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96

        165.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복숭아순나방(Grapholita molesta)은 핵과류과실에 일차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합적병해충관리 [IPM]의 일환으로 써 전세계적으로 교미교란제가 농가에 적용되고 있다. 왁스, 폴리에틸렌 튜브, 에어로졸 형태의 다양한 교미교란제가 상업화되었다. 이 연구에서 는 복숭아순나방 성페로몬 방출기로써 에스테르왁스와 폴리프로필렌(PP)필름백을 구성하는 방출기를 기존의 파라핀 왁스와 폴리에틸렌(PE) 재 질의 필름과 비교하여 페로몬의 방출거동을 분석했다. PE재질의 필름백은 성페로몬의 방출이 불규칙한 반면, PP필름백에서 성페로몬은 시간에 따라 일정하게 방출하는 패턴을 얻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Japan 왁스_PP 필름 방출기(Japan_PP)를 제작하였고, 약 5개월 동안 복숭아과 수원에 적용한 결과 98% 이상의 교미교란 효과가 검증되었다.
        4,000원
        167.
        2015.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아민화한 Polyetherimide (PEI)와 설폰화한 Poly eyhet ether ketone (PEEK) 고분자를 더블캐스팅 방법으로 바이폴라막을 제조하였다. 막의 내구성 향상을 위해 막 표면을 2시간동안 불소화하였다. 각각의 이온교환막은 특성평가를 진행하여 불소화 전후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PEI의 불소화에 따른 바이폴라막의 차아염소산 발생량과 운전 시간을 불소화하기 전의 막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불소화의 여부가 막의 내구성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표적으로 아민화 비율이 3:1인 경우, 불소화 전의 차아염소산 발생농도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실험 시간의 경우 각각 153min, 442min으로 약 290min의 차이를 보였다.
        168.
        2015.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다공성 지지체인 Polyvinylidene flouride(PVDF) 중공사막에 가압법을 이용하여 수용성 고분자인 Poly(styrene sulfonic acid) (PSSA)와 Polyethyleneimine (PEI)으로 강제 파울링 유도시켜 나노여과막을 제조하였다. 가압법과 담금법의 차이 및 코팅용액의 농도, 코팅시간, 가교제의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NaCl 100 ppm 에서 투과도와 제거율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PSSA 2%에 이온세기 0.3으로 2분 코팅한 다음 PEI 3wt%에 이온세기 0.1으로 1분 코팅한 경우가 투과도 118 LMH, 제거율 79.1%로 가장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169.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립수목원 산림생물표본관은 2003년 개관하여 한반도 산림생물표본 표본 인프라 사업 등의 추진을 통해 한반도 및 동아시아 지역 곤충표본 약 40만점 이상을 소장하고 있다. 금번 연구에서는 국립수목원 산림생물표본관 표본 중 좌표정보가 확실한 데이터를 선발하여 Diva-GIS분석을 통해 분포도 작성 및 현황 분석을 실시하였다. 세부적인 분석을 위해 나비목, 딱정벌레목, 벌목, 파리목, 노린재목, 기타 목으로 분류하여 분포도를 작성하였고, 이중 나비목, 딱정벌레목, 벌목은 과 수준으로 구분하여 분포도 작성 및 현황 분석을 실시하였다. 금번 연구결과를 통해 산림곤충표본 수집 미비 지역 및 연구수행이 필요한 분류군 등의 선정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보다 발전적이고 체계적인 표본 수집 및 관리 방안 마련과 향후 분류 연구방향 설정에 대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것으로 기대된다.
        170.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모빌믹서트럭 대신 레미콘과 펌프카를 이용하여 현장에 시공할 수 있는 시공방 법 및 시공 장비 최소화에 대한 대책을 연구한다. 또한 기포에 포함된 수량을 미리 판단하여 물-바인더비 의 변화를 예측 ․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기포의 볼베어링 효과로 인해 실리카 퓸을 콘크리트에 분산시킬 수 있어 교면포장에 사용되는 라텍스의 혼입량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재료비를 낮출 수 있다. 장비의 사 용 또한 최소한으로 하여 전체적인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대안으로 떠오를 수 있으며 시공이 간편하여 균일한 콘크리트를 생산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실리카 퓸과 라텍스의 동시 혼입으 로 인하여 콘크리트의 정적강도 증진 및 기포 혼입으로 인한 내구성 향상으로 콘크리트의 고성능화가 가 능하다. 공기량 및 슬럼프 시험 결과 기포를 혼입하였을 때의 공기량, 최종 스프레이 이후의 공기량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그림 1과 그림 2에서 스프레이를 통하여 과다한 공기량이 일정 수준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171.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Yeats considered Spinoza a mystic and had appreciation of Spinoza’s thought that God does not belong to a specific religion but is a nature and a boundless Absolute and he thought that freedom is not only compatible with but requires determinism, which means that reason leads man to an adequate understanding of causes of the world through three phases of knowledge. “Scholars” and “the obedient” in Yeats’s works are explained by the first knowledge through imagination with which we can never access the essence of the world and our knowledge of them is always inadequate. “The hawk” who “learns to be proud” presents the second knowledge through reason, where we know things truly according to their essences. The third is knowledge through intuition, where we can deduce true knowledge of things from true knowledge of the essence of God. Since only God acts consistently according to his nature, God is absolutely free. A thing is, therefore, free if and only if it acts according to its own nature from God. In this idea, freedom is to consider it a form of predestination. In Yeats’s poem, “Cuchulain,” is a free man who determines himself and accepts his destiny at the same time. A Vision also implies this concept of freedom in it.
        6,900원
        172.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erform a functional component analysis to optimize the recipes for Korean beef main bone area. To optimize the recipes for beef leg bone broth, beef feet broth and tail broth, the quality and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the dishes were comparatived and investigated. Crude protein, crude fat and moistu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beef leg bone broth, Beef feet broth and tail broth (p<0.001). All free amino acid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the exception of cystine and tryptophan (p<0.05). All mineral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p<0.01). Na content was highest in the beef leg bone broth (211.77 mg/kg), followed by beef feet broth (254.40 mg/kg), and tail broth (134.93 mg/kg). Collage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each dish (p<0.001), but chondroitin sulfate was not. And all nucleic acid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4,000원
        173.
        2015.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roviding dogs with a natural diet consisting of raw, natural food is recommended for optimum health and longevity. We are aimed to provide the available knowledges about the recommended natural food and home made recipes of natural diets through literature review. As the results, we reviewed the efficacy, nutrients composition, daily feeding dose, recommended natural foods, home made recipes of natural diets etc. All-natural diets are also called raw diets or barf diets (BF). The common theme of these diets is that they feed raw human grade ingredients. While the actual contents will vary in some cases, depending on the health needs of a particular dog, the quality of the food products does not change. Everything is raw and human grade ingredient. Conclusionally, natural provides nutritionally sound and species appropriate diets to be fed to dogs at any stages of life varied through the correct corresponding portions from puppies to seniors, during pregnancy and lactation. It is also suitable for any breed from toy to giant. There is strong research based evidence highlighting the benefits of natural diets diet free of contaminants seen in many foods today for companion dogs.
        4,000원
        174.
        2015.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nvironmental enrichment is the process of providing stimulating environments for zoo animals in order for them to demonstrate their species-typical behavior, to allow them exercise control or choice over their environment, and to enhance their well-being. We are aimed to provide the available knowledges about the animal enrichment programs for zoo animals through literature review. As the results, we reviewed the design of stimulating and naturalistic enclosures, the housing etc. Enrichment includes the design of stimulating and naturalistic enclosures, the housing of appropriate social groups in zoo, and the introduction of objects, sounds, smells or other stimuli in the animal’s environment. Conclusionally, environmental enrichment is just as critical to Zoo animal welfare as nutrition and veterinary medicine. At the zoos, enrichment will be an integral part of the daily care of the species in the collection.
        4,000원
        175.
        2015.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e are so many animals, mostly dogs, that have been abandoned by their families to roam around the streets of Korean cities and towns. These animals often die in a miserable way such as being run over or being killed and eaten. It is a terrible site to see these dogs, lost and confused in a world without kindness. One solution to the problem is adoption, as it can save life and by example become a driving force to fundamental change in the thinking of other and in society. We are aimed to conduct the survey research to evaluate the university students's awareness of the adoption of the abandoned animals. We deals with the findings obtained from extensive interviews with a representative samples. The objectives of interviews included 789 students in Wonkwang, Keimyung and Chosun University. Questions focused on how students were recognized the need and policies of the adoption of the abandoned animals. Questionnaire and technical data are analysed and summarized. As the results of the survey research, the objectives of interviews had well understood about the policies of adoption of the abandoned animals. Conclusionally, the promotions of adoption of the abandoned animals were need. The effective promotions of the adoption of the abandoned animals will be desirable for the establishment of abandoned animal welfare.
        4,200원
        176.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우리나라 남부지방의 장안산 일대를 중심으로 산림생태계내에서 기후변화에 따른 곤충종의 분포상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장안산의 300, 600 및 900m고도에서 조사지점을 선정하고 버킷식유아등트랩과 핏폴트랩을 이용하여 정량채집을 실시하였다. 또한 고도별 기후변화의 정확한 측정을 위해 각 지점별로 데이터로거(HOBO Pro V2)를 설치하여 온도와 상대습도의 변화량을 조사하였다. 조사기간은 곤충류가 출현하기 시작하는 2014년 5월부터 9월까지 2개월 간격으로 총 3회의 채집조사를 수행하였다. 채집조사결과, 버킷식유아등으로 5월부터 9월까지 조사된 곤충류는 대부분 야행성인 나방류였다. 금번에 분포가 확인된 나방류 곤충들은 총 22과 302종에 이르는 비교적 다양한 분류군이 채집조사되어 이들의 분석을 통해 군집구조 등 기본적인 정보를 분석하는데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핏폴트랩을 이용한 보행성 딱정벌레류의 조사결과는 총 19종 371개체로 대부분 딱정벌레목의 딱정벌레과(Carabidae)에 속하는 종들이었으며 전체조사기간 중 최우점종은 윤납작먼지벌레였다. 또한 고도별 개미류 조사 결과 총 9종 17,814개체가 확인되었으며, 이중 가장 많이 출현한 종은 극동혹개미로 나타났다. 금번에 조사된 곤충류 중 국립수목원(2011)에서 지정한 기후변화취약곤충류는 나방류와 개미류에서 12종의 북방계 곤충과 7종의 남방계열의 곤충종이 확인되었다. 금번 연구를 통해 확보된 결과는 향후 당해지역의 기후변화에 따른 곤충상의 변화양상을 파악 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177.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금번 조사는 경상북도에 위치한 팔공산 일대의 야행성 곤충류 분포상과 출현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조사를 위해 경상북도 팔공산 일대에서 2013년 11월부터 2015년 1월까지 칠곡군 가산면, 대구광역시 동구 도학동, 군위군 부계면, 영천시 신녕면, 칠곡군 동명면 등 총 8회 10개소에서 나방조사를 위해 유아등, 버킷트랩을 이용하여 채집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를 통해 확인된 팔공산 지역 야간곤충류는 총 16과 367종 3,260개체로 나타났으며, 이중 팔공산에서 채집된 야간곤충 중 환경부지정 국외반출승인대상종은 19종이며 한국고유종은 2종 확인되었다. 금번 조사를 통해 채집된 야간곤충류를 월별로 살펴보면 3월에 37종 323개체가, 4월에는 31종 187개체가 확인되었고 5월에는 104종 530개체가 조사되었다. 6월의 경우 156종 1,009개체가 확인되었고 7월은 132종 601개체가 조사되었다. 8월 조사에서는 76종 469개체가 확인되었고 9월은 14종 115개체, 10월은 7종 26개체가 확인되었다. 금번 조사에서는 총 367종의 야간곤충류가 조사되었으며 이 중 밤나방과가 135종으로 확인되어 가장 종 다양성이 높은 분류군으로 파악되었고 자나방과 104종, 명나방과 42종 등의 순으로 조사되어 과거조사 결과에 유사한 분류군 구성을 보였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조사된 354종 이외에 235종의 야간곤충이 추가로 확인되어 팔공산 지역의 곤충자원 관리 및 곤충상의 변화를 비교 연구하는데 있어 중요한 자료로 제공될 것으로 기대된다.
        178.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금강수목원 및 금강자연휴양림 주변의 곤충상을 조사하고 이들에 대한 증거표본을 확보하여 향후 이 지역에서의 곤충상변화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함과 동시에 산림박물관에 전시물로 활용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금강수목원 지역은 공주 및 세종시 일원의 생물다양성 연구 및 보전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지역이며 향후 기후변화와 관련한 취약종의 조사 및 분포역의 변화 등의 관련연구를 위해 기초자료가 확보가 요구되는 지역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봄부터 가을에 이르는 4∼9월간 조사를 실시하였고 이에 따른 곤충표본을 수집하여 표본을 제작하고 분류·동정하였다. 금번 조사 결과 총 264종 1,100개체의 곤충류가 조사되었다. 또한 조사된 곤충류를 분류군별로 정리하여 자료로 작성하였으며, 시기별 출현양상에 대한 분석도 실시하였다. 이들 조사결과는 향후 당해지역의 곤충변화상 연구를 위한 비교자료 뿐만 아니라 산림박물관 내에 전시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179.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무역자유화에 따른 농산물의 국제교역량 증대에 따라 외래해충의 유입 및 확산의 위험성이 증대하고 있으며 최근 농산물의 수출과정에서 발견되는 해충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동정법에 대한 특정 분류군별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반면 해외에서 유입되는 해충에 대한 정보는 매우 제한적인 상황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지정되어 있는 검역해충은 총 1,375종으로 알려져 있고 이 중 나비목의 경우 나비류 3종을 포함하여 229종이 규제병해충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이들의 생태특성상 국내로 유입될 경우 대발생하여 해충이 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4년 3월부터 11월까지 검역해충 목록을 토대로 식물검역관리병해충종, 국외유사종 및 국내유사종을 중심으로 총 53종의 나방류를 DNA barcode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들 연구결과는 검역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정리될 예정이다.
        180.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태백산지역 당골계곡의 산림군집구조 파악을 위해 19개의 방 형구(10m × 10m)를 설치하여 산림식생생육현황을 조사하였다. 태백산 당골계곡 19개의 조사구들은 다양한 지형적 특성 및 방위, 경사도와 해발고에 의하여, 토심 및 토양산도 등을 비롯한 입지인자의 차이로 인한 수종분포의 차이와 각 조사 구들을 Cluster로 분석한 결과에 따라 5개의 군집으로 분류 되었다. 평균상대우점치(M.I.V.)의 경우 군집 A는 산개벚 지나무 16.2%로 가장 높게 나왔고, 다음으로 군집 B에 소나 무가 평균상대우점치 12.5%로 가장 높게 나왔으며 군집 C 는 거제수나무가 평균상대우점치 18.6%로 가장 높았고, 군 집 D 또한 거제수나무 평균상대우점치 17.4%로 가장 높았 으며, 군집 E는 낙엽송이 우점종으로 평균상대우점치 31.5% 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중요치(Importance value)는 군집 A의 경우 상층에서는 산 개벚지나무의 I.V.가 18.7%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산겨릅나 무가 나타났다. 중층에서는 시닥나무의 I.V.가 33.3%로 제일 높았으며, 다음으로 산개벚지나무, 분비나무, 함박꽃나 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군집 B의 경우 상층에서는 소나무의 I.V.가 20.9%로 가 장 높았고, 다음으로 분비나무, 들메나무 등의 순이었고, 중 층에서는 당단풍나무의 I.V.가 20.8%로 가장 높았고, 다음 으로 귀룽나무, 분비나무, 회나무 등의 순으로 높았다. 군집 C는 상층에서는 거제수나무의 I.V.가 23.4%로 가장 높았 고, 다음으로 들메나무, 당마가목 등의 순이었고, 중층에서 도 거제수나무의 I.V.가 11.5%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함 박꽃나무, 복장나무, 까치박달나무 순으로 나왔다. 군집 D는 상층에서 거제수나무의 I.V.가 26.2%가장 높 았고, 다음으로 산겨릅나무, 복장나무 순으로 나왔고, 중층 에서 당단풍나무의 I.V.가 13.5%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복장나무, 들메나무, 함박꽃나무 순으로 나왔다. 군집 E는 상층에서는 낙엽송의 I.V.가 52.4%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 으로 거제수나무, 신갈나무, 당마가목 순으로 나왔고, 중층 에서는 당단풍나무의 I.V.가 24.9%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 으로 당마가목, 물개암나무, 신갈나무 순으로 나왔다. 군집별로 조사된 목본식물의 종다양성을 보면 군집별 방 형구수는 군집 A와 군집 B는 4개, 군집 C는 3개, 군집 D와 군집 E는 4개로 군집 간 방형구수의 차가 심하지 않게 나타 났다. 출현종수는 군집 B가 28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 로 군집 D와 E가 22종으로 나타났다. 종간의 상관관계는 거제수나무와 부게꽃나무, 산겨릅나 무, 고로쇠나무와 까치박달나무, 당단풍나무와 신갈나무, 함박꽃나무 등의 수종 간에 서로 유의한 관계를 보였으며, 까치박달나무와 잣나무, 복장나무와 회나무, 신갈나무와 철 쭉이 수종 간에 매우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 종 다양도 (H')는 군집 A, B, C, D, E에서 각각 1.0172, 1.3011, 1.1483, 1.1882, 1.0459로 나타났다. 종 다양성을 최대종다양성으로 나눈 균재도(J')에서는 군집 B가 0.8991 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군집 C, 군집 D 순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