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50

        182.
        200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일한 물성을 가지는 포장이라도 포장의 구조적인 형상에 따라 역해석 결과가 다르게 나타난다. 본 논문에서는, 구조적인 형상을 고정하고 동적 하중을 모사하는 3차원 유한요소모델을 만들어 얻어진 최대 처짐과 AREA의 분포를 통해서 물성을 추정하는 수정된 AREA 도표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도표를 이용하여 단일 무한 슬래브에 대한 민감도 분석 결과 노상의 깊이가 질어지면 처짐과 AREA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4.0m이상에서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층별 물성과 노상 깊이가 같은 경우 단일 무한 슬래브 모델과 다중 유한 슬래브 모델을 비교하는 경우 다중 유한 슬래브 모델의 처짐과 AREA가 더 크게 나타났다.
        4,000원
        183.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설계와 해석을 거쳐 인발성형으로 제작된 중공단면 복합소재 교량 바닥판에 대해 휨 성능시험, 바닥판-거더 연결부시험, 바닥판-방호벽 연결부시험 등을 통해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휨시험체에 지간 중앙에 변위계와 상 하부판의 주요부에 변형률계를 부착하여 파괴하중 재하시까지 거동을 계측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휨시험체에 대한 유한요소해석도 실시하여 시험결과와 비교분석하였으며, 휨에 대한 극한 내하력을 추정하였다. 또한, 시범시공된 복합소재 바닥판 플레이트 거더 교량에 대한 현장 재하시험결과와 현장적용사례를 기술하였다.
        4,200원
        185.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의 목적은 Falling Weight Deflectometer 처짐값을 이용하여 아스팔트 포장체의 구조적 상태 평가기법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포장체 각 층의 구조적 상태 평가기준을 제시함에 있다. 유한요소해석 아스팔트 포장체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가상적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포장체의 표면처짐값과 포장체 내부반응과의 상관관계를 도출하였다. FWD 처짐값과 포장체 두께를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포장체 내부반응을 계산할 수 있는 아스팔트 포장체의 내부반응 모델을 통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개발하였다. 개발된 반응모델을 토대로 아스팔트 포장체 각 층의 구조적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절차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평가 절차를 검증하기 위하여 국도 11개와 지방도 8개 노선에서 FWD와 동적관입시험을 수행하였으며, 현장에서 채취한 코어는 아스팔트 시편의 삼축압축반복재하시험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아스팔트층의 경우 아스팔트층 하부의 인장변형률값과 회복탄성계수값이 아스팔트 층의 강성 특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인자로 판단되었다. 보조기층에서는 BDI값과 보조기층 상부의 압축변형률이 보조기층의 지지력 평가에 적합하였으며, 하부층의 경우 BCI값과 하부층 상부의 압축변형률값이 노상토의 지지력 및 상태를 판단하는데 적절한 인자로 선정되었다. 아스팔트층과 보조기층은 3단계, 하부층은 2단계로 구분하여 아스팔트 포장체의 구조적 상태를 평가 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였다.
        4,000원
        187.
        2006.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형처분시스템에 이용될 가압경수로형 사용후핵연료를 위한 KDC-1 처분용기를 개발하였다. 처분용기 안전성 평가의 일환으로서 처분용기에 대한 구조적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처분용기의 구조적 안전성은 처분조건과 취급조건 2가지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처분조건에서는 3가지 하중 조건, 정상하중 조건, 비정상 하중 조건, 암반의 움직임을 고려하였다. 처분조건에서 평가 결과 3가지 조건에 대해 모두 안전계수가 설계기준보다 컸다. 취급조건에서는 처분용기 취급 중 구조해석과 처분용기 낙하 사고시 구조해석을 수행하였다. 취급장비 고장 시나리오 평가결과 1개 혹은 2개의 취급 장치가 고장을 일으켰을 때도 취급장비를 계속 운전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처분용기 낙하 시나리오에서는 계산결과 최대 응력은 0.762 MPa 이었으며, 이 값은 주철의 항복응력과 비교하면 거의 무시할 수 있는 값이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KDC-1 처분용기에 대한 처분조건 및 취급조건에서의 구조해석 결과, 한국형처분시스템에서 고려하고 있는 조건에서 그 구조적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4,000원
        188.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다국적기업의 지속적 성장을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서 글로벌 조직학습 모델을 제시하였다. 다국적기업이론으로서 기존의 독점적우위론이나 입지우위론이 다국적기업의 동기나 생성을 설명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면, 글로벌 조직학습이론은 다국적기업의 지속적 성장을 설명하는 이론으로 볼 수 있다. 다국적기업의 경우 지식, 자원, 능력 등의 기업특유우위를 소유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글로벌 경쟁에서 지속적 우위를 유지해나기 위해서는 이들 특유우위를 기업 내부적으로 얼마나 공유하고 학습하는 것도 또한 중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다국적기업의 글로벌 조직학습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조건의 규명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국적기업의 글로벌 조직학습 몰입을 모회사와 자회사들이 얼마나 다양한 경로를 통해 얼마나 체계적이고 빈번히 명시적 및 암묵적 지식을 글로벌 차원에서 학습하는 가로 정의하였는데, 그 몰입 수준은 다국적기업에 따라 차이를 보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국적기업의 글로벌 조직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조건으로 (1) 산업특유조건 (2) 기업특유조건 (3) 현지국특유조건 (4) 현지자회사특유조건 등 크게 네 범주로 구분하였다. 요컨대 구조적 조건에 따라 글로벌 조직학습 몰입도가 결정된다는 관점이다. 다국적기업은 구조적 조건 외에도 글로벌 경쟁에서의 글로벌 조직학습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글로벌 조직학습을 촉진시킬 수 있는 실행적 조건, 즉 글로벌정보공유 또는 지식관리 시스템 구축, 순환근무제 도입, 그리고 동기부여 측면에서 보상 및 인센티브 제공 등의 제도적 장치 마련 등을 병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5,700원
        189.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파 해석에 있어서 공간-시간 분할 개념을 도입하여 켈러킨 방법으로 해석하였다. 공간-시간 유한요소법은 오직 공간에 대해서만 분할하는 일반적인 유한요소법보다 간편하다. 비교적 큰 시간간격에 대해서 공간과 시간을 동시에 분할하는 방법을 제시하며 가중잔차법이 공간-시간 영역에서 유한요소 정식화에 이용되었다. 큰 시간 간격으로 인하여 문제의 해가 발산하는 경우가 동적인 문제에서 흔히 발생한다. 이러한 결점을 보완한 사각형 공간-시간 요소를 취하여 문제를 해석하고 해의 안정에 대해 기술하였다. 다수의 수치해석을 통하여 이 방법이 효과적 임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90.
        2006.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원자력연구소에서는 현재 사용후핵연료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차세대관리 종합공정의 실증용 핫셀을 건설중에 있다. 이 핫셀에서 모든 물품의 반출입은 후면 차폐문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차폐문의 사용빈도가 매우 크며, 따라서 후면 차폐문의 구조적 안전성 유지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핫셀의 후면 차폐문에 대한 구조적 안전성을 유한요소 해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후면 차폐문을 닫을 때 벽면의 차폐문틀과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구조적 변형 에 대한 안전성 평가를 위해 이 상황을 충돌-접촉 문제로 가정하고 동적 해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충돌시 반력에의한 후면 차폐문의 전도 가능성 및 이동중 갑작스럽게 정지할 경우 관성에 의한 전도 가능성에 대해서도 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 결과를 통해 차폐문과 차폐문틀 모두 충돌에 의한 구조적 변형에 대해 충분히 안전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여러 사고 조건에 대해서도 후면 차폐문의 전도가 일어나지 않고 안정성을 유지함을 보였다.
        4,000원
        191.
        2006.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원자력연구소에서는 현재 사용후핵연료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차세대관리 종합공정 (ACP)의 실증용 핫셀을 건설중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핫셀 내부의 리어도어(rear door)와 만나는 부분에 설치될 작업대(working table)의 구조적 안전성을 유한요소 해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이 부분의 작업대는 물품들의 반출입을 위해 개폐식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다른 작업대에 비해 지지 부위가 적으므로 구조적 안전성 평가가 반드시 필요하다. 핫셀을 가동할 때 작업대 위에 공정 장치들을 반입하거나 핫셀 크레인을 사용해 적재하게 되므로, 안전성 평가를 위해 정적 구조 해석과 동적 구조 해석들 함께 수행하였다. 해석 결과를 통해 두 경우 모두에 대해 개폐형 작업대가 구조적으로 충분히 안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50 cm 낙하 충돌의 경우에도 작업대의 파손이나 붕괴가 일어나지 않고 안전성이 유지되었다.
        4,000원
        197.
        200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 royal palaces are currently remained from capital city (Seoul) of 'Cho-Sun(朝鮮)' period. In these palaces, 'Main hall of Royal Palace(正殿)' is the center of the Royal Palaces. The 'Main hall of Royal Palace' of the Royal Palace was the best building of that time. Therefore there were many studies about the 'Main hall of Royal Palace'. But these studies were individual studies of these 'Main hall of Royal Palace'. Therefore,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compare 4 'Main hall of Royal Palace' of the Royal palaces. It is to study the proportion regarding the Diameter of the pillar, the Height, the pillar and pillar Interval's Distance, and the arrangement of 'Kong-Po(bracket sets)'. With these studies, it is to prove that the 'Main hall of Royal Palace' is the building which high construction technique of this time is expressed.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s; First, the proportion of pillar height(H) to its diameter(D) average from H=8.0 to 8.5D. Only the Myeong-Jeong-Jeon omitted the 'Go-Ju(高柱)' in the 'Toi-Kan (退間)' to place Ea-Jwa(御座). Second, Second, the proportion of diameter of the pillar of 'Eoi-Bu-Pyeong-Ju(外部平柱)' and 'Nae-Jin-Go-Ju(內陣高柱)' average D1(Diameter of 'Eoi-Bu-Pyeong-Ju') =0.91D2 (Diameter of 'Nae-Jin-Go-Ju'). In regards to the height, the single floor 'Main hall of Royal Palace' and double floor 'Main hall of Royal Palace' seems to be different. The height proportion of the double floor 'Main hall of royal palace' is H1(Height of 'Eoi-Bu-Pyeong-Ju')=0.34H2(Height of 'Nae-Jin-Go-Ju') and single floor 'Main hall of Royal Palace' has a proportion of H1=0.62H2. Third, in Geun-Jeong-Jeon, with the proportion of height and diameter of the pillar, interval's distance between pillars and diameter, the pillar interval distance and height, of 'Ea-kan(御間)' from the 'Toi-Kan' is different from 'Main hall of Royal Palace'. This is because the structure of 'Toi-Kan' of Geun-Jeong-Jeon is not stable. In order to reinforce this, 'Gui-Go-Ju(隅高柱)' of the Geun-Jeong-Jeon jut out $4{\sim}7%$ more compared to In-Jeong-Jeon. Fourth, when comparing double floor 'Main hall of royal palace' of Geun-Jeong-Jeon and In-Jeong-Jeon, based on distance of 'Eoi-Bu-Pyeong-Ju' and 'Nae-Jin-Go-Ju' of lower level, the 'Sang-Bu-Pyeong-Ju(上部平柱)' of Geun-Jeong-Jeon jut out $4{\sim}7%$ more compared to the In-Jeong-Jeon and also It becomes thicker. Fifth, the arrangement of 'Kong-Po' on the front row of 'Gan(間)' had to do with the change of side 'Gan'. Even though the Geun-Jeong-Jeon and the In-Jeong-Jeon were double floors, the arrangement of the 'Kong-Po' is different because the number of side bay is different.
        5,100원
        200.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CNTs) were prepared by microwave plasma chemical vapor deposition (MPCVD) using various combination of binary catalysts and methane precursor. The maximum yield (10.3 %) of CNTs was obtained using a methane-hydrogen-nitrogen mixture with volume ratio of 1:1:2 at 1000 W of microwave power. As the microwave power increased up to 1000 W, the deposition yield of CNTs raised from 4.1 % to 10. 3 %. However, the prepared CNTs at 800 W showed the more crystalline structure than those prepared at 1000 W. The prepared CNTs over different binary catalysts had various structural conformations such as aligned cylinder, bamboo, and nanofibers. The Id/Ig value of CNTs overFe-Fe/Al2O3, Co-Co/Al2O3, and Co-Cu/Al2O3 were in the range of 0.89~0.93. Among the various binary catalysts used, Fe-Co./Al2O3 showed the highest yield.
        4,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