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5

        1.
        202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에 축산물을 수출한 국가들이 2022년과 2023년 에 제출한 2019-2022년 국가별 잔류물질검사프로그램(NRP) 자료를 바탕으로 축산물 유형별, 국가별로 잔류허용기준 을 위반한 동물용의약품과 환경오염물질의 현황을 분석하 였다. 가장 많이 위반된 잔류물질은 네오마이신 2 4 1건, 페 니실린G 183건, 겐타마이신 151건, 세프티오퍼 113건, 니카 바진 103건 등이였고 축산물별로는 소고기, 돼지고기, 가 금육, 우유, 계란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잔류 위반이 가 장 많았던 소고기에서는 페니실린G, 세프티오퍼, 플루니신 , 네오마이신, 벤질페니실린, 멜록시캄, 플로르페니콜, 질 파테롤 등 전염병 치료에 사용되는 항생제와 해열제 및 성장 촉진에 사용되는 동물용의약품이 주로 검출되었지만 , 돼지고기에서는 성장촉진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락토파민 과 항생제인 독시사이클린, 클로람페니콜, 벤질페니실린, 난드롤론, 티오라실, 스트렙토마이신 및 임신 촉진에 사용 되는 호르몬이 가장 흔하게 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가 금육에서는 콕시듐증 치료에 사용되는 항생제인 니카바진 이 가장 많이 위반되었으며, 스트렙토마이신, 아미노글리 코사이드 항생제, 벤질페니실린, 독시사이클린 및 기타 항 생제가 그 뒤를 이었다. 동물용의약품의 잔류 위반은 많 은 국가에서 보고되고 있으나, 다이옥신과 PCB와 같은 환 경오염 물질의 잔류는 주로 유럽 국가에서 보고되었다. 국 가별 잔류물질의 차이는 각국에서 사육되는 가축과 사육 관리 방식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소고기의 잔류 수준이 높은 것은 소는 다른 동물에 비해 질병 발생 시 개체별로 치료되기 때문일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 결과는 수입 축산물의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국가별, 축산물별로 중점 적으로 검사가 필요한 물질을 제시함으로써 매년 실시하 는 수입 축산물 잔류물질검사를 보다 과학적이고 효율적 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였다.
        4,000원
        2.
        2024.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ggressive scaling of dynamic random-access memory capacitors has increased the need to maintain high capacitance despite the limited physical thickness of electrodes and dielectrics. This makes it essential to use high-k dielectric materials. TiO2 has a large dielectric constant, ranging from 30~75 in the anatase phase to 90~170 in rutile phase. However, it has significant leakage current due to low energy barriers for electron conduction, which is a critical drawback. Suppressing the leakage current while scaling to achieve an equivalent oxide thickness (EOT) below 0.5 nm is necessary to control the influence of interlayers on capacitor performance. For this, Pt and Ru, with their high work function, can be used instead of a conventional TiN substrate to increase the Schottky barrier height. Additionally, forming rutile-TiO2 on RuO2 with excellent lattice compatibility by epitaxial growth can minimize leakage current. Furthermore, plasma-enhanced atomic layer deposition (PEALD) can be used to deposit a uniform thin film with high density and low defects at low temperatures, to reduce the impact of interfacial reactions on electrical properties at high temperatures. In this study, TiO2 was deposited using PEALD, using substrates of Pt and Ru treated with rapid thermal annealing at 500 and 600 °C, to compare structural, chemical,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with reference to a TiN substrate. As a result, leakage current was suppressed to around 10-6 A/cm2 at 1 V, and an EOT at the 0.5 nm level was achieved.
        4,000원
        4.
        202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asparaginase (ASNase) is a therapeutic enzyme used to treat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Currently, the most widely used ASNases are originated from bacteria. However, owing to the adverse effects of bacterial ASNases, new resources for ASNase production should be explored. Fungal enzymes are considered efficient and compatible resources of natural products for diverse applications. In particular, fungal species belonging to the genus Trichoderma are well-known producers of several commercial enzymes including cellulase, chitinase, and xylanase. However, enzyme production by marine-derived Trichoderma spp. remains to be elucidated. While screening for extracellular ASNase-producing fungi from marine environments, we found four strains showing extracellular ASNase activity. Based on the morphological and phylogenetic analyses using sequences of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1-alpha (tef1α), the Trichoderma isolates were identified as T. afroharzianum, T. asperellem, T. citrinoviride, and Trichoderma sp. 1. All four strains showed different ASNase activities depending on the carbon sources. T. asperellem MABIK FU00000795 showed the highest ASNase value with lactose as a carbon source. Based on our findings, we propose that marine-derived Trichoderma spp. are potential candidates for novel ASNase production.
        4,000원
        14.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omordica charantia is therophyte vine plants. It is called natural insulin and contains carantine and vitamin C and so on. Momordica charantia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subtropical crops as a functional crop, showing efficacy on improvement of diabetes, cancer, abdominal obesity and improvement of hypertension. According to climate change, Momordica charantia is growing cultivation area, but there is still insufficient research for insect pest occurrence and insecticides. Due to the lack of proper control measures, the damage caused by insect pests is increasing as the year goes b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occurrence and damage of insect pests in Momordica charantia and utilize it as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insect pest control technology. As a result, 5 orders of 13 species of insect pests were investicated. Among them, Aphis gossypii, Frankliniella intonsa, and Frankliniella occidentalis showed high density. In particular, Aphis gossypii showed the highest density in mid-May, also Frankliniella intonsa and Frankliniella occidentalis showed high density in the middle of June. The leaf damage caused by the larvae of Palpita indica was observed in late June. After mid July, the biginning of the high temperature period, the insect pest density decreased, but the damages caused by moths were severe.
        17.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잔디에 있어서 낮은 형질전환 효율의 직접적인 원인 중 에 하나인 낮은 캘러스 유도율과 식물체 재분화율을 개선 시키기 위하여 잔디 완숙종자의 전처리의 효과를 비교해 보았다. 살균한 잔디종자에 swelling 처리를 10분간 실시한 후, sea sand를 이용 하여 sea sand와 종자의 비율을 1:1로 한 다음, shaking 처리는 vortex speed 6 (1,000 rpm)에서 처 리시간은 10분간 전처리를 실시하였을 때 무처리구에 비해 2배 이상의 배양 효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sea sand로 전처 리한 잔디종자로부터 형성된 캘러스를 식물체 재분화 유도 배지에 치상했을 그 효율이 훨씬 더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연중 아무 때나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 잔디 완숙종자로부터 유도시킨 캘러스 세포를 이용하여 Agrobacterium으로 형질전환하는데 있어서 그 효 율을 향상 시키는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추측된다.
        4,000원
        18.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조경수의 우량한 묘목 생산과 굴취비용의 절감을 위해 지상․지중 용기재배가 종가시나무 4 년생 묘목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플라스틱 용기(상부 Ø19 × 하부 Ø13 × 높이 20㎝)로 묘목을 이식하여 활착시킨 후 묘포에 지중과 지상에 배치하였다. 시험구는 단일용기와 60g 부직포를 혼용한 2가지 처리구로 구분하였으며, A-type(노지묘: 대조구), B-type(지면용기), C-type(지면부직포용기), D-type(지중용기), E-type(지중부직포용기)로 배치하였다. 처리구별 묘목의 상대생장률을 측정한 결과 간장 10.96㎝, 근원경 0.06㎜로 D-type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생장을 보였 다(p<0.05). 건물생산량은 D-type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묘목 품질지수 또한 D-type 처리구에 서 유의성이 높게 나타나 생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p<0.05). 뿌리형태 특성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뿌리길이, 직경, 용적이 D-type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실험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지중용기 처리구에서 묘목의 품질이 우수하였으며, 지중용기 재배에 따른 굴취비용 절감이 예상 됨으로 종가시나무 4년생 생산에 적합한 재배방법으로 판단된다.
        4,000원
        19.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반추동물의 조사료 자원으로서 거대억새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우리나라에서 새롭게 개발된 품종인 거대억새 1호를 완숙기 이후에 채취하여 in vitro 반추위 발효를 이용해반추위내 pH, 암모니아태 질소, 가스발생량, 휘발성 지방산 생성량 및 건물소화율을 조사하였으며,볏짚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거대억새는 볏짚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반추위내 pH를 나타내었다(p<0.01). 암모니아태 질소의 경우 배양 12시간 이후에는 두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p>0.05). 배양 6시간 이후 부터는 거대억새의 가스발생량이 볏짚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p<0.05). 휘발성 지방산 생성량에 있어 acetate, propionate, butyrate, valerate 및 총생상량에서 볏짚이 거대억새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iso-butyrate와 iso-valerate에서는 두 조사료원별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건물소화율에 있어 배양 12~24시간 사이의 거대억새 소화율이 볏짚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거대억새의 이용성은 볏짚의 약 80%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0.
        200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arly diagnosis of bovine pregnancy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successful reproductive planning on farms, because lack of bovine pregnancy over the long term results in reproductive failure and low milk yield‐the latter of which is a special concern on dairy farm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early pregnancy‐specific whey proteins in bovine, by comparing milk samples collected from cattle during pregnancy (Days 30 and 50) and from non‐pregnant cattle. In this study, differentially expressed proteins in five pregnant and five non‐pregnant Holstein dairy cattle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using proteomics analysis. The first dimension was applied to a pH 3.0~10.0 strip, by loading a 2‐mg milk protein sample. After the second‐dimension separation was performed, the gels were stained with colloidal Coomassie brilliant blue. The stained gels were scanned and the images were analyzed, to detect variations in protein spots between non‐pregnant and pregnant cattle milk protein spots, using ImageMaster; this was followed by analysis with MALDI TOF‐MS. Analysis of the 2‐DE gel image resulted in a total of approximately 500~600 protein spots, of which 12 spots were differentially expressed, six spots were up‐regulated, and four spots were downregulated; two spots were identified as pregnancy‐specific proteins. These proteins were identified as lactoferrin, NADH dehydrogenase subunit 2, albumin, serum albumin precursor and transferrin. Our results via 2‐D PAGE analysis revealed composite profiles of several milk proteins related to early bovine pregnancy, implying the possible use of these milk proteins in the early detection of bovine pregnancy.
        4,0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