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로 인해 국내에서의 기온, 강수량, 호우일수가 증가 할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토양 답압과 높은 불투수면적 비율이 나타나는 도심지를 중심으로 정원과 공공녹지에 활용되는 식물 소재에 있어 내침수성이 중요한 특성으로 부각될 가능성이 높 다. 그러나 내침수성 식물소재에 대한 대다수의 문헌은 재배경 험이나 각 종의 서식지 환경에 기반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 실험 적 검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토양수분함량이 높은 서식지에서 기원한 골등골나물(Eupatorium lindleyanum DC.), 새등골나물(E. fortunei Turcz.), 좀개미취(Aster maackii Regel) 3개 종과 중간인 서식지에서 기원한 까실쑥부쟁이 (A. ageratoides Turcz.) 1개 종의 침수조건에 대한 생육반응 비교로 서식지 환경이 내침수성 평가의 유효한 지표인지 알아보 고자 하였다. 실험대상 종을 6주간 무처리(대조구), 5일 침수처리, 7일 침수처리한 결과, 골등골나물과 새등골나물은 대조구와 처리구간 생육반응에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아 높은 수준 의 내침수성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좀개미취는 생장반응이 처리구에서 대조구 대비 유의하게 감소하여 내침수성은 제한적 인 것으로 보였으나, 5일 침수처리구에서 광계 II의 최대양자효 율(Fv/Fm)이, 두 처리구 모두에서 지상부 대비 지하부의 비율 (R/S율)이 대조구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침수조건의 해 소 후 회복 가능성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까실쑥부쟁이는 처리 4 주차에 모든 처리구에서 100%의 고사율을 보여 내침수 성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결론적으로, 서식지 환경 은 내침수성과 관련이 있다 할 수 있었으나, 내침수성의 정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토양수분함량 외 다양한 환경요소들을 함께 고려해야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국내 원예작물에서 화분매개곤충의 의존도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우리는 사과, 딸기 등 화분매개곤충의 의존도가 높은 주요 과수와 시설작물에 대하여 화분매개곤충의 사용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2021년부터 2022년까지 딸기, 키위 등 5가지 주요 농작물에서 화분매개벌을 적용한 결과, 딸기에서 뒤영벌의 적용결과 기존 꿀벌과 통계적으로 같은 수준의 화분매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하우스에서 농약적용시 하우스 밖으로 벌통을 위치시키는 것이 방치보다 벌의 소실을 20% 더 감소시킬 수 있었다. 인공수분 에 의존하고 있는 씨없는 수박에서 수분수 식재와 꿀벌을 이용함으로 기존 벌 방사보다 16% 착과율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시설고추에서 꿀벌과 뒤영벌의 혼합사용시 기존 꿀벌 방사보다 고추 수량이 10% 향상되었고, 토마토 에서 660㎡당 뒤영벌의 봉군량을 1.5배 증가시 토마토 수량은 4.4% 향상되었다. 키위는 꿀벌로 기존의 인공수분 을 충분히 대체할 수 있었고, 인건비가 60%이상 절감되었다. 또한 현재 시판중인 30종의 살충제와 27종의 살균제 에 대하여 24시간내 반수치사를 보인 농약은 각각 살충제 6종와 살균제 4종 이었다. 이어서 2023년부터 참외, 멜론, 사과, 단감에 대한 현장적용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subacute oral toxicity of Dendropanax morbiferus H.Lév leaves hot-water extracts (DMWE) using male and female Spargue-Dawley rats. Rats were orally administered the DMWE at dose levels of 0, 250, 500, 1,000, and 2,000 mg/kg body weight (BW) for four weeks. For experimental period, clinical signs and the number of deaths were examined, and feed intake and BW of all experimental animals were measured once a week for four weeks.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all rats, and all animals were euthanized and autopsies were performed to collect major organs. No dead animals were found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In addition, no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control and DMWE-treated groups in feed intakes, BW changes, organ weights, clinical signs, hematological parameters, and serum biochemical paramet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evidence that oral administration of DMWE at the dose of 2,000 mg/kg BW is safe in rats and may not exert severe toxic effects.
In this study, the acute toxicity of Dendropanax morbiferus H.Lév leaf hot-water extracts (DMWE) was examined in male and female ICR mice. Mice were orally administered the DMWE at dose levels of 0, 250, 500, 1,000 and 2,000 mg/kg body weight (BW) for single-dose toxicity te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ange of BW between control and all DMWE treated-groups. In hematological and blood biochemical analysis, none of the parameters were affected by the DMWE. Similarly,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s on markers for liver and kidney functions in all DMWE treated-groups. Since there were no adverse effects of the DMWE in single oral toxicity tests, even at the highest doses, it was concluded that the lethal dose 50 (LD50) of DMWE is estimated at > 2,000 mg/kg BW.
Natural environmental resources are considered a prospective source of microorganisms capable of producing biocatalysts with great potential in industrial areas. Arable soil fertilized with peat moss is a habitat for various microorganisms. The present research focused on the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hydrolase-producing bacteria that thrive at a broad temperature range. In this study, a total of 33 strains were isolated from arable soil fertilized with peat moss (Silla Garden in Busan, South Korea). The isolated bacteria were mesophiles and thermophiles with a wide temperature range. Taxonomic identification showed that the isolated strains belonged to 2 phyla, 5 families, 10 genera, and 24 species. Subsequently, the isolated strains were screened for hydrolase (amylase, lipase, and protease) activity. All isolates possessed activity of at least one enzyme and six bacterial isolates produced combined extracellular enzymes. Diversity of soil bacteria species in the present study suggest the potential of soil bacteria in the various industrial applications.
Admirandus multicavus Belogurov and Belogurova, 1979, a new record of free-living marine nematode species belonging to family Oncholaimidae is reported based on the specimens collected from the intertidal sediments of Korea. Admirandus multicavus is characterized by the following unique characteristics: cephalic setae (1-2 μm long), spicules (71-126 μm long) and gubernaculum (15-31 μm long), midventral preanal supplementary organ, three glandular duct openings of the Demanian system, and stoma length measuring twice the widt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biogeograph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Admirandus species is presented. DIC (Differential interference contrast) photomicrographs of the species are also provided herein. This report represents the first taxonomic analysis of the genus Admirandus Belogurov and Belogurova, 1979 discovered from the Korean seawa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