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7

        141.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의료 소비자들은 건강에 많은 수요를 보이며 이에 의료산업 분야는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특히 병원에서는 고객의 의견을 반영하며 시대의 트렌드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펼치고 있다. 또한, 시각적 환경 이미지 형성에서도 내·외부 환경에 변화를 고려하는 등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꾀하고 있다. 하지만 의료기기 디자인은 의료진의 효율적인 진료와 환자의 심리적 안정을 위한 중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소외당하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환자에게 있어 내원하기 싫은 병원 1순위인 치과에서 꼭 사용될 수밖에 없는 유니트체어를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우선 FGI를 실시하여 유니트체어의 이미지를 결정짓는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조사 실험단계에서 디자인만족도 평가항목을 요인분석하여 대표평가 요인으로 압축하였다. 그 후 선정된 대표요인으로 디자인만족도 조사를 하였다. 만족도 조사결과에서 나온 불만족스러운 디자인 구성요소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형용사 어휘를 이용하여 출시된 제품들의 이미지를 평가했다. 그리고 설문 조사를 통해 나온 선호하는 제품 이미지 영역과 비교, 대조하여 관계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비교 분석을 통해 나온 내용을 동일한 지각도에서 서로의 영역이 어떻게 위치하는지 알아보고 향후 출시될 유니트체어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142.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 사회는 빠른 속도로 발전하는 네트워크 기술로 인하여 지역 간, 나라 간의 경계가 모호해져 가고 있다. 글로벌 사회로 빠르게 변모하고 있는 시점에서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의 정체성 확립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또한 서울 방문 외국 관광 객이 2,000만 명 시대를 대비하여 도시 브랜드 정체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시민들의 자긍심 고취와 타 도시 대비 경쟁력 제고를 위한 브랜딩 과정의 공감과 확산에 도움이 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TCCS분석인 Trend, City, Competitor, Stakehoder 4가지로 나누어 분석하고 이를 통해 서울시의 키워드를 도출하고 그에 따른 브랜드 정체성을 제 시하고자 한다. 그 결과, 키워드는 ‘공존하는’, ‘열정적인’, ‘트랜디한’, ‘배려있는’, ‘여유있는’으로 도출되었으며 이로 인해 서울시는 서로 다른 요소들이 공존하며, 열정적인 시민과 트랜디한 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배려와 여유가 있는 도시, 공존 의 철학으로 열정적이면서도 여유와 배려가 있는 트랜디한 도시, 열정적이며 트랜디한 문화를 이끌어가면서도 공존의 정심 으로 배려와 여유를 놓지 않는 어울림의 도시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는 나타난 서울시의 정체성은 다양한 디자인 분야의 컨셉을 도출하거나 시민 참여를 유도하는 이벤트를 개최할 때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었으면 한다.
        143.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디자인 실무와 디자인 교육의 밀접한 상호 보완을 통해 학생들의 실무능력을 향상시키고 글로벌 환경에서의 실무 프로세서를 디자인 교육에 적용하여 운영한 사례연구로서 글로벌 캡스톤 디자인을 활성화를 위한 논문이다. 글로벌 환경에 맞추어 선문대학교 학생과 미국의 브리지포트 대학교 학생간의 의사소통을 중시했으며 학기 중에는 쇼셜 네트워크를 통해 아이디어 발굴과 평가 및 조언을 교환하였다. 과목의 주제는 서울브랜드 개발로 정하고 진행되었으며 이를 통해 대학 및 학과의 대외홍보 및 인지도 상승시키는 효과를 가져왔으며, 브리지포트대의 교육적 콘텐츠와 방법론을 이해하고 경험하였으며 이로 인해 글로벌 취업역량을 강화시켰다. 또한, 실무에 강한 글로벌 인재를 양성하고 실무교수진의 크리틱을 통해 글로벌 디자인 현장실무 프로세스를 경험하였다. 이로 인해 개인디자인역량강화를 시킬 수 있었다.
        144.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디지털 콘텐츠 시장이 성장하면서 정부나 지자체에서는 적극적인 투자로 글로벌시장을 선점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우 리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대한민국을 대표할 만한 디지털 콘텐츠는 부재한 상황이다. 글로벌 화에 맞는 디지털콘텐츠 개발을 위해서는 독창적인 아이디어도 중요하지만 개발되어진 콘텐츠를 소비자에게 얼마나 효과 적인 전달할지를 고민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컨버전스 광고를 제안하고자 한다. 단순히 tv광고 나 인쇄매체광고 뿐만 아니라 새로운 홍보수립과 홍보매체에 변화를 꾀할 필요가 있다. 현재 컨버전스 광고는 통합적으로 국내 디지털콘텐츠업체의 광고수익과 회원가입비에만 의존하는 등 수익기반이 허약하며, 세계시장을 겨냥한 전략이나 방 향이 부재하여 정부는 국내 디지털콘텐츠산업 활성화와 글로벌화를 추진하기 위해 우선 국내 디지털콘텐츠가 해외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세계적인 전략이 적용된 콘텐츠 개발과 현지화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저비용 고효율의 광고전략이 필요 하며 이를 대표하는 앰비언트광고, 영상광고, 브랜드 아이덴티티광고로 전략을 수립하였다.
        145.
        201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ortality was tested to organic control materials to the E. maslovskii adults by the dipping method in laboratory. As the result, in 2014, the extracts of Neem Ⅰ was not shown control effect by 10.2% control efficacy to E. maslovskii adults in laboratory. The extract of Sophora flavescens roots was shown 84.7% mortality. And other 5 materials were shown 100% insecticidal activity to the adults in laboratory. I n 2015, Plant extract+pyrolignous acid Matrine 0.45% and Plant extract Matrine 0.5+paraffin oil 8% were shown 100% and 94.6% control efficacy, respectively. In the Japanese apricot orchards, the fruit damage rate was low on spray at 21th April in Daap, Gwangyang city, and 8th May Hwangjeon, Suncheon city in Jeonnam province in 2014. The fruit damage rate differed from spray timing and materials, but it was considered that the control of E. maslovskii should be in late April to early May. Otherwise, in 2015, the fruit damage was significantly low in late April spray in Daap, but no significant was in between one spray at 21th, 27th April and 2 spray that days. Meanwhile, the control effect was better 2 times spray of the days in Hwangjeon, Suncheon city in Jeonnam province. Therefore, in organic Japanese apricot, the use of insecticidal materials recommended to control over twice spay in from meddle to late April.
        146.
        201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소비자는 보다 참신하고 기발한 아이디어의 광고를 원하고 있다. 최근 주변환경을 활용한 앰비언트 광고가 각광을 받고 있는데 이에 주변환경을 활용한 광고에서 나타나는 착시 효과의 요소들을 추출하여 소비자에게 도움이 되는 광고를 제작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그 결과 겹침의 착시, 반전의 착시, 깊이의 착시, 유사성의 착시로 총 4가지의 요인으로 추출되었다. 첫째 겹침의 착시는 두 가지의 매체가 거리나 시간에 따라 달라 보이는 착시효과며, 다음으로 대비기법으로 하나의 이미지가 두 개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착시효과로 지면광고에서 주로 사용되어 단순 기법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깊이에 의한 착시로 형태가 다른 형태를 차단하는 두 개의 도형사이에는 공간이 생기고 각기 다른 평면인 것처럼 속이는 착시효과를 말하며, 형태, 지각, 행동의 유사성에 의해 하나의 매체가 두 가지의 메세지를 전달하는 착시효과 가장 광고인들이 선호하는 착시 기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 앰비언트 광고 제작시 보다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147.
        2014.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혐기성 소화가스(바이오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황화수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연간 100만톤씩 발생하고 있는 정수슬러지를 사용하여 최적의 흡착제를 제조하고 제조된 흡착제의 흡착성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A시 산업단지에서 발생되는 식음료 슬러지 및 환입제품을 이용한 혐기성 소화공정에서 발생되는 바이오가스 중 황화수소를 제거하기 위해 고정층 연속흡착실험을 90일 동안 수행한 결과, 입상형 일반야자계 활성탄(GAC)의 경우 단위 흡착제 kg당 황화수소 제거량은 164.30g H2S/kg GAC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수슬러지를 활용하여 개발된 흡착제(DES-1000)를 이용한 경우, 단위 흡착제 kg당 황화수소 제거량은 180.18g H2S/kg DES-1000로 나타난 입상활성탄보다 흡착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148.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배 과원 문제해충의 하나인 꼬마배나무이(Cacopsylla pyricola)의 월동성충이 낳은 알에 대해 10, 13, 18, 22, 25℃에서 부화율을 조사하여 온도와 발육률에 대한 선형모형으로 Y=0.00319X + 0.00615((R2=0.809899)(Y=temp., X=dev. rate))로 도출하였고, 알에 대한 발육영점온도는 약 –1.94로 추정되었다. 포장에서 월동성충이 낳은 알이 50%를 초과하여 부화하는 시기와 2월 1일부터 일일 최고기온 6℃ 이상의 온도를 누적한 결과, 2008, 2009, 2011년에 각각 429.7, 417.6, 424.3일도였으며, 이는 만개기를 기준으로 만개 3~7일전이다. 한편 아바멕틴 유제, 석회유황합제, 기계유유제, 및 유기농업자재 13종은 월동성충이 낳은 알에 대한 살란 효과는 없는 것으로 생각되고, 배 생육기인 2012년 5월 21일, 6월 5일 2회 살포시 방제가 90% 이상을 보인 유기농업자재는 D사의 Azadiractin A+B, Nimbin, Salanin, Meliantriol, Vepol 등 혼합물 등 4종이었다.
        149.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배 유기재배 과수원에서 최근 문제되는 병해충 종류와 재배농가의 병해충 관리수준을 설문조사하고 조류, 양서류, 파충류, 설치류 등 척추동물의 생물다양성을 일반 화학농약 방제농가와 비교하고자 2010년에 포장조사를 수행하였다. 유기재배 과수원 총 22개소에서 설문조사와 포장조사를 한 결과, 유기재배 농가는 유기재배 병해충 관리자재로 석회황합제, 식물추출물 및 미생물 혼합물, 오일류 등을 선호하였으며, 주요 문제 병해충은 검은별무늬병, 붉은별무늬병, 깍지벌레류, 배나무면충, 배굴나방 등이었다. 유기자재 살포횟수는 병해 방제를 위해 9~10회, 해충 방제를 위해 5~6회 수준이었다. 유기재배 과수원이 관행재배에 비해 검은별무늬병 이병율과 이병도는 높았으나, 깍지벌레류 피해는 차이가 없었고 과중은 감소하였다. 양서류, 뱀, 설치류, 꿩 등은 관행재배와 유기재배 과수원 간에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으나, 멧비둘기의 경우 유기재배 과수원에서 개체수가 유의하게 많은 섭식활동을 하였다.
        150.
        2013.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총인슬러지(total phosphorus sludge)라 함은 기존 하수처리시설의 최종침전지 후단에 급속응집침전지를 설치하고 alum 이나 PAC를 투입하여 AlPO4, Al(OH)3 및 SS반응물로 침전시켜 총인을 제거할 때 발생되는 슬러지를 말한다. 총인슬러지의 처분시 기존의 소각처분방법은 알루미늄의 신터링(sintering)현상 의해 소각로 파손문제가 발생하고 매립의 경우, 하수를 1만톤 이상 처리하는 시설에서 발생되는 슬러지는 직매립 금지와 매립지 확보의 어려움, 침출수 생성에 대한 2차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퇴비의 경우도 알루미늄 이온에 의한 식물뿌리 고사현상을 일으키므로 부적절한 처분방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간 600천톤 이상 발생되는 총인슬러지를 활용하여 알포계 제올라이트인 bead형과 pellet형의 입상형 흡착제를 개발하여 알카리성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흡착제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수질환경지표의 변화와 정책변화로 인해 년간 60만톤 이상 발생되는 총인슬러지를 활용한 암모니아와 TMA 흡착능 평가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1. 총인슬러지 성분 분석 결과, Al2O3가 약 26%로 나타나 AlPO4계 제올라이트형 다공성 입자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가용성 P2O5의 함량이 9.83%로 나타나 인산비료로서의 활용도도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 총인슬러지를 활용한 흡착제의 분말입자의 크기는 대부분 10 ㎛이하이며, 세공은 0.02 ㎛와 10 ㎛에 대부분 분포하여 첨착활성탄의 입도분포와 매우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C, B-TPS 및 P-TPS의 물리화학적 특성 중 비표면적과 micropore 용적, feedpore용적이 모두 비슷하게 나타나 활성탄 대체제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3. B-TPS, P-TPS의 알카리성 악취(TMA, NH3) 흡착능 평가실험 결과, 파과시간과 단위중량당 흡착량이 A/C보다 3~4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흡착성능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151.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removal feasibility of nitrogeneous malodor compounds using AlPO4 zeolite manufactured by total phosphorus sludge (herein after TPS), which was produced from sewage treatment plant. Adsorbents in this study were activated carbon treated by H3PO4 (herein after AC), bead (herein after B-TPS) and pellet type adsorbents (herein after P-TPS) manufactured from total phosphorus sludge which was generated from sewage treatment plant. The breakthrough time of AC for ammonia gas (herein after NH3) removal was approximately 320 min, while those of BTPS and P-TPS were 1,140 min and 820 min, respectively. For trimethylamine (herein after TMA) removal, the breakthrough time of AC was 400 min, B-TPS and P-TPS were 1,180min and 1,100 min, respectively. From the results, it judged that adsorbents produced by TPS could be used to replace AC.
        152.
        201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ground cover treatments on the nutrient contribution in a ‘"Niitaka’" pear (Pyrus pyriforia) orchard. Treatments included; 1) sod culture, 2) winter cover crop [ryegrass+hairy vetch], and 3) winter [ryegrass+hairy vetch]+summer [greensolgo (sudan grass (Sorghum bicolor L.))+nemajanghwang (crotalaria (Crotalaria juncea L.)] cover crops. Ryegrass and hairyvetch were seeded with 6.4 kg/10a and 3.0 kg/10a, respectively, on October 17 of 2008, and greensolgo and nemajanghwang were seeded with 2.0 kg/10a and 3.0 kg/10a, respectively, on June 4 of 2009 at a diligent farmer in Boseong in Chonnam. Winter+summer cover crops provided greater amounts of dry weight, followed by winter cover crop and sod culture. The difference of amounts of dry weight from the ground covers affected to the levels of total N, P, and K contents, which were greater nutrient levels than those of recommended nutrient requirement for satisfying 10- to 12-year-old pear tree growth. Greater amounts of dry weight from the ground covers increased organic matter and concentrations of K and Mg in soil. Foliar nutrient concentrations, as an indicator of nutrient status of a tree, were not affected by application of ground cover treatments.
        153.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nutrient production of both orchardgrass and several clovers as a green manure in a ‘Niitaka’ pear (Pyrus pyriforia) orchar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at diligent fanner in Boseong in Chonnam on March 26 of 2010, and the treatments included; 1) orchard grass (2.0㎏/l,000㎡), 2) orchard grass (1.0㎏/l,000㎡)+ladino clover (1.0 ㎏/1,000m2), 3) orchard grass (1.0㎏/1,000㎡)+red clover (1.0㎏/1,000㎡), and 4) orchard grass (1.0㎏/1,000㎡)+white clover (1.0㎏/1,000㎡). Lengths of orchardgrass and clovers were greater in July than those of June and September. Seeding of orchardgrass without clovers in June and July increased dry weight of green manure crops compared with the seeding of orchardgrass with clovers, resulting in greater annual total dry weight. Various green manure treatments produced different amounts of total N and P₂O₅ from each raw materials and did not satisfy amounts of those nutrients for proper annual growth of ten- to twelve-year-old pear tree. Amounts of K₂O producing from green manures, however, satisfied for proper growth of the pear trees.
        154.
        201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생육 중인 호밀 리빙멀치 사이 부분경운 기계화 콩 파종기술체계를 가지고 2007년은 호밀의 파종시기를, 2009년은 시험장소를 달리하면서 잡초억제 및 콩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는데, 중요한 사항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4월초~5월초에 파종한 호밀 리빙멀치에 의한 콩 파종 후 40~50일까지의 잡초억제 효과는 70~90%로 현저히 높았는데, 호밀 파종기에 따른 잡초억제의 차이는 없었다. 또 호밀 리빙멀치의 잡초억제 효과는 콩 수확기 까지 지속되었다. 2. 잡초 초종별로는 잡초발생량의 60~80%를 차지하는 피에 대한 리빙멀치의 잡초억제 효과가 뛰어났으며 일찍 발아한 명아주보다 콩 파종 후 발아한 피, 바랭이 및 쇠비름에 대한 억제효과가 높았다. 3. 호밀을 4월 초에 파종한 것이 4월 말~5월 초에 파종한 것보다 콩 파종 시 리빙멀치량이 많았으며, 그에 따라 콩 초기생육이 많이 억제되었고, 수확기 종실수량의 감소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4. 호밀을 4월 말~5월 초에 파종했을 때 콩의 초기생육은 억제되었지만 호밀이 고사한 후에 콩의 생육이 많이 회복되었고, 종실수량은 관행재배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2008년 지역별 시험에서는 콩 종실수량은 호밀 리빙멀치 유무보다 지역의 포장조건에 따른 영향이 컸다. 5. 봄 잡초발생 경향, 리빙멀치량에 따른 잡초억제, 콩 초기생육 및 종실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호밀 리빙멀치 사이 부분경운 기계화 콩 파종체계에서 호밀의 파종시기를 4월말 이전으로 당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았다.
        155.
        201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07년부터 2009년까지 3년간 보리이모작으로 옥수수를 6월 만파 시 사료용 및 종실용으로의 생육 및 수량변화를 2007 및 2009년의 4월 하순 적파 및 2008년 5월 하순 옥수수와 대비하여 살펴보았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4월 하순 적파에 비해 보리 이모작으로 6월 중 하순 만파 시 옥수수의 생육 많이 감소하여 사료 종실의 수량성이 20~30% 감소하였지만, 이모작으로 동계 재배한 보리의 사료 종실의 수량성을 합할 경우 년간 전체 수량성은 30~40% 증가하였다. 2. 6월 만파 시 옥수수 부위별로는 간엽보다 이삭(종실)의 감소가 적었다. 사료 및 종실용으로 수량감소가 가장 적었던 품종은 광평옥이었으며, 6월 만파에서도 850 kg 10a1의 수량성을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이모작 옥수수는 사료용 보다 종실용으로 만파적응 품종 및 재배법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3. 6월 만파 옥수수는 4월 적파 옥수수보다 유효적산온도의 증가와 더불어 출사일수는 40일 가량 단축되었고, 만파에 따라 출사기는 1달 정도 늦어 수확적기는 사료용이 9월 하순, 종실용이 10월 중순으로 4월 적파 옥수수에 비해 수확 시 기후조건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156.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산 밀의 부가가치 향상을 위하여 유기농 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유기농산물 인증을 받기위해 서는 사용되는 밀 종자도 유기농으로 생산된 것(유기종자)을 사용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유기질 비료의 시비가 밀 종자의 주요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으며, 금강밀 등 24개 품종을 대상으로 amylose, 조단백, 무기이온 함량을 분석하였다. 밀의 amylose 함량은 유기질 비료 시비조건에서 12.5%로서 무비(13.1%) 및 화학 비료(13.2%) 조건에서 보다 낮았다. 밀 종자의 조단백질 함량은 무비<화학비료<유기질비료 순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전체 아미노산 함량 차이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무기이온별로 시비조건에 따른 함량차이를 조사한 결과, 4가지 무기이온(Fe, Na, Ca, Mg, P)의 경우 유기질비료<무비<화학비료 순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Na 이온의 경우 유기질비료 시비조건 보다 화학비료 시비조건에서 함량이 2배 이상 증가하 였다. 한편, K 이온의 경우 유기질비료와 화학비료 조건에서는 유사한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무비조건에서 약 6% 증가하였다. 이런 결과들로 볼 때, 유기농 밀 재배시 생산되는 밀의 이용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유기질비료의 종류와 시비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유기농 재배에 적합한 품종육성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