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 남조류 Microcystis 종에 의한 녹조현상은 매년 빈번하게 일어나며, 이로 인한 수자원의 질적 변화와 먹는 물 확보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Microcystis 종에 의한 피해를 막고자 개발된 naphthoquinone (NQ) 유도체 물질의 장점 분석을 위해 국내에서 빈번히 사용되는 황토를 이용한 microcosm 실험을 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NQ 40, NQ 2-0 물질은 선행 연구 결과와 동일하게 유해 남조류 Microcystis 종을 선택적으로 99.9%, 99.6% 제어했으며, 식물플랑크톤 종 다양성을 증진시켰다. 그러나, 황토를 처리한 실험구는 실험 초기 일시적인 조류 제어효과를 보인 후 다시 증가하였으며, 유용 조류를 포함한 모든 식물플랑크톤에게 적용되어 다른 조류의 성장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NQ 물질을 처리한 처리구는 비생물학적, 생물학적요인 모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대조구와 유사한 경향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개량된 유해 남조류 제어물질 NQ 2-0은 높은 살조효과, 선택적 제어효과, 저독성, 자연분해에 의한 비잔류성 뿐만 아니라, 편의성 및 경제성까지 갖춘 새로운 살조물질로서 현재까지 개발된 살조물질 보다 현장 생태계 적용에 가장 적합한 친환경 녹조제어 물질이라고 판단된다.
고중성지방혈증에 의한 임신성 췌장염의 대부분은 고지혈증 환자가 임신으로 인하여 과체중이 되거나 중성지방과 관련된 이차적인 인자를 가질 때 발생한다. 지금까지 국내에서 고중성 지방혈증에 의한 임신성 췌장염은 6예가 보고되었으나 그중 중성지방 수치가 1,000 mg/dL 이하인 적은 없었다. 임신 30주된 36세 여성이 상복부 통증을 주소로 입원하였다. 말초혈액 검사에서 중성지방 수치는 260 mg/dL, 아밀라아제 수치는 2,951 U/L, 리파아제 수치는 3,500 U/L였다. 복부 초음파 검사에서 저에코성 rim을 동반한 췌장의 부종이 관찰되었다. 며칠 후, 환자는 퇴원하여 임신 38주에 정상 분만을 하였다. 지단백질 전기 영동 결과는 IV형 고지단백혈증과 일치하였다. 이 증례보고는 이전에 보고된 고중성 지방혈증에 의한 임신성 췌장염과 달리, 중성지방 수치가 500 mg/dL 미만이지만, IV형 고지단백혈증의 존재시 발생한 급성 췌장염을 처음으로 보고한 것이다.
십이지장 구부로의 총담관의 이소성 개구는 매우 드물며, 담도 질환이나 재발성/불응성 십이지장 궤양과 관련이 있는 경우가 많다. 저자들은 직시경으로 확인하고 일부는 직시경을 이용한 내시경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로 동반된 담관염을 치료했던 3명의 환자들을 보고한다. 일부 환자에서는 직시경이 시술에 있어 더 효과적이고 유리한 시술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신장암은 비뇨기과 악성 종양 중 두번째로 많은 빈도를 차지하며 다양한 임상 양상을 갖는다. 그 중 약 1/3은 진단 당시 전이성 암으로 발견된다. 3,4 전이가 호발하는 부위는 폐, 뼈, 림프절과 간 등을 포함하며 드물게 췌장으로 전이를 동반한다고 알려져 있다. 8 췌장 전이의 경우 반수 이상에서는 증상이 없고 증세를 보이는 경우는 복통, 체중 감소, 지방변으로 내원하며 드물게 담도 폐쇄에 의한 증상으로 내원하게 된다. 출혈로 내원하는 경우도 전체의 40% 정도가 되지만 췌장의 자연 출혈로 인해 담관염을 유발하는 경우는 드물다. 10 저자 들은 신장암의 전이성 췌장암과 이로 인한 출혈이 담관염을 유발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흥미로운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Pyrifluquinazon, as a quinazinalone chemical group, based on a new mode of biological activity. It is reported that mode of action is modifies insect behavior, rapidly stopping feeding such that insects starve to death. Time-release feature and mortality effect on M. persicae using different pyrifluquinazon nano type and non-nano type were compared. Pyrifluquinazon nano type was formulated with different molecular weight and density of used chitosan (CS 30000 0.1% and CS 3000 0.3%). In the CS 30,000 0.1%, the mortality was weakly occurred at early time, but steadily increased after 4days. Finally, we confirmed more than 70% mortality as a peak at 16days. In CS 3000 0.3%, the mortality showed about 70% until 18days as a effective controlled release. Also, We examine time-release feature and mortality effect on M. persicae according to the different pyrifluquinazon nano type(CS 30000 0.1% and CS 3000 0.3%) of concentrations. The CS 30000 0.1% bioassay results of different concentration were showed that the highest concentration(100ppm) was measured better mortality than other concentration at 0 day, but cannot confirm different effect about dissimilar concentration. However, increasing rates of M. persicae were low as treatment concentrate was high. In CS 3000 0.3% 100ppm concentration bioassay result, aphid mortality reached peak at 24 days and increasing rate also low. Additionally, for the comparing of bioassay and feeding behavior of M. persicae against pyrifluquinazon nano types and non-nano type, EPG technique was carried out. In case of non nano type, feeding inhibition efficacy was showed during 4 days after treatment, but appeared similar level with control after 10days. In CS 3000 0.3% 50ppm, residual efficacy was specially showed until 28days after treatment whereas treatments with CS 30000 0.1% were similar to the control after 22days. These result show that the change of feedinng behavior and motrality of M. persicae is correlated with the change of nano type or non nano type of pyrifluquinazon.
Several species of the genus Aphidius are used in biological control programs against aphid pests throughout the world and their behavior and physiology are well studied. But despite knowing the importance of sensory organs in their behavior, their antennal structure is largely unknown. In this study, the external morphology and distribution of the antennal sensilla on the antennal of both female and male adults of A. colemani were described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Generally, the filaform antennae of males (1,515.20±116.48 ㎛) are longer than females (1,275.06±116.42㎛). Antennae of this species is made up of scape, pedicel and flagellomeres. Male and female antennae differed in the total number of flagellomeres as 15 in males and 13 in females. Female and male antennae of A. colemani has samely seven types of sensilla. We classified sensilla placodea, Bohm bristles, 2 types of sensilla coeloconica, , 2 types of sensilla basiconica as with a tip pore and with wall pores, sensilla trichodea. In addition, the possible functions of the above sensilla types are discussed in light of previously published literature; mechanoreception(Bohm bristles, sensilla coeloconicaⅡ and sensilla trichodea) and chemoreception(sensilla coeloconicaⅠ, sensilla basiconicaⅠ,Ⅱ and sensilla placodea). Future studies on the functional morphology of the antennal sensilla of A. colemani using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coupled with electrophysiological recordings will likely confirm the functions of the different sensilla identified in this study.
For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among blueberry cultivars, the growth period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in 28 blueberry cultivars, and cluster analysis using the SAS program was conducted based on the morphological data. The harvest period was later and longer in rabbiteye blueberry cultivars (Austin, Brightwell, Powderblue, Southland, Tifblue) than in highbush blueberry cultivars. The L/D ratio of flower was more than 2.0 in the Austin, Brightwell, Powderblue, Southland, Tifblue, and Brigitta cultivars, and this could be disadvantageous for pollination. The 28 blueberry cultivar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by the cluster analysis based on growth period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Group I included rabbiteye blueberries and Group II included highbush blueberries. However, the northern, southern, and half-highbush blueberry cultivars were not differenti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