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emaphysalis longicornis는 사람과 동물에게 여러 심각한 병원체를 전달하는 주요 매개체로, 한반도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H. longicornis는 Rickettsia spp., Borrelia spp., Francisella spp., Coxiella spp., 그리고 중증열성혈소판 감소증후군 바이러스 (SFTS virus) 등을 매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 서식하는 H. longicornis의 미생물 군집과 관련된 연구는 많이 진행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한반도 내 다양한 지역에서 채집된 H. longicornis의 미생물군집 다양성을 지역별, 성장 단계 및 성별에 따라 분석하였다. 2019년 6월부터 7월까지 질병관리청 권역별기후변화매개체감시거점센터 16개 지역에서 채집한 H. longicornis의 16S rRNA 유전자 V3-V4 영역을 PCR로 증폭 후 Illumina MiSeq 플랫폼으로 시퀀싱하였다. Qiime2를 활용한 미생물 다양성 분석을 통해 총 46개의 샘플에서 1,754,418개의 non-chimeric reads를 얻었으며, 평균 126개 의 operating taxonmic unit (OTU) 을 식별하여 총 1,398개의 OTU를 확인하였다. 대부분의 지역에서 Coxiella spp.가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Coxiella endosymbiont는 가장 높은 우점도를 보이며, Coxiella burnetii와 계통 발생 학적으로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분석된 결과는 각 지역의 H. longicornis 미생물군집 데이터 베이스 구축에 활용되었으며, 이를 통해 지역별 미생물군집의 특이성을 식별할 수 있게 하였다. 이는 한반도의 H. longicornis에 의한 질병 전파 연구와 이를 통한 공중보건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Bacillus velesensis TJS119, isolated from freshwater, demonstrated growth inhibition against insect pathogenic fungi. The culture medium of the B. velezensis TJS119 strain underwent sequential fractionation with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n-butanol, and water. Notably, the n-butanol fraction exhibited significant antifungal activity against Metarhizium anisopliae and Beauveria bassiana. LC/MS analysis of antifungal peaks identified the production of various lipopeptides by B. velezensis TJS119, including two types of iturin A (C14, C15), four types of fengycin A (C14, C15, C16, C17), and two types of fengycin B (C16, C17). The antifungal efficacy of Iturin A and Fengycin against insect pathogenic fungi was further validated using the paper disc diffusion method.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potential of B. velezensis TJS119 as a promising candidate for future research and applications in the realm of agricultural biological controls against fungal diseases.
Honey bees are crucial pollinators for agricultural and natural ecosystems, but are experiencing heavy mortality in Korea due to a complex suite of factors. Extreme winter losses of honey bee colonies are a major threat to beekeeping but the combinations of factors underlying colony loss remain debatable. Finding solutions involves knowing the factors associated with high loss rates. To investigate whether loss rates are related to Varroa control and climate condition, we surveyed beekeepers in korea after wintering (2021–2022 to 2022–2023). The results show an average colony loss rate of 46%(2022) and 17%(2023), but over 40% colony loss before wintering at 2022. Beekeepers attempt to manage their honey bee colonies in ways that optimize colony health. Disentangling the impact of management from other variables affecting colony health is complicated by the diversity of practices used and difficulties handling typically complex and incomplete observational datasets. We propose a method to 1) Varroa mite population Control by several methods , and 2) Many nursing bee put in hive before wintering.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돌미나리에서 GABA생성능이 있 는 신규 유산균을 분리, 동정한 결과, Enteroccoccus casseliflavus로 확인되었다. 최근까지 Lactobacillus속과 같 은 GABA 생성 유산균에 대한 보고는 많이 되고 있고, 일 부 Enterococcs속 유산균도 보고되고 있으나 E. casseliflavus 종에 대한 보고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E. casseliflavus PL05 균주에 대한 GABA 생성 최적 조건을 찾기 위하여 배지의 유형, 생육 온도, 초기 pH 조건, 배양 시간, MGS 농도 및 탄소원을 포함한 다양한 조건을 테스 트하였다. PL05 균주는 MRS 혹은 TSB 배지보다 BHI 배 지에서 생육이 잘 되었으며, 배지의 초기 pH는 7-9 조건 에서 가장 생육이 왕성하였고, GABA 생성 조건 역시 유 사한 결과로 확인되었다. GABA의 기질에 해당하는 MSG 의 농도별 GABA 생성량을 조사한 결과, 7%에서 가장 높 은 생성량을 나타내었으나 5%에서도 유사한 수준으로 확 인되어 효율적인 측면에서 5%가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탄소원에 따른 생육 및 GABA 생성량은 말토오스를 사용 하였을 때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러한 최적의 조건들로 최종 테스트를 진행한 결과, 24시간째 140.06±0.71 mM의 GABA가 생성되었고, 전환율은 78.95%로 확인되 었다. 또한 반코마이신을 포함한 10개의 항생제에 대한 감 수성을 조사한 결과 내성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자생하는 진달래속(Rhododendron) 종들의 종자 휴면유형 분류 및 발아특성 구명을 목표로 하였다. 진달래속 종들의 배는 형태적휴면(MD)이 없는 완전히 발달된 직선(linear) 형태였으며, 만병초 및 꼬리진달래 종자는 탈리 시점에 이미 휴면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에 털진달래 종자는 population 수준에서 부분적으로 생리적휴면(PD)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털진달래의 이러한 생리적휴면 (PD)은 외생 지베렐린(GA3) 1,000mg・L-1 처리를 통해 타파될 수 있었다. 그러나 4℃에서의 저온층적처리는 털진달래 종자 휴면 타파에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판단 했을 때, 진달래속(Rhododendron) 종들의 적정 발아 환경조 건은 광조건・25/15℃(만병초), 암조건・20/10℃(꼬리진달래), 광 조건・25/15℃(털진달래)로 확인된다. 진달래속(Rhododendron) 에서의 종간 차이(interspecific variation)로 인해 모든 종이 종자 휴면유형 또는 발아특성에서 구별이 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자생하는 진달래속(Rhododendron) 종들의 생리・생태 특성을 이해하는 데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Globally, colon cancer is increased gradually and known as one of the major causes of cancer death. Stevia, a substitute of sugar, is known to have many components including alpha-tocopherol and anthocyanin etc, as antioxidants. This study's purpose is to investigate whether stevia plant extract can have a protective effect against colon carcinogenesis induced by azoxymethane (AOM) and dextran sodium sulfate (DSS) in mice. Total 30 male ICR mice were divided into 2 groups; AOM/DSS treatment (control group), AOM/DSS + stevia extract (0.5%, in drinking water). After acclimation for 1 week, five weeks old mice received three intraperitoneal AOM (10 mg/kg b.w.) injections weekly for 3 weeks (0–2nd weeks of the experiment) and 2% DSS as drinking water for the next one week. AIN-76A purified rodent diet and 0.5% stevia extract water were supplied to the animals for 6 weeks. The colons of mice were collected and the number of aberrant crypt foci (ACF) and aberrant crypts (ACs) in colonic mucosa were counted after staining with methylene blue. Malondialdehyde (MDA) concentration in feces were determined. The numbers of ACF and ACs were significantly (p<0.01) decreased in stevia-treated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MDA concentration in feces was also significantly (p<0.01) decreased in stevia-treated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n histopathology of colonic epithelium, hyperplasia of colonic epithelium was less observed in steviatreated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tevia has a protective effect against colon carcinogenesis induced by AOM/DSS in mice and further study needs to illustrate the protective mechanis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