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적:본 논문은 비흡연자와 한국형 알코올 선별 검사법(AUDIT-K)설문지 척도점수에 따라 적정 음주군(10점 이하)을 분류하여 뇌 확산텐서영상을 획득한 후 Tract-Based Spatial statistics 방법으로 정상인의 뇌 영역별 비등방도 FA 측정값 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연구대상은 2017년 6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연구목적과 검사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 동의를 한 30세 이상 50세 이하의 남성을 대상으로 모집하였고 경남 양산시 소재의 P대학병원의 자기공명영상장치(MAGNETOM Skyra 3.0T)를 사용하여 검사를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의 수는 설문조사한 총 170명 중 비흡연자와 한국형 알코올 사용 장애 검사 법(AUDIT-K)의 점수 척도가 10이하인 정상 음주군 5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뇌 확산텐서영상을 획득한 후 Tract-Based Spatial Statics 방법으로 뇌 백질(White matter)영역부위 신경섬유로, 뇌 회백질(Gray matter) 엽(Lobe)영역별 부위, 뇌 회백질(Gray matter) 이랑(Gyrus)영역별 부위, 뇌 회백질(Gray matter) 기저핵(Basal ganglia)영역별 부위, 뇌 회백 질(Gray matter) 해마(Hippocampus)영역별 부위의 FA(fractional anisotropy)값을 SPSS 21.0 Version 통계프로그램 을 사용하여 그에 상응하는 기술통계 분석하였다.
결 과:뇌 백질(white matter) 영역별부위의 비등방도 FA값은 뇌 들보의 뒤쪽(Posterior)이 0.7527 ±0.02481으로 가장 높았고, 왼쪽 맥락총(Choroid plexus)은 0.2302±0.04323으로 가장 낮았으며, 뇌 회백질(Gray matter) 부위 중에서 엽 (Lobe)영역별 비등방도 FA값은 후두엽(Occipital lobe superior division)이 0.2004±0.00669로 가장 높았으며 위쪽 전두엽(Superior frontal lobe)이 0.1759±0.00704로 가장 낮았고, 이랑(Gyrus)영역별 비등방도 FA값은 앞쪽 대상 회 (Cingulate gyrus anterior division)가 0.2403±0.00703으로 가장 높았고, 뒤쪽 대상 회(Cingulate gyrus posterior division)는 0.2223±0.00617으로 가장 낮았으며, 기저핵(Basal ganglia)별 비등방도 FA값은 왼쪽 담창구(Lt. globus pallidus)가 0.3994±0.01041로 가장 높았고 오른쪽 미상핵(Rt. caudate nucleus)이 0.2116±0.01442로 가장 낮았으 며, 해마(Hippocampus)영역별 비등방도 FA값은 앞쪽 해마 곁이랑(Para hippocampal gyrus anterior division)가 0.1827±0.01036으로 가장 높았고 왼쪽 해마(Lt. hippocampus)가 0.1675±0.01136으로 가장 낮았다.
결 론:뇌 백질부위의 뇌 들보 부위의 비등방도가 가장 높았으며 뇌 회백질 영역의 왼쪽 담창구(Lt globus pallidus)도 비등방도가 높았다. 통상적으로 뇌 백질 영역이 회백질 보다 비등방도가 높다고 알려져 있지만 모든 백질영역이 회백질보다 비등방도는 높지 않았다. 30세 이상 50세 이하의 정상인 남성을 대상으로 뇌 백질과 회백질 영역의 해부학적 확산텐서영상의 비등방도의 계측치를 Tract-Based Spatial statistics(TBSS)방법으로 제시할 수 있었다.
목 적:본 논문은 비흡연자와 한국형 알코올 선별 검사법(AUDIT-K)설문지 척도점수에 따라 적정음주군(10점 이하)을 분류하여 뇌 확산텐서영상을 획득한 후 Tract-Based Spatial statistics 방법으로 정상인의 뇌 영역별 비등방도 FA 측정값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연구대상은 2017년 6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연구목적과 검사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 동의를 한 30세 이상 50세 이하의 남성을 대상으로 모집하였고 경남 양산시 소재의 P대학병원의 자기공명영상 장치 (MAGNETOM Skyra 3.0T)를 사용하여 검사를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의 수는 설문조사한 총 170 명 중 비흡연자와 한국형 알코올 사용 장애 검사법(AUDIT-K)의 점수 척도가 10이하인 정상 음주군 59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뇌 확산텐서영상을 획득한 후 Tract-Based Spatial S tatics 방법으로 뇌 백질 (White matter)영역부위 신경섬유로, 뇌 회백질(Gray matter) 엽(Lobe)영역별 부위, 뇌 회백질(Gray matter) 이랑(Gyrus)영역별 부위, 뇌 회백질(Gray matter) 기저핵(Bas al ganglia)영역별 부위, 뇌 회 백질(Gray matter) 해마(Hippocampus)영역별 부위의 FA(fractional anisotropy)값을 SPSS 21.0 Version을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그에 상응하는 기술통계 분석하였다.
결 과:뇌 백질(white matter) 영역별부위의 비등방도 FA값은 뇌 들보의 뒤쪽(Posterior)이 0.752 7± 0.02481으로 가장 높았고, 왼쪽 맥락총(Choroid plexus)은 0.2302±0.04323으로 가장 낮았으며, 뇌 회백질(Gray matter) 부위 중에서 엽(Lobe)영역별 비등방도 FA값은 후두엽(Occipital lobe superior division)이 0.2004±0.00669로 가장 높았으며 위쪽 전두엽(Superior frontal lobe)이 0.175 9± 0.00704로 가장 낮았고, 이랑(Gyrus)영역별 비등방도 FA값은 앞쪽 대상 회(Cingulate gyrus anterior division)가 0.2403±0.00703으로 가장 높았고, 뒤쪽 대상 회(Cingulate gyrus posterior division)는 0.2223±0.00617으로 가장 낮았으며, 기저핵(Basal ganglia)별 비등방도 FA값은 왼쪽 담창구(Lt. globus pallidus)가 0.3994±0.01041로 가장 높았고 오른쪽 미상핵(Rt. caudate nucle us)이 0.2116 ±0.01442로 가장 낮았으며, 해마(Hippocampus)영역별 비등방도 FA값은 앞쪽 해마 곁이랑(Para hippocampal gyrus anterior division)가 0.1827±0.01036으로 가장 높았고 왼쪽 해마(Lt. hippocampus)가 0.1675±0.01136으로 가장 낮았다.
결 론:뇌 백질부위의 뇌 들보 부위의 비등방도가 가장 높았으며 뇌 회백질 영역의 왼쪽 담창구(Lt globus pallidus)도 비등방도가 높았다. 통상적으로 뇌 백질 영역이 회백질 보다 비등방도가 높다고 알려져 있지 만 모든 백질영역이 회백질보다 비등방도는 높지 않았다. 30세 이상 50세 이하의 정상인 남성을 대상으 로 뇌 백질과 회백질 영역의 해부학적 확산텐서영상의 비등방도의 계측치를 Tract-Based Spatial statistics(TBSS)방법으로 제시할 수 있었다.
국내 도로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 요인별 사고 심각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순서형 로짓모델 적용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교통사고 발생 시, 수집되는 자료는 교통사고 발생시간, 발생장소, 도로환경, 사고이유, 사고심각도, 날씨, 사고종별, 운전자 특성 등이 기록된다. 이러한 사고자료를 이용하여 교통사고의 심각도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다. 교통사고 심각도는 크게 사망, 중상, 경상, 부상없음 4가지 심각도로 구분이 가능한데, 이를 순서형 변수로 정의하여 로짓모델을 적용하여 심각도에 미치는 요인별 영향정도를 분석할 수 있다.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은 종속변수가 순서형으로 구성되어 있을 때, 로짓모델을 이용하여 종속변수가 일어날 확률을 구할 수 있다. 이러한 분석방법을 이용해 독립변수가 종송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할 수 있는데, 로짓 선형함수의 계수로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판단한다. 도시부와 지방부는 도로환경적인 측면에서 큰 차이가 있어, 지역별 교통사고 심각도에 미치는 영향도 다르게 나타난다. 도시부와 지방부의 사고 심각도 모형을 각각 설정하여 순서형 로짓모형을 이용해 요인별 영향 차이를 분석하여 사고의 특성을 비교할 수 있다.
1993년 한강로·왕산로·동작대로·강남대로에 가로변버스전용차로를 설치하면서부터 시작된 버스전용차로는 1996년 천호대로에 중앙버스전용차로 설치, 2004년 서울시 대중교통 시스템 개편 등을 통해 점점 확대 도입되어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대중교통의 혁신에 큰 이바지를 했다. 그러나 버스전용차로는 버스 같은 중차량만 통행하므로 일반 차로에 비해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하는데, 이는 안정적인 버스 운행에 지장을 주며 버스 특성상 대량의 인원을 수송하므로 사고가 발생하면 대형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도시관리사업소에서 지속적으로 보수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대책은 전뭄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중교통의 안전을 도모하고자 버스전용차로 실시간 모니터링 지점 선정을 위한 방안을 연구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도로 파손에 영향을 미치는 버스전용차로의 특수 요인별(버스 통행량, 경유하는 버스 노선 수, 정류장 승하차 인원 수 등) 영향력을 분석하고, 버스전용차로 구간 중 어느 지점에 어떤 방법으로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할 것인지에 대해 제시할 것이다. 도로 파손 여부는 영상 검지기와 같은 기존의 장비로는 확연한 구분이 어려우므로 도로 표면에 설치하거나 주변 도로 시설물을 활용하는 방법을 고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Odds Ratio를 활용하여 야간 교통사고 위험성을 진단한 선행연구의 진단방법을 개선하였다. Östen Johansson 외(2009)는 Odds Ratio에서 착안한 야간 교통사고 위험성 진단방법을 제시하였는데, 이 방법의 가장 큰 장점은 교통량 데이터가 필요하지 않는 것이었다. Östen Johansson 외(2009)가 정의한 야간 교통사고 위험성은 {(Case Hour가 밤일 때 교통사고 발생건수)/(Case Hour가 낮일 때 교통사고 발생건수)}/{Case Hour가 밤인 날 Comparison Hour의 교통사고 발생건수}/(Case Hour가 낮인 날 Comparison Hour의 교통사고 발생건수)}이다. 이 때, Case Hour는 계절에 따라 낮인 날도 있고, 밤인 날도 있는 시간대이고, Comparison Hour은 연중 항상 밝은 시간대이다. Östen Johansson 외(2009)의 연구 결과, 야간에는 교통사고 위험성이 더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지역별로는 도시지역에서는 약 30% 교통사고 위험성이 증가했고, 지방지역에서는 약 50% 교통사고 위험성이 증가했다. 그러나 Östen Johansson 외(2009)의 야간 교통사고 위험성 진단방법은 교통량에 대한 고려가 없기 때문에, 연간 교통량이 일정해야만 사용할 수 있는 기법이다. 즉, 계절에 따라 교통량이 변화하는 경우에는 적용할 수 없는 방식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Odds Ratio의 정의를 되짚고, 교통량을 고려하였을 때의 Odds Ratio를 활용한 야간 교통사고 위험성 진단방법을 제시하였다.
고속도로 공사구간은 차로의 축소로 인한 병목구간이 존재하며, 공사작업의 영향으로 도로의 처리용량을 감소시켜 교통 혼잡을 야기한다. 공사구간으로 인해 발생하는 혼잡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공사구간의 교통관리가 매우 중요하며, 교통관리를 위한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공사구간에서의 혼잡상태를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 공사구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조건의 혼잡상태를 구분하고 충격파이론을 통해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공사구간은 편도 2차로 중에서 1개 차로를 차단한 형태로 구성하였고, 그림 1과 같이 공사구간을 4가지 구역으로 분류하여, 이 중에서 충격파가 발생할 수 있는 구간인 Transition area와 Work space의 용량에 따라 충격파를 분석하였다. 용량과 수요의 관계에 따라 다양한 조건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가장 주요한 조건 2가지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첫 번째는 수요가 (Transition area의 용량)보다는 작고 (Work space의 용량)보다는 큰 조건으로 Work space에서만 충격파가 발생하는 조건이고, 두 번째는 수요가 , 보다 큰 조건으로 두 구간에서 모두 병목현상이 발생하여 대기행렬이 쌓이게 되는 조건이다. 충격파이론을 직접 적용하기 위해 Bongsoo Son, A Study of G.F. Newell's "simplified theory of kinematic waves in highway traffic"(1996)에서 예제로 활용한 교통류-밀도 관계곡선을 활용하였으며, 두 조건에 대하여 충격파이론을 적용하였을 때의 충격파는 그림2와 그림3과 같다.
목 적 : 자기공명영상은 물과 지방 사이에 화학적 이동 현상을 가지고 있고 지방에 의해 구조적 현상이 나타난다. 또한 지방은 기본적으로 강한 신호를 나타내어 잘못된 인공물을 형성함으로써 병변 주변부의 진단을 어렵게 한다. 이런 이유로 효과적인 지방소거기법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본 논문은 평소 균일한 지방제거 영상을 얻기 어려운 경추 근골격에 대해 기존의 지방소거 기법과 Dixon 기법을 정량적 평가하여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았다.
대상 및 방법 : 2013년 10월 01일부터 2013년 12월 31일까지 본원에 방문한 경추 근골격에 대한 병변이 없는 환자 20명(평균나이: 62.2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장비는 3.0T Skyra(SIEMENS, Germany)와 20 channel Head & Neck coil을 이용하였으며, 사용한 sequence는 TSE(turbo spin echo)이며, sacn parameters FOV:250×250 mm/ TR:2500 ms/ TE:96 ms/ Image Matrix:269×384/ thickness:3 ㎜/ Gap:0.3 ㎜/ Slice No.11/ Scan time: 2:30 sec로 동일하게 하였고 지방 소거 기법만을 FS(Spectral fat saturation), SPAIR(Spectrally Adiabatic Inversion Recovery), Dixon(Water only excitation)으로 변화하여 경추부위 근골격이 포함된 영상을 획득하였다. 획득한 영상을 이용하여 근골격계 중 가장 높은 신호를 나타내는 부위와 가장 낮은 신호 부위에 관심 영역 ROI를 측정하여 [1- (Imax-Imin)/(Imax+Imin)]x100 식을 통해서 지방제거영상의 균일성을 백분율로 계산하여 정량적 방법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SPSS 21.0의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ment ANOVA)으로 통계학적 처리를 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05로 설정하였다.
결 과 : 정량적 분석결과 FS 11.83±3.27%, SPAIR 10.11±4.03%, DIXON 93.27±8.83%으로 Dixon기법 지방소거 영상의 균일성이 다른 기법에 비해 아주 높게 나왔다. 각각의 기법으로 구한 값을 RM ANOVA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구형성 가정의 유의확률이 0.00으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사후검정을 실시하였을 때, 기존의 지방소거 기법인 FS 기법과 SPAIR 기법 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p>0.05), FS 기법과 DIXON 기법 간 및 SPAIR 기법과 DIXON 기법 간에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1).
결 론 : 본 실험을 통하여 세 기법을 적용했을 때 경추 근골격의 지방소거 균일성 정도의 차이를 정량적으로 알 수가 있었다. FS, SPAIR 기법은 인체 굴곡부위에 검사를 할 경우에 중심 주파수 값이 굴곡 부위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굴곡 정도가 심하지 않은 마른 체형의 환자를 검사 할 경우에는 비교적 나은 균일성을 보였지만, 일반적으로 보통 이상의 체형에서는 균일성이 많이 떨어졌다. 반면 Dixon기법은 물성분과 지방성분의 위상이 동일한 동위상(in-phase)영상과, 180° 다른 반대위상(opposed-phase) 영상을 얻어, 위상보정(phase correction) 과정 및 두 가지 영상을 이용한 calculation을 통하여 지방소거 영상을 생성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3.0T MRI에서의 흔히 발생되는 B0와 B1에 의한 불균일성에 영향을 받지 않고 기존의 지방 소거 기법들 보다 월등히 균일한 지방 소거 영상을 제공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 본 논문에서 연구한 Dixon 기법은 경추 근골격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부위와 병변에 적용되어 진다면 임상적으로 더욱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A fiber-optic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system, which transmits the 1.4 GHz reference signal from H-maser to receiver cabin in radio telescopes, was adopted for compensating the phase changes due to temperature variation and antenna movement. At the first experiment, the remote signal’s phase changed more than 15 degrees at 1.4 GHz. We found unstable components in sub-system experiments and replaced them. The main cause of unstable phase stability was the unaligned polarization axis between Laser Diode and Mach-Zehnder Modulator (MZM). The improved system stability showed 1 × 10-16 allan standard deviation at 1,000 sec integration time with the antenna fixed. When the antenna moves in the azimuth axis, the 1.4 GHz remote signal showed the phase change smaller than 0.2 degrees.
This study was decontaminant to use hydrogen peroxide(H2O2), surfactant and microbial and to use field contaminated soil experiment was to evaluate the adequacy and processing possibilities. A chemical oxidation was applied to using 5% concentration hydrogen peroxide more than 75% removal efficiency for TPH. Surfactant result of using SOR-100 1% 5,066 mg/kg to 796 mg/kg as the highest efficiency. Microbial injected 106 CFU/g soil in the soil by 45 days result of low-contaminated soil 1,325 mg/kg, removal rate was 57.7%.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고속도로 합류부의 특성 및 실제 교통상황을 고려하여 각 차로별, 구간별로 영향권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향후에는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차로제어시스템(Lane Control System, LCS) 등 운전자 정보제공서비스 및 첨단기술에 적용하여 효율적인 도로이용을 통한 원활한 운행상태유지가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속도의 표준편차를 기준으로 고속도로 합류부의 난류현상을 분석한 기존연구를 기반으로, 난류현상 발생정도를 기준으로 한 세분화된 합류부 영향권을 도출하였다. 난류현상을 기준으로 도출한 합류부 영향권은 합류지점을 중심으로 합류지점과 유사한 교통류 특성을 보이는 구간을 합류의 직접영향권으로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결과는 상류부 300m에서 500m구간의 1, 2, 3차로, 합류지점에서 300m지점까지의 전차로 및 하류부 100m지점까지의 전차로, 하류부 100m에서 300m구간의 2, 3차로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