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0

        42.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북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대상으로 식생활 행동과 꽁치과메기의 기호도 및 섭취 빈도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65.2%가 맛 그 다음이 영양가 14.6%, 청결성 14.3%, 가격 4.3%, 칼로리 0.7% 순으로 음식 선택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있어 남자는 맛을 가장 선호하고 청결성, 영양가, 가격의 순으로 관심을 가지고 있으나 여자는 맛 다음으로 영양가(25.4%)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청결성, 가격 순으로 나타났다. 나이가 많을수록 영양가에 관심을 두며, 칼로리는 학생층에서 91.7%나 높은 관심을 보였다. 농촌주민은 맛에. 어촌주민은 청결성에, 도시주민은 영양가에 다른 거주지역 주민보다 음식 선택시 큰 관심을 특히 어촌은 식중독 등의 위험에 대한 정보를 상시 접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2. 외식시 선호 음식은 남(81.5%). 여(78.2%) 모두 한식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한식을 선호하고 연령이 낮을수록 양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젊은 층에서의 양식선호는 피할 수 없는 현실이다. 학력별로는 고졸 이하가 한식 (95.0%)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핵가족은 한식과 분식을 선호하며 어른을 모시고 사는 확대가족이 외식시 양식, 일식, 중국식 등 다양한 음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주거형태별로는 연립주택 주민의 93.0%가 한식을 가장 선호하며. 아파트 주민은 한식 다음으로 분식을 선호하였다. 거주지역별로는 도시 주민이 한식(81.9%)을 가장 선호하며 어촌주민은 특히 외식시 양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꽁치과메기에 대하여 91.4%가 긍정적인 응답을하여 경북지역 주민은 과메기에 대해 높은 선호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메기를 먹는 때는 71.1%가 술안주로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도시 주민 20.3%가 과메기를 간식으로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놓고 볼 때 술안주로서 과메기가 아니라 꽁치과메기가 향토 식품으로 자리잡기 위해서 조리방법의 개발 등을 통하여 반찬으로나 간식으로 먹을 수 있도록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4. 과메기 1회 먹는 양은 남자가 여자보다 월등히 많았다. 대부분 3∼10마리를 1회에 먹으며 30세 이하에서는 67.4%정도가, 남자의 61.1%가 3∼10마리 정도를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의 53.7%가1∼2마리 정도를 1회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1회에 20마리 이상(1두릅) 많이 먹는 연령층은 30세 이하의 젊은 층으로 나타났다. 주거형태별로는 개인주택 주민이 1회 먹는 양이 가장 많았다.
        4,000원
        44.
        1999.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0년 7월을 기점으로 의약분업이 전국적으로 실시될 예정이다. 의약분업의 시행은 '약은 약사에게, 진료는 의사에게'라는 의약분업 본래의 취지 못지 않게 의약품 유통의 왜곡을 시정키 위한 조치이며 이에 따른 사회적/경제적 비용-국민의 불편 포함- 을 고려해 볼 때 이는 건국이래 행하여진 보건 정책 중 국민 생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의약품의 유통 못지 않게 '의료보험'에 관한 논란 역시 현재 매우 중대한 사회적 주목을 받고 있는 문제이다. 현재 직장의보 및 지역의보와 관련되어 행해지고 있는 논란은 그 결과를 가늠키 어려운 난제임에 틀림없으며 그 결과여부에 관계없이 또 다른 막대한 사회적 비용을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위의 두 가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의료통합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자한다.
        4,000원
        45.
        199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500원
        48.
        199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초등학교 급식에서 아동들에게 제공되고 있는 음식의 적정 분량을 제시하기 위해 전남 목포지역 초등학교 피급식자 220명을 대상으로 섭취량 측정과 만족도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 남녀 학생의 평균체중은 남학생이 36.7±0.5㎏, 여학생이 35.5±0.7㎏으로 한국 소아 발육 표준치의 99.2%, 98.6%를 나타내었다. 평균신장은 각각 142.5±0.7㎝, 140.9±1.3㎝로 한국 소아 발육 표준치의 99.6%, 99.2%였다. 부모의 교육수준은 고졸 이상이 가장 많았으며, 직업은 부의 경우 남학생은 사무직, 여학생은 상업이, 모의 경우는 남녀학생 모두 주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부모의 월수입정도는 150만원 이상∼200만원 미만이 45.9%로 가장 많았다. 초등학교 급식에서 제공된 음식의 섭취량과 섭취율은 밥류 238g(97.84%), 국류 213g(93.8%), 찌개류 277g(91.2%) 볶음류 68g(83.9%), 조림류 67g(81.3%), 무침류 54g(81.0%), 김치류 49g(85.6%), 일품요리류 429g(96.3%)이었다. 섭취량에 대한 만족도 평가 결과, 밥류, 볶음류, 조림류, 일품요리류는 대체로 만족하였으나 그 외 음식은 `적은 양`이라고 대답하였다. 섭취량에 대한 만족도 평가를 기초로 음식의 적정량에 대해 밥류 230g, 국류 205g, 찌개류 262g, 볶음류 40∼55g, 조림류 65∼70g, 무침류 45∼50g, 김치류 50g, 일품요리류 360∼400g으로 제시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초등학교 급식에 아동의 올바른 영양교육을 위한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운영 및 다양한 식단과 조리법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1인분의 적정량은 개인의 기호도, 찬류의 수, 연령, 노동 등의 조건에 따라 달라지므로 앞으로 찬류의 종류와 가짓수, 연령별, 노동별에 따른 적정량의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49.
        199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람의 미토콘드리아에 있는 aldehyde dehydrogenase(ALDH2)는 체내에서 알코올 대사 과정 중에 생성되는 아세트알데히드를 산화시키는 주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 ALDH2가 알코올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가용화된 효소가 팔요하다. 알려져 있는 유전자의 염기서열 데이터를 바탕으로 ALDH2의 cDNA는 cDNA 라이브러리에서 선별하였으며, 이를 여러 가지 대장균 발현벡터에 연결하였다. 제조한 발현벡터를 형질전화시킨 대장균을 사용하여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 대부분의 계에서 ALDH가 과발현되고 있었다. 그러나 발현된 단백질의 대부분은 inclusion body로 형성되어, 실제로 가용화된 효소의 양은 전체 발현된 양의 5% 이하였고 이들 몇 가지 발현 system으로 재조합 ALDH2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3,000원
        50.
        199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추나무빗자루병 매개충인 마름무늬매미충(Hish[monus sellatus Uhler)의 생태, 혼식 및 산란 호성, 기주이동, 월동태를 조사한 결과 남부지방에서 연 5세대가 경과되었고, 제 1세대 6월 중 ~하순, 2세대 7월 중~8월 상순, 3세대 8월 중~하순, 4세대 9월 상~중순, 5세대 10월 상~중순이었고, 최대 발생기는 3화기인 8월 중~하순이었다. 계절에 따른 한 세대에 요하는 기간은 춘계 80, 하계 69, 추계 77.8일이었으며, 각 단계별 크기는 란 0.8 mm, 1령충 0.9mm, 2령충 l.4mm. 3령충 2.1mm, 4령충2.5mm, 5령충 3.2 mm 이었으며 성충 암컷 4.1mm, 수컷 3.8mm였다. 년중을 통한 기주식물의 이동을 보면 주로 뽕나무, 환삼덩굴, 대추나무에서 란으로 월동하며, 5월 중~하순경까지 뽕나무와 환삼덩굴의 신호를 계속 증가하면서 일부가 6월 하순~7월초순경에 대추나무로 이동하며 가해하는데 이들 란이 10월 중~하순 경부터 월동태로 들어간다. 산란부위는 신초, 엽병, 엽통 등이며 1마리의 암컷 산란수는 32~62개였다. 파식선호성에서는 환삼덩굴, 대추나무, 쥐똥나무, 뽕나무에서 높은 선호성(38.2S-21.64 %)을 보였고 닥나무, 개머루, 구기자나무, 구지뽕나무, 모시풀, 벼, 골담초, 일일초, 차풀 등이 4.65~2.48%였다, 산란이호성에서는 식이호성이 높은 환삼덩굴, 뽕나무, 대추나무에서 24~12개 정도였으며 성충의 생명에서는 환삼덩굴, 뽕나무, 대추나무에서 41.4~44.4일, 개멀, 차풀, 쥐똥나무, 일일초, 자운영, 샐러리에서 25일 이상이었고 기지 기주식물에서는 20일 이하이었다.
        4,000원
        51.
        199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국내에서 해산 가두리 양식에 성공한 은연어와 무지개송어의 식품학적 평가를 위하여 육의 단백질, 아미노산 및 지방산 조성을 분석, 검토하여 다음과 간은 결과를 얻었다. 은연어와 무지개송어의 단백질과 조지방 함량은 각각 22.6%, 5.4% 및 20.8%, 10.2%이었다. 은연어의 육단백질은 근형질단백질 29.9%, 근원섬유단백질 56.3%, 알칼리 가용성 단백질 12.5%, 근기질단백질 2.6%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무지개송어는 근형질단백질 34.1%, 근원섬유단백질 56.4%, 알칼리 가용성 단백질 8.3%, 근기질단백질 2.9%로 구성되어 있었다. 은연어의 근형질단백질의 구성 subunit는 13개였으며, 무지개송어는 16개였다. 한편 은연어 및 무지개송어의 근원섬유단백질의 구성 subunit는 각각 13개와 15개였다. 각육의 구성아미노산 조성은 어종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필수아미노산의 조성으로 판단할 때 완전 단백질임을 확인하였다. 은연어와 무지개송어육의 총유리아미노산 중에서 anserine이 차지하는 비율이 가장 높아서 각각 61.8%와 48.2%에 해당하였다. 그외 비교적 함량이 많은 유리아미노산은 타우린, 글리신, 알라닌, 1-mothyl histidine 및 히스티딘이었다. 은연어와 무지개송어육의 지방산 조성은 polyenes 31.49%와 30.96%, monoenes이 43.79%와 42.64%, 포화산이 24.73%와 26.40%였다. Polyenes중에는 docosahexaenoic acid가 15.28%와 14.97%로 가상 많았으며, monoenes에서는 oleic acid가 27.60%와 28.40%였고, 포화산인 경우는 palmitic acid가 19, 49%와 18.69%로 가장 많았다.
        4,000원
        52.
        199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order to obtain the fundamental informations on cellulase of Trichoderma viride QM 9414 for its production and utilization, som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enzyme were reviewed. When T. viride QM 9414 was cultured on wheat bran medium, filter paper-disintegrating and carboxymethyl cellulose(CMC)-saccharifying activity were incresed with the cell growth, and thereafter CMC-saccharifying activity was kept on almost the same leved while filter-paper disintegrating activity was decreased sharply. And β-glucosidase was formed maximally on the late stationary phase of growth. The crude cellulase of cell-free extracts was purified by (NH_4)_2SO, fractionation, Sephadex-G 200 column chromatography and DEAE Sephadex A-50 column chromatography. Filter paper-disintegrating, CMC-saccharifying and β-glucosidase activity were purified 10-fold, 47-fold and 38-fold, respectively. The crude enzyme was proved to be a complex of three different enzyme proteins which were showing filter paper-disintegrating, CMC-saccharifying and β-glucosidase activity. The optimal pH of the three enzyme components was alike pH 4.0, and the optimal temperature for CMC-saccharifying, filter paper-disintegrating and β-glucosidase activity were 40℃, 45℃ and 50℃ respectively. The Km and Vmax values of CMC saccharifying activity for CMC were 0.485% and 3.10(μmole/min·㎖), and the Km and Vmax values of β-glucosidase for ONPG(o-nitrophenol glucopyranoside) were 0.944×10 exp (-3)M and 0.097(μmole/min·㎖), respectively. The Km and Vmax values of filter paper-disintegrating activity for Avicel were determined to be 0.09% and 0.178(μmole/min·㎖), respectively. β-Glucosidase activity was competitively inhibited by glucose, and the Ki value for this enzyme was 3.54×10 exp (-3)M, CMC saccharifying activity was found to be greatly inhibited by cellobiose.
        4,200원
        53.
        202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비자발적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한 교사들의 경험과 성찰을 다룬 질적 실행연구이다. 연구 문제는 비자발적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한 교사들의 경험과 인식은 무엇인가, 그리고 비자발적 교사학습공동체를 보다 의미 있는 교사학습공동체로 만들기 위해서 어떤 노력이 필요한가이다. 연구 결과, 새봄초 2학년 교사들은 비자발적으로 시작된 학습공동체이지만 다 같이 그림책을 활용한 수업을 준비하면서 스스로 즐겁고, 아이들이 바뀐 수업에 더 집중하고 좋아하는 것을 보면서 보람을 느꼈다. 특히 교사들은 코로나 확산으로 온라인 개학의 위기를 겪으며 서로 위안이 되고, 함께 수업을 준비하고 연구하는 기쁨을 알게 되면서 “성장”했다. 더 나은 교사학습공동체가 되기 위한 노력으로서 먼저 친해지기, 비전과 가치의 공유, 수용적 리더와 협력적 참여자로 만나기, 서로 다른 요구의 타협, 수업에 집중하기가 제안되었다. 이 학교는 비자발적 학습공동체가 보이는 형식적 협력, 보여주기식 성과, 자율성 상실 등이 나타나지 않았다. 교장과 중간리더들이 학습공동 체의 참여를 강제하기보다 그 가치와 필요성을 설득했고, 운영의 초점을 수업 향상에 두었고, 운영 과정에서 다른 목소리를 존중하였기 때문이다.
        54.
        2019.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 134명을 대상으로 구두 인터뷰를 통해 수집한 영어 말하기 코퍼스에 대해 코퍼스 기반 분석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말하기에 나타난 특징을 규명하고 일반적인 오류와 연어 사용 오류에 대해 탐구하였다. 오류 분석은 질적 연구 도구와 절차를 적용하여 오류를 추출한 후 분류 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 대학생들의 말하기 코퍼스에 사용된 총 어휘 수는 33,306으로 나타났으며 유형이 다른 어휘는 총 2,308개였다. 유형이 다른 개별 어휘군을 분석한 결과 영어 원어민이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는 1,000 어휘군의 90% 범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아 한국 학생들은 원어민이 빈도 높게 사용하는 쉬운 일상 단어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오류 분석 결과, 가장 빈번하게 나타난 오류 유형은 생략(omission)과 비문(misformation)으로 규명되었으며, 세부적으로는 정관사, 전치사, 시제 불일치, 단수/복수형 오류가 빈번하였다. 연어 오류 분석 결과, G8-D(동사+전치사+목적어) 유형의 문법적 연어 오류가 가장 빈번하였으며, 어휘적 연어 오류에서는 L1(동사+명사/대명사) 유형이 가장 흔하게 나타났다. 한국 대학생들이 영어 말하기에서 흔하게 범하는 이러한 오류들은 다른 언어 기능 사용 측면에도 지장을 줄 수 있으므로 향후 한국 학생들을 위한 영어 교재 개발과 교수·학습 활동 개발과 적용 시에 이러한 특징과 양상을 반영하여 이를 해결할 방안을 모색할 필요 가 있다.
        55.
        2019.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mpact of chatbots’ innovation attributes on the innovation acceptance for consumers who have used chatbots to purchase fashion products that account for a large share of transactions in mobile shopping.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Data were collected from Korean consumers aged 20 to 49 who had experience using chatbots when purchasing fashion-related products via mobile circumstances. After a pilot survey of 31 customers, pre-questionnaire was revised for the final test, and the final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1,500 subjects. Out of these, 244 were retrieved. After excluding 48 inappropriate responses, 196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e-way ANOVA, regression analysis and independent t-test using SPSS 23.0 were employed for data analyses. Results - First, four factors of chatbots’ attributes were extracted: relative advantages and compatibility, complexity, sensibility, and diversity. Second, two factors were extracted for fashion leadership: fashion opinion leadership and fashion innovativeness. Two groups based on the fashion leadership were identified: active innovation adopters and passive innovation adopters. Third, relative advantages and compatibility, diversity, sensibility of innovation attributes were found to have effects on the innovation acceptance in order. Fourth,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sensibility of innovation attributes and innovation acceptance in groups by marital status and age. The married in their 30s and 40s perceived sensibility as a more important attribute of chatbots than the unmarried in their twenties. Among the groups of different income levels, meaningful differences were found in diversity of innovation attributes and innovation acceptance. Fif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found in relative advantages and compatibility, sensibility of innovation attributes, and acceptance of Innovation among the groups by fashion leadership. Active innovation adopters were found to be mo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relative advantages and compatibility, and sensibility of innovation attributes, and innovation acceptance. Conclusions – The present study provides chatbots’ marketing strategies for fashion items need to be modified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fashion leadership. Particularly, fashion leadership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perception of innovation attribute as well as innovation acceptance.
        56.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chatbot's characteristics (ease of use, social presence, playfulness, usefulness) on service value, customer satisfaction and reuse intention when consumers purchased fashion products in the mobile shopping environment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Data were collected from Korean consumers from ages 20 to 59 who have experienced using chatbot in a mobile shopping for fashion products. After a pilot survey to 53 customers, the preliminary questionnaire was revised for the final test, and the final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1500 customers. Out of these, 300 were collected. After deleting 48 incomplete ones, 252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using SPSS 23.0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e equation analysis using AMOS 18.0 were employed for data analyses. Results - First, four factors were extracted for the chatbot's characteristics: ease of use, social presence, playfulness and usefulness. Second, regarding the effect of chatbot's characteristics on service value when purchasing fashion products in the mobile shopping environment, ease of use, playfulness and usefulness of chatbot significantly affected service value. Social presence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s on service value. Third, in terms of the effect of the chatbot's characteristics on customer satisfaction when purchasing fashion products in the mobile shopping environment, social presence, playfulness and usefulness of chatbot significantly had an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Ease of us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Fourth, service value of chatbot when purchasing fashion products in mobile shopping environment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with chatbot. Fifth, service value of chatbot on reuse intention when purchasing fashion products in the mobile shopping environment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reuse intention of chatbot. Sixth, customer satisfaction with chatbo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reuse intention of the chatbot when purchasing fashion products in the mobile shopping environment. Conclusions - The present study provide dimensions on the chatbot’s characteristics and these may provide helpful data for further studies in this area and for marketers as well.
        57.
        2018.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sub-dimensions of fashion social media quality (information quality, social quality, service quality, system quality) and investigate how they affect purchase intention through fashion information use behavior (information acceptance, information diffus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twice for systematic verification of the research model. In the first data collecti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research variables were verified through 238 respondents and questionnaires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based on their responses. In March 2018, the final survey was conducted from 755 respondents the age of 20 to 49. Using SPSS 23.0, descriptive stat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In order to test hypotheses,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 technique was employed using AMOS 23.0. Results - First of all, fashion Social media quality consists of four factors including information quality, social quality , service quality and system quality. Second, fashion Social media information quality, social quality , and system quality were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nformation acceptance behavior, and social quality , service quality and system quality were sh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information diffusion behavior. It was also determined that the acceptance and diffusion behaviors of fashion information through fashion Social media had positive(+)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Conclusions - This study holds academic significance in its identification of the components of fashion Social media quality and for conducting an empirical analysis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fashion information acceptance and diffusion behaviors, and purchase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fashion involvement is the key factors in determining the quality of Social media, the acceptance of information through Social media, and, by extension, the purchase of fashion products. Practitioners in the fashion industry may use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 order to build more effective Social media strategy.
        58.
        201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디지털 환경변화를 비롯한 사회 환경, 그리고 이에 따른 새로운 소비 트랜드의 변화는 높아진 소비자의 가치 추구와 니즈에 따른 상품을 요구한다. 소비를 통해 자신의 차별성과 정체성 추구와 심리적 만족감까지 추구하는 소비 형태의 변화에 따라 기업들은 다양한 형태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하여 브랜드의 경쟁력을 높이고 새로운 소비층을 확보하는 마케팅수단을 펼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새로운 소비 트랜드에 따른 상품디자인 특성을 분석 하였다. 아트콜라보레이션은 차가운 첨단 기술의 가전제품에 예술적 감성을 입혀 더욱 부드러운 이미지를 부여하였고, 식품업계 역시 단순히 먹고 마시는 것 외에 즐기는 심리적인 만족감을 위해 다양한 콜라보레이션을 펼치고 있다. 캐릭터산업과의 콜라보레이션의 특성은 슈퍼히어로나 모바일 게임, 그리고 이모티콘 등 우리에게 익숙하고 친근한 이미지를 상품에 입히고 새로운 소비층을 공략하고 있다. 이업종, 혹은 동종업종의 브랜드와 브랜드의 콜라보레이션은 서로 다른 기업의 이미지와 상품이 지닌 가치를 더하여 소비구매력을 높이는 디자인으로 활용되고 있다. 디지털기술 발전에 따른 콜라보레이션 상품들은 보다 감성적이고 심미적 가치를 추구하면서 새로운 소비 트랜드에 대응할 수 있는 상품디자인 특성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가 향후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상품디자인의 디자인 개발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리라 기대한다.
        59.
        2018.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narcissism, usage motives, usage behaviors, satisfaction with and continuance intention to use fashion social media.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A questionnaire survey was used to collect data after conducting a pilot test. Based on the reliability test of the preliminary questionnaire used for the pilot test, the questionnaire was revised. The final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238 fashion social media users and 216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To assess the validity of these measure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ere employed for data analysis. Results - Five factors of the usage motivation of fashion social media were extracted: information-seeking, relationshipseeking, practicality-seeking, enjoyment-seeking and self-expression motives. The statistical analysis confirmed the influence of the narcissism tendency on all of the usage motives of fashion social media, three of the fashion social media usage motives influencing information diffusion behavior, and the influence of the information diffusion behavior on users'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intention to use fashion social media. Narcissism exerted the highest influences on self-expression motive followed by information-seeking, enjoyment-seeking, relationship-seeking and practicality-seeking motives in order. Factors affecting fashion information diffusion behaviors are practicality-seeking motive, self-expression motive, and relationship-seeking motive. The greater the diffusion of information,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using fashion social media. The consumers with higher satisfaction intended to use fashion social media and share information more frequently. Conclusions - The results indicate that narcissism is an important factor in fashion social media usage motivation. The main motives for narcissistic people to spread information is for the practical purpose at the most, and then to express their personality and style, and to build relationship with others. The satisfaction through active information sharing behaviors seems to play a key role to lead high continuance intention of fashion social media. These implies that marketing strategies to satisfy consumers’ narcissism and motives to use social media, and to stimulate the information diffusion behaviors can be used to meet their needs for higher satisfaction with fashion social media.
        60.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융⋅복합을 기반으로 4차 산업 혁명의 관심이 뜨거운 가운데 가구산업에도 IT기술과 융합한 스마트가구가 출시되면서 지금까지 전혀 새로운 가구의 형태를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융⋅복합을 기반으로 하는 가구개발 및 디자인 사례를 분석 하였다. IT 기술융합 가구는 IcT, IoT기술에 의한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생활정보 제공과 검색 기능 등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스마트 가구로 개발되었고, 의료기술 융합가구는 인간의 수면이나 휴식의 질을 높이고 맞춤형 케어를 통해 건강한 일상생활을 지원할 수 있는 헬스케어 가구로 개발 되고 있다. 또한 첨단산업 소재융합 가구는 항공우주 및 의료산업 등 첨단산업 소재를 통하여 강도와 내구성, 그리고 안전성을 확보하여 보다 안전한 일상생활 가구로 개발 되고 있다. 또한 기능, 융⋅복합형 가구는 1인 가구 및 소형 공간에 적용 가능하도록 복합적인 기능과 다용도, 그리고 분리겸용을 통해 공간의 융통성을 지원하는 가구로 개발 되고 있으며, 디자인 융⋅복합 가구는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다양한 소비자의 구매 패턴에 대응할 수 있는 가구로 개발되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융⋅복합의 형태가 IT기술 & 디자인, 메디컬 & 디자인, 그리고 기능과 소재와의 융⋅복합 등이 연관되어 개발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가구산업은 디자인의 혁신 뿐 아니라, 4차 산업혁명의 변화와 더불어 디지털 플랫폼과의 융⋅복합을 통해 첨단 산업으로 변신할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가 국내 가구산업의 융⋅복합을 통한 첨단 가구산업으로의 발전에 기초적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