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0

        9.
        2025.0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Galaxy evolution studies require the measurement of the physical properties of galaxies at different redshifts. In this work, we build supervised machine learning models to predict the redshift and physical properties (gas-phase metallicity, stellar mass, and star formation rate) of star-forming galaxies from the broad-band and medium-band photometry covering optical to near-infrared wavelengths, and present an evaluation of the model performance. Using 55 magnitudes and colors as input features, the optimized model can predict the galaxy redshift with an accuracy of σ(Δz/1+z) = 0.008 for a redshift range of z < 0.4. The gas-phase metallicity [12 + log(O/H)], stellar mass [log(Mstar)], and star formation rate [log(SFR)] can be predicted with the accuracies of σNMAD = 0.081, 0.068, and 0.19 dex, respectively. When magnitude errors are included, the scatter in the predicted values increases, and the range of predicted values decreases, leading to biased predictions. Near-infrared magnitudes and colors (H, K, and H −K), along with optical colors in the blue wavelengths (m425–m450), are found to play important roles in the parameter prediction. Additionally, the number of input features is critical for ensuring good performance of the machine learning model. These results align with the underlying scaling relations between physical parameters for star-forming galaxies, demonstrating the potential of using medium-band surveys to study galaxy scaling relations with large sample of galaxies.
        4,200원
        10.
        202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세계적으로 친환경 해충 방제를 위해 식물 추출물을 사용하는 연구가 화학농약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진행되고 있다. 제충국 식물은 살충제용 피레트린의 원료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한국에서 재배된 식물의 추출물과 효능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재배된 본 연구는 한국에서 재배된 두 가지 제충국 품종에서 피레트린을 추출하는 방법을 비교하였다. 또한, 분리된 피레트린 함유 추출물의 주요 식물 해충 에 대한 효능을 조사하였다. 피레트린 함량은 프랑스에서 수입한 '계통' 품종에 비해 '달마시안' 품종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따라서, 달마 시안 품종의 피레트린 추출물을 이용하여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추출된 피레트린의 양은 추출에 사용된 에탄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 며, 95% 에탄올을 사용했을 때 가장 높은 수준(6,064 ppm/100 g 꽃 건물중)이었다. 총 피레트린 함량과 피레트린 I/II 비율은 만개기에 수확한 꽃 에서 가장 높았다. 추출물의 in vitro 생물검정에서 복숭아혹진딧물의 LC50 값은 34 ppm, 배추좀나방 유충은 69 ppm, 뿌리혹선충 유충은 0.1 ppm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에서 재배된 달마시안 꽃의 에탄올 추출물이 식물 해충 방제를 위한 천연 살충제 개발에 유용할 수 있음을 나타냈 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재배된 T. cinerariifolium var. 달마시안 꽃 추출물이 국내에서 식물 해충을 효과적이고 친환경적으로 방제하는 데 잠재력이 있음을 보였다.
        4,200원
        13.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상추는 수요가 연중 지속됨에 따라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는데, 주로 생식으로 이용되며 수확간격 이 짧아 해충 다발생시 약제방제가 어려운 작물이다. 최근 검은무늬밤나방이 약제방제가 소홀한 포장에서 잎을 광포식하여 빠른 시간내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검은무늬밤나방의 온도별 발육특성을 구명하여 방제를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검은무늬밤나방은 시설재배 상추에 발생한 유충을 채집하 여 실내 사육 후 항온조건(15, 20, 25, 30℃)에서 발육단계별 발육기간을 조사하였다.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각 태별 발육기간은 짧아지는 경향이었으며, 유충은 보통 4회 탈피하였다. 25℃에서 알기간은 2.5일, 유충기간 10.0 일, 전용기간 1.0일, 번데기기간 7.0일로 알에서 성충까지의 발육기간은 20.5일 이었다.
        14.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들어 평균 온도가 평년보다 높게 경과함에 따라 노지 작물에 발생이 많은 파밤나방, 담배거세미나방, 담배 나방의 발생소장을 2023년 전북 익산의 노지 고추포장에서 성페로몬트랩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파밤나방은 4월 중순부터 채집되기 시작하였으나 채집량은 적었고 6월 중순, 7월 중순, 9월 상순, 9월 하순에 발생최성기를 보였다. 담배거세미나방은 5월 중순부터 채집되기 시작하여 6월 상순, 7월 상순, 8월 상순, 9월 상순, 11월 상순에 발생최성기를 보였으며 8월 하순이후 발생량이 많은 경향이었다. 담배나방은 5월 상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6월 중순, 8월 상순, 9월 상순에 발생최성기를 보였으며 10월부터는 채집량이 적은 경향이었다.
        15.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022년부터 2023년까지 제주도내 키위 시설재배지를 대상으로 계절 초기 볼록총채벌레 발생 경향을 확인하 기 위해서 토양 표면의 잡초, 토양 표면 상단으로부터 60cm, 키위나무를 유인한 덕 상단 15cm에서 10일 간격으로 발생 조사하였다. 하우스 내부에서 발생하는 잡초 10종을 채집하여 조사한 결과, 갈퀴덩굴, 광대나물, 개불알풀, 별꽃, 뽀리뱅이, 황새냉이 6종에서 볼록총채벌레가 지속적으로 관찰되었다. 계절 초기 월동 성충의 비산시기를 확인하기 위해 토양 표면 60cm 위쪽에 설치한 황색 끈끈이트랩에서 2월 하순~3월 중순부터 볼록총채벌레의 발생을 확인하였다. 시설하우스 내부(덕 상단 15cm)와 외부(측장 높이)에 설치한 황색 끈끈이트랩을 비교해보면 시설 내·외부의 볼록총채벌레의 밀도가 증가하고 감소하는 시기가 유사하였다. 종합적인 고찰을 통하여, 발생 양상을 고려한 적절한 방제전략 수립이 요구된다.
        17.
        2023.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following is not a conversation with a bank clerk. " Instead, let me introduce you to customized credit loans," "Do you want me to connect you to the screen of using COVID-19 support funds and checking balance?" These are the contents of consultations with AI chatbots at financial institutions. Chatbot, which used to be an additional tool for adding convenience to life, is now at the center of our lives.
        18.
        2023.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ocial networking sites (SNS) is an image-oriented sharing platform and can form social relationships among users. This allows individuals to create and share the contents which include their stories, ideas, reviews, opinions, and evaluations, etc. Consumers who sympathize with and trust these contents will follow them and form the relationships. Contents created and shared by individual users is more effective than advertisements delivered by brands in generating electronic word of mouth (e-WOM). Accordingly, opinion leaders and influencers who influence potential customers based on their opinions and style related contents have emerged in various fields such as health, fitness, fashion, beauty, food, and high-tech.
        19.
        2023.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ustomers’ service experience is related to the perceived state in the process of interacting with the target at various channel touchpoints (Kaushal & Yadav, 2023). Furthermore, positive customers’ service experiences can increase the repurchase intention of buyers by strengthening the interconnection and cooperation between buyers and suppliers in business-to-business (B2B) firms and reinforcing corporate competitive positioning.
        3,000원
        20.
        2023.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etaverse provides technology for people to connect, find communities, and grow businesses. Its sales have seen growth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an era of metaverse, luxury brands such as Gucci, Ralph Lauren, Burberry, Balenciaga, and Dolce & Gabbana are trying to adapt to new changes. They launched NFT(Non-fungible token) goods, digital fashion, and virtual luxury goods on various metaverse platforms such as Zepeto, Roblox, and Fortnite. For example, Ralph Lauren in Zepeto provides various types of luxury items, immerses in virtual performances, and has a game plot interaction. As people immerse themselves in the Metaverse, they feel happy from various activities—such as watching advertisements, drinking juice, and playing with friends. Thus, what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when the luxury brands manage the metaverse?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