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경상남도 학교숲 53개교를 대상으로 학교 수목 현황을 파악하고, 유형별로 분류하여 비교 및 분석하였다. 수목 조사는 목본식물을 대상으로 전수 조사하였으며, 학교 면적, 녹지 면적, 학생 수, 교목·교화 등 일반적인 현황을 함께 파악하였 다. 학교 종류별로 구분하였을 때, 중학교가 평균 종 수를 제외하고 초등학교, 고등학교보다 평균 녹지율, 평균 수목 개체수, 학생 1인당 평균 녹지 면적, 학생 1인당 평균 교목 개체수가 더 많았다. 소재지별로는 도시학교가 평균 종 수를 제외하고, 평균 녹지율, 평균 수목 개체수, 학생 1인당 평균 녹지 면적, 학생 1인당 평균 교목 개체수가 비도시학교보다 낮았다. 설립 유형별로는 사립학교가 공립학교에 비해 모든 녹지 관련 지표에서 높게 나타났다. 성상별 비교 결과, 낙엽활엽교목이 다른 성상에 비해 가장 많은 종 수를 보였으며, 향나무 '가이즈카', 동백나무, 영산홍, 은행나무, 배롱나무, 무궁화, 등이 성상별로 가장 많이 조사되었다. 53개교 전체에 대한 종다양도 평균은 2.33으로 나타났으며, 고등학교, 도시학교, 사립학교가 타 유형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경상남도 학교숲 조성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을 기대한다.
본 연구는 경남지역 휴게음식점에서 판매되는 디저트류 를 대상으로 타르색소의 함량을 조사하고 위해성을 평가 하고자 수행되었다. 분석 대상은 2024년 3월부터 10월까 지 수거한 마카롱, 머랭쿠키, 케이크, 음료, 캔디 등 총 100 건의 시료였으며, 국내 허용 타르색소 9종을 UPLC-PDA 로 정량 분석하였다. 전체 평균 검출률은 59.0%였으며, 마 카롱(96.2%)과 케이크(76.5%)에서 높은 검출률을 보인 반 면, 캔디류에서는 타르색소가 검출되지 않았다. 평균 함량 은 머랭쿠키(56.05 mg/kg)와 마카롱(46.99 mg/kg)에서 높 게 나타났고, B1과 R40 색소가 가장 빈번히 검출되었다. 총 39건의 시료에서 2종에서 5종의 색소가 병용 검출되었 으며, 특히 머랭쿠키에서는 병용 기준을 초과한 사례가 확 인되었다. 기준 초과한 품목을 포함한 위해도 평가 결과 0.00-17.72%의 수준으로 나타나 안전한 범위 내에 있었다. 다만, 식품섭취량 자료에 마카롱, 머랭쿠키 등 특정 품목 의 세부 섭취량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이와 유사한 제품 군(snack)의 평균 섭취량을 대체 자료로 활용하였다. 이에 따라 평가 결과는 실제 섭취 수준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 며, 일부 섭취량은 과대 또는 과소 평가되었을 가능성이 있 다. 그러나 색소 병용 사용의 빈도와 기준 초과 사례는 자 가품질검사 의무가 없는 휴게음식점에서의 안전성 관리 취 약성을 반영하며, 향후 이들 업소를 대상으로 한 타르색소 사용 기준 교육 및 체계적인 모니터링 등 안전 관리가 필 요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ects of installing electrodeless induction lamps on the intact stability of a coastal angling fishing vessel. The objective is to assess whether these alternative lighting systems can improve or maintain vessel stability while offering enhanced energy efficiency compared to conventional metal halide lamps. To achieve this, an 8.55-ton class coastal fishing vessel was selected, and hydrostatic analyses were conducted based on three kinds of lighting configurations: (1) metal halide lamps, (2) electrodeless induction lamps, and (3) a combined system of both. Inclining tests were performed for each condition, and the results were evaluated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s for Stability and Full Load Waterline of Fishing Vessels and the Safety Standards for Standard Fishing Vessel Types established by the Korean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nd the Adoption of the international code on intact stability by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The core variables analyzed include the metacentric height (GM), righting lever curves, maximum righting moment and heel angle at maximum moment. These variables were used to assess the intact stability of the vessel under each lighting configuration. Inclination tests and hydrostatic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K-Ship and confirmed that the fishing vessel met all MOF and IMO stability criteria under various loading conditions and lamp configurations. Even when both metal halide and induction lamps were installed, the vessel satisfied the most stringent stability requirements with only a slight reduction in initial metacentric heigh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eplacing or supplementing traditional lamps with induction lamps does not compromise vessel stability.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 내 서어나무류 군락의 식생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부산 지역 내에서 서어나무류가 출현한 조사구(면적 100㎡) 56개를 설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TWINSPAN과 DCA 분석을 통해 군락을 분리한 결과, 서어나무류-졸참나무(1) 군락, 서어나무류-졸참나무(2) 군락, 곰솔-서어나무류 군락, 서어나무류-굴피나무 군락으로 총 4개의 군락으로 나타났다. 군락Ⅰ과 군락Ⅱ는 서어나무류-졸참나무 군락으로 주로 북동사면의 내륙 산지 계곡부 일대에 넓게 분포하며, 서어나무류가 아교목층과 관목층에서도 높은 상대우점치를 보여 향후 서어나뮤류의 세력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군락Ⅲ은 곰솔-서어나무류 군락이며 고도가 낮은 해안가에 주로 분포한다. 해안가에 위치한 지리적 특성상 해안지역에 주로 분포하는 수종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산림천이 양상을 고려하였을 때 곰솔은 점차 쇠퇴하고 향후 극상수종인 서어나무류가 우점하는 식생으로 천이될 것으로 예상한다. 군락Ⅳ는 서어나무류-굴피나무 군락으로 해안 지역에 위치한 산지에 주로 분포한다. 서어나무류와 함께 굴피나무, 팥배나무 등 다양한 종류의 낙엽활엽 수가 분포하고 있다. 부산광역시 서어나무류 군락은 주로 해발고도가 낮은 계곡부 일대를 중심으로 지엽적으로 분포하 고 있으며 향후 극상림으로 발달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technology that can measure key evaluation items in the field for various rehabilitation methods and evaluated its performa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spray-on lining adhesion strength is measured after drying at high temperature (60℃) for 4 hours and cooling for 2 hours, the results are equivalent to or higher than the adhesion strength measured at room temperature after 48 hours. Therefore, the time required for measuring the adhesion strength in the field can be shortened to 1/8, and it is expected to be helpful in evaluating the condition of the spray-on lining. Second, depending on close or adhesive to existing pipe of the liner of the close-fit lining or CIPP lining, and the grouting condition of the slip lining, the sound frequency generation pattern, the vibration magnitude, and duration using the impact echo showed different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it is possible to evaluate liner lifting or grouting failure through analysis of the acoustic frequency, vibration magnitude, and duration. Third, when water penetrates the back of the liner of the close-fit lining or CIPP lining, it was found that the water penetrated between the liner and the existing pipe acts as a couplant, and a signal is repeatedly generated in which ultrasonic energy is transmitted and reflected to the steel pipe after the liner. Therefore, it is judged that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water has penetrated the back of the liner using ultrasonic waves. Fourth, the liner tensile strength of the close-fit, CIPP lining was compared with the tensile test and the instrumented indentation test, and it was found that the tensile strength was similar. So it was judged that it will be helpful in evaluating the mechanical strength change without the liner specimen in the future.
This study aims to prepare bamboo-based activated carbons with surface modifications, focusing on carbon dioxide (CO2) capture in public indoor spaces. The surface of the activated carbon adsorbents was chemically modified through three steps: carbonization, steam activation, and chemical treatment using potassium hydroxide (KOH) and potassium sulfamate (KSO3NH2). The specific surface area and pore volume of the obtained adsorbent (BSAC-KN) were 1,246 m2/g and 0.74 cm3/g, respectively. The surface modification resulted in an adsorption capacity of up to 3.79 mmol-CO2/ g-AC for carbon dioxide. In addition, the expansion of the specific surface area and the enhanced physico-chemical interaction between the weak acidic CO2 molecules and the basic AC surface improved adsorption capa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