between graft cactus breeding line 'Keumhong', a cultivar revealing a red colored globe with yellow colored tubercles, and a dark red line '9502052' and consecutive line selection at the National Horticultural Research Institut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in 2005. It was developed with the aim to breed a dark red cultivar. Its characteristic evaluation was conducted three times during 2003 to 2005. The color of both body and tubercle was dark red. The shape of the globe was flattened round and it had 8 to 10 deep ribs. The spine was medium sized, straight and dark brown. Its growth was faster than the comparison cultivar, 'Jinhong'. Propagation capability was excellent, setting 12 tubercles per globe. Characteristics of the cultivar could be maintained by vegetative propagation. Strong sun light and virus infection should be avoided.
        32.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graft cactus (Gymnocalycium mihanovichii x G. marsoneri x mihanovichii) cultivar, 'Yeonsim' was developed from a interspecific cross between two black with pink graft cactus (Gymnocalycium mihanovichii) breeding line '9603026' and G. marsoneri x mihanovichii breeding line 'BP', a lin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wide spacing between ribs, and vigorous growth and through line selection at the National Horticultural Research Institut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in 2005. It was developed with the aim of breeding cultivars with new colors and globe shapes. Its characteristic evaluation was conducted during 2003 to 2005. The color of both body and tubercle was pink. The shape of the globe was flattened round and it had 7 to 9 deep ribs. The spine was short, straight and brown color. Growth was faster than the comparison cultivar, 'Yeonhwa'. Propagation capability was excellent, setting 12 tubercles per globe. Characteristics of the cultivar could be maintained by vegetative propagation. Strong sun light and virus infection should be avoided.
        33.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cultivar of Phalaenopsis, "Snow Dream" was initially selected from the progenies of the cross of Phal.3016xPhal.3021 (no name, collection at the nursery) in 1996 at the National Horticultural Research Institut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Final selection was made in 2003 after the investigation of the characteristics for five years (1999-2003). "Snow Dream" has long blooming (about 4months), white flower, pink stripe lip, semi-upright leaf. PLB(Protocorm Like Body) induction rate was 70%. The width of flower is 9.0 cm. The direct sun light should be avoided for its appropriate growth. Growing temperatures should not be exceed 35℃/15℃ (day/night). A variety protection for "Snow Dream" has been applied in 2005.
        34.
        200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cultivar of Phalaenopsis, "Orange Dream" was initially selected from the progenies derived from self-pollination of 3091(no name) in 1996 at the National Horticultural Research Institut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It was finally selected in 2003 after the investigation of the characteristics for five years (1999-2003). "Orange Dream" has orange color and purple line with thick petal, sepal, and long blooming, semi-upright leaf and high-mass propagation of 70%. The width of flower is 6.5 cm with medium sized and the number of flowers is 6. Strong sunlight should be avoided for its growth. Growing temperatures of 35℃/15℃(day/night) are advisable. A variety protection has been applied for this cultivar in 2005.
        35.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graft cactus (Gymnocalycium mihanovichii) cultivar ‘Suyeon’ was developed from a cross between two pink with black breeding lines ‘9603010’ and ‘9603026’, by line selection at the National Horticultural Research Institut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in 2005. It was developed with the aim of breeding a cultivar showing vigorous growth and multiple colors. A line ‘9603010’ wa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a black line and a pink line. Investigation into characteristics was conducted three times from 2003 to 2005. The color of both body and tubercle was pink with black. The shape of the globe was round and it had 7 to 9 deep ribs. The spine was short and straight, and its color was brown. Growth was retarded compared to a comparative cultivar ‘Ojack’, on the other hand, showed good propagation capability, setting 11 tubercles per globe. Characteristics of the cultivar could be maintained by vegetative propagation. Growers should take care to protect them from strong sun light and virus infection.
        36.
        200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Cymbidium hybrid “Bright Evening” was released by National Hort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HRI) in 2003. A cross was made in 1995 between Cymbidium “Tropical Yellow”, a brownish yellow colored petal and medium plant sized variety, and “Lucky Rainbow Rapin Hot”, a light purple-pink petal with red lip and medium sized variety. A cross was made in 1995 between Cymbidium “Tropical Yellow”, a brownish yellow colored petal and medium plant sized variety, and “Lucky Rainbow Lapin Hot”, a light purple-pink petal with red lip and medium sized variety. The eighty seven progenies were obtained after planting and acclimatization in green house. In 1999, a line (9529125) was selected and multiplicated for its flower color, leaf shape, flower stalk, and vigorous growing habit. After evaluation trial for two growing seasons, the selected line was named as “Bright Evening”. The “Bright Evening” has yellow petals and is a medium sized (average leaf length is about 62 cm and width of flower is about 6 cm) Cymbidium variety with vigorous growth and erect flower stalks. Blooming is started from November to February in optimal culture condition. High temperature (more than 30℃) and low light intensity should be avoided for the appropriate growth. In addition, flower stalks develop easily even from underdeveloped pseudobulbs.
        37.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ymbidium hybrid “Bright Lemon” was released by National Hort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HRI) in 203.A cross was made in 1995 between Cymbidium “Miake Pieta”, a purple-pink colored petal and medium plant sized variety, and“Unknown”, a yellow petal with
        38.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hybrid “Beauty Princess” was released by National Hort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HRI) in 203.A cross was made in 199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in 203. A cross was made in 1995 between “Miake Pieta”with dark-red purple petals and “
        39.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cultivar of Phalaenopsis “Pink Dream” was initially selected from the progenies derived from the self-polli-nation the selfing of 3039 (germ-plasm 3039, collection in the country) in 1995 at the National Horticultural Research Institute,Rural Develo
        40.
        200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cultivar of Phalaenopsis, “Yellow Star” was initially selected from the progenies derived from self-pollination ofthe cultivar “Taipei Gold” in 195 at the National Horticultural Research Institut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It wasfinally sel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