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20

        142.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RAS (generally recognized as safe) 하며 열에 민감한 기능성 물질의 전달체로 이용될 수 있는 beta-lactoglobulin (β-Lg) 나노입자 연구는 건강 기능성 유식품 개발에 기여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protein self-assembly 방법을 이용하여 β-Lg나노입자를 제조하고, 투과 전자 현미경과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β-Lg나노입자 제조 공정요인에 따른 나노입자의 구조 형태 및 화학적 특성 연구가 수행 되었다. 65℃ 열처리 온도와 1mM CaCl₂에서는 β-Lg나노입자가 형성 되지 않았다. 그러나 CaCl₂농도가 2mM에서 5mM로 증가 함 에 따라 나노입자 형성이 관찰 되었고 그 입자 크기도 점차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CaCl₂농도가 증가 할수록 turbidity 값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CaCl₂농도 증가에 따른 나노입자의 구조적 변화는 β-Lg와 Ca² 사이의 정전기적 상호작용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열처리 온도가 55℃에서 85℃로 증가함에 따라 β-Lg나노입자 크기가 증가 하였고, 이러한 열처리 온도 증가에 따른 나노입자의 구조적 변화는 β-Lg의 내부 free sulfhydryl 기와 관련된 분자간의 disulfide 결합이 입자형성에 관여함 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나노입자 형성과 입자크기 조절에는 CaCl₂농도와 열처리 온도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45.
        200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꼬마잠자리 서식처의 자연환경을 조사하고, 생물종의 복원과 유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꼬마잠자리는 잠자리과에 속하는 초소형 잠자리로서 우리나라에서는 멸종위기 보호야생동식물로 분류되어 보호되고 있다. 국내의 서식처는 중남부 일부 지역에 매우 희소하게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멸종위기종인 꼬마잠자리의 서식처 복원을 위한 자료수집을 위해 꼬마잠자리의 서식이 확인된 4개 지역 10개 지점의 경관, 서식처 면적, 식생 유형, 수환경, 수원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는 2006년 6월부터 2007년 8월에 걸쳐 이루어졌다. 꼬마잠자리의 서식처는 대부분 산지의 묵논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서식처 면적은 113.4m2~1,153.1m2로 나타났다. 식생은 골풀과 고마리가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수심은 2.6~7.3cm 사이였고, 수온은 16~27.8℃이었다. 꼬마잠자리의 서식처는 고산 습지에 위치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으나, 조사 결과 해발 고도 139~243m 사이의 지역에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꼬마잠자리의 서식처는 주변이 위요된 육화되기 전의 빈영양화 초기 단계의 묵논과 같은 습지에 복원되어야 하며, 꼬마잠자리는 다른 잠자리보다 환경에 예민한 습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사항들을 고려하여 서식처 복원에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4,000원
        146.
        2008.0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hase transformations and luminescent properties of Eu-doped Ca1-xSrxAl2O4 phosphors were investigated. Ca1-xSrxAl2O4:Eu2+ phosphors were synthesized by a solid-state reaction with a flux, H3BO3. A phase transformation from monoclinic CaAl2O4 to monoclinic SrAl2O4 was observed as the x values increased. A high-temperature hexagonal phase of SrAl2O4 was formed during this transformation as an intermediate phase under an H2 atmosphere due to oxygen vacancies; this did not occur in an air atmosphere. Accordingly, the emission spectra shifted from a blue region to a green region as x increased.
        3,000원
        154.
        200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ligniolytic bacterial strain was isolated from the digestive tract of a red dragonfly, Sympetrum depressiusculum. It was identified as a Serratia marcescens HY-5 by 16S rDNA sequence analysis and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analysis. The isolated strain showed proportional increase of ligninolytic activity to the cell growth in the culture media which include lignin compounds. It showed about 25-45% decomposition of lignin compound by 48 hr incubation especially, showed effective decomposition of monomer lignin compounds, vanillin and guaiacol, and a dimer, dealkaline lignin. PCR amplification of 16S rDNA followed by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analysis showed high density of S. marcescens HY-5 in the gut of the S. depressiusculum at both gut samples which collected at different site.
        4,000원
        157.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에서는 영양적 불균형으로인한 면역저하 동물 모델을 대상으로 하여 식품으로 사용이 가능한 밀리타리스동충하 초 (Cordyceps militaris와 눈꽃 동충하초 (Paecilomyces japonica)의 면역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밀리 타리스동충하초, 눈꽃 동충하초는 비장세포에 의한 IL-2 분비능을 50%이상 증가시켰다. (p<0.05)밀리타리스 + 눈꽃 동 충하초 1:1복합물은 식이수준 1.5%, 3%에서 각각 IL-2 농도를 대조군에 비해 31%, 61% 증가시켰다. 복합물 3% 처리군 에서는반건강대조식이군에 비해 CD4+T-cell수를 17% 증가, CD4/CD8 비율을 21% 증가시켰다.(p<0.05). 밀리타리스 동충하초와 눈꽃 동충하초의 1:1복합물은 세포성 면역반응을 매개로한 면역증진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