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5

        181.
        2015.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압축강도 24MPa 이상 열전도율이 기존 콘크리트보다 2배 감소된 구조용 단열성능 향상 콘크리트를 개발하고 현장적용 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슬럼프 및 공기량 시험결과 Plain과 규조토 미분말을 사용한 배합은 경과시간에 따라 슬럼프와 공기량 저하 가 나타났으며, 마이크로기포제를 사용한 배합은 슬럼프와 공기량 저하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단열성능 향상 재료를 사용한 배합의 단위 용적질량은 Plain 대비 감소하였다. 압축강도는 단열성능 향상 콘크리트가 Plain보다 감소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목표강도 24MPa를 만족 하였으며, 열전도율은 Plain보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단열성능 향상 콘크리트의 동결융해 저항성은 Plain과 유사하였고, 중성화 저항 성은 규조토 미분말을 사용한 배합이 재령 4주에 Plain과 유사했으며, 마이크로기포제를 사용한 배합은 Plain보다 중성화 저항성이 저하되 었고, 길이변화율은 Plain보다 전체적으로 증가되었다.
        182.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durability evaluation method of concrete structures was introduced. It is divided into two parts, one is aging environment, and the other is aging development evaluation which including time factor. This method will be helpful to estimate the synthetic durability of the SOC facilities.
        183.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the study of th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of the natural durability enhancement materials that can reduce cracking of the concrete. The durability enhancement materials of natural were substituted 10%, 20%, 30% of cement, the results were confirmed excellent strength as the more increasing the natural durability enhancement.
        184.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research, We carried out compressive, chloride ion penetration and scaling, freezing-thawing test. These test will evaluate the durability of Waste Glass Powder(WG) and Sludge(WGS) concrete. In result, the compressive strength of containing WG, WGS increased rather than OPC in age 90 days. Also, resistance of chloride ion penetration and scaling, freezing-thawing confirmed excellent rather than OPC.
        185.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dustrial by-products in combination with FA, BS was excellent compressive strength, chloride penetration resistance by OPC 60(W/C 60%)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The most effective periods were BS 28 days and FA 56 days.
        186.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s the study of the chlorine ion penetration resistance of the study of the natural durability enhancement materials that can reduce cracking of the concrete. The durability enhancement materials of natural were substituted 10%, 20%, 30% of cement, the results were confirmed excellent chlorine ion penetration resistance as the more increasing the natural durability enhancement.
        187.
        2015.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portable device which calculate and analysis the SOC structure data. This device can be used to estimate the building prior to install the sensing system. This sensing tools can help the system engineers to analyze the large SOC structure’s responses.
        188.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대의 이상기후변화에 따른 국지성 집중호우로 도심 침수피해가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중소하천변이나 저지대 지역에서는 심각한 홍수재해로 확대되어 많은 인명피해와 도시 인프라의 손실을 가져오고 있다. 지역개발 사업에 의한 도시화로 인하여 녹지공간이 줄고 시가지 택지·도시건축물 건설과 차도·보도포장 조성은 불투수층 비율을 높여, 이로 인해 호우시 지표유출량과 첨두유량이 현저하게 증가한다. 도시개발 전에 비하여 개발 후 도시유역 수리수문특성이 변화하고 내수 침수 위험이 증가되므로, 도심지표유출을 저감하기 위하여 최근 국내에는 LID(Low impact development, 저영향개발)기반의 빗물침투형 도로교통시설 요소기술로 투수성·배수성 포장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투수성 포장형식은 임의의 배합설계에 따라 바인더 함량이 적고 주로 불량입도(Poor graded) 조골재로 구성되는 다공성 포장 재료를 사용하므로, 변형성 또는 강도특성 측면에서 재료 내구성이 저하되어 포장층의 균열, 변형, 탈락 또는 침하 현상 등이 일어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투수성포장내 표층 또는 기층부에 보강그리드를 설치함으로써 포장구조체의 내구성능을 개선하면서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포장구조체를 제시하였고 실내 실험을 통하여 성능을 평가하였다. 실험 및 분석결과, 투수성 포장층에서 요구되는 1.0×10-2cm/sec 이상의 투수성능을 확보하면서 포장구조체내 보강그리드 적용으로 10%이상의 강성 증가를 확인하여 포장체 내구성능 개선효과를 확인하였다.
        189.
        2015.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건축물의 대표적인 구조는 철근콘크리트조와 철골조를 들 수 있으며, 이때 철골조는 화재발생시 철골이 고온에 노출되면 내력저하 현상이 발생하여 내화피복을 의무화하고 있다. 내화피복재는 내화뿜칠재와 내화도료로 크게 분류되며, 국내의 고층 건축물에서는 주로 내화뿜칠재를 사용하고 있으며, 국가에서 운영하는 내화구조인정제도에 의해 내화뿜칠재의 내화성능에 대한 인정 취득 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내화구조 인정제도는 제품의 초기성능 평가에 중점을 두고 있어 내화뿜칠재의 장기적인 내구성에 대한 검토가 요구되어 왔으며, 미국의 세계무역센터 붕괴 최종보고서에서도 내구성 검토를 언급함에 따라 미국, 유럽 등에서는 2000년대 중반부터 내화뿜칠재에 대한 내구성 평가방법을 제정 및 사용하고 있는 반면 국내에서는 적절한 대응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내화뿜칠재의 90%이상이 업무용시설의 천장내에 시공되는 등 주로 옥내에서 사용되는 점에 착안하여 다양한 조건의 내구성 평가방법에 앞서 국내의 옥내 환경조건에 대응한 내화뿜칠재의 촉진내구성 평가방법을 정립하여 내화뿜칠재의 내구성 평가 및 기술개발에 활용함으로써 내구성 관련 기술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190.
        2015.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by the occurrence of carbon dioxide are recognized as a critical issue throughout the world. As a result, a measure for the use of cement and improvement of its quality must be sought out. In order to reduce the occurrence of carbon dioxide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cement, this study creates an alkali-activated slag cement that utilizes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an industrial by-product, and substitutes metakaolin as an alternative for silica fume to improve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high-strength concrete and its quality. The study discerns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by measuring the flexibility and compressive strength through the mortar matrix and discerns the durability by conducting an acid resistance test and chloride ion penetration resistance test. Also, the study discerns the hydration products through an XRD test. Based on the results of such tests, it is anticipated that it may be used as a secondary product for concrete or buildings that require superior long-term strength and durability compared to regular Portland cement. However, as no clear results were found in this study regarding the substitution of metakaolin, it displayed mixed results in comparison to previous studies. Nevertheless, it is expected that metakaolin will become a more superior admixture if its issues are improved through continuous research studies.
        191.
        2014.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고는 동절기 이후 무근 콘크리트의 상부에서 쉽게 발생하는 스케일링 현상에 주목하여 무근 콘크리트의 동해 발생원인을 고찰하고, 이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기존문헌조사를 통하여 1) 강도향상, 2) 진공배수공법 적용, 3) 흡수방지재 시공의 방법을 선정하였다. 그 후 각 방법의 동결융해저항성 향상 평가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위하여 동결융해 시험을 통한 상대동탄성계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1), 2)번의 경우 동탄성계수가 약 15% 향상, 3)의 경우 강도에 따라 7~13%향상됨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의 방법 모두 무근 콘크리트의 동결융해 저항성 향상에 유효한 방법으로 판단되며, 이를 통해 무근콘크리트의 빈번히 발생하는 품질저하 및 이로인한 유지보수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192.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고속철 PSC 교량 마찰받침의 내구성 평가를 위하여 해당국내 기준의 미비로 DIN EN 1337-2 과 CUAP 기준을 적용하여 마찰판의 5000 m 이동거리에 대한 마찰 시험을 수행하였다. 적용온도와 이동속도에 따라 마찰계수를 계측하고 기준에서 요구된 상한 한계와 비교하여 고속 주행으로 발생하는 증가된 이동거리에 대한 적합한 내구성 평가기준과 실험방법을 개발하고자한다.
        193.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specifications and to make database for the construction of sea pools. Sea pools are faced with sea water including salts, so it will be used that high strength concrete, reinforced high strength and urethane for its construction. 3D-analysis by SAP2000 software is required for designing of sea pools in order to confirm its degradation of the concrete durability. This results show that the strength of concrete of 40MPa is the most suitable and 3m wave is more advantageous than that of 4m.
        194.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preading time of waste cooking oil (WCO) on durability of high volume blast furnace slag concrete. Carbonation and resistance to chloride attack were measured according to spreading time of WCO. WCO was spreaded on the surface of the concrete with different curing condition after demolding. Blast furnace slag with 60% was incorporated into concrete with 45% of W/B. Test results indicated that carbonation and penetration resistance of chloride attack had favorable results with the condition of 28days water curing and spreading WCO.
        195.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quantify the effect of chloride content on surface electrical resistivity measurement of concrete. It was obvious that chloride content had influenced the resistivity of concrete and the relationship showed a linear function. That is, concrete with chloride ions had a comparatively lower resistivity. Decreasing rate of resistivity of concrete was clear at early time, however, after 50 days resistivity was constant irrespective of chloride concentration. Conclusively, this paper suggested the quantitive solution to depict the electrical resistivity of concrete with chloride content.
        196.
        2014.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urability and structural safety of steel structure are severely affected by corrosion caused by deicer material as well as by airborne chlorides in the marine environment. In this study, based on analysis of current status it is suggested that deterioration and durability reduction by the environmental factor such as chlorides should be more reasonably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the accurate inspection and condition evaluation of steel structures.
        197.
        2014.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서울지역 28개 지하구조물에 대한 정밀안전진단 결과를 활용하여 제안된 균열집중구간 및 탄산화 기반 한계상태함수를 산정하여 우선적인 보수구간을 선별하고자 하였다. 상태평가를 위해 분할된 503개 쉬트에 대한 균열밀도는 로그정규분포, 탄산화 및 피복은 정규분포의 현장조사 결과를 얻었다. 각 구간별 실시한 강도, 초음파속도, CO2농도, 철근부식도, 염화물함유량 등을 고려할 수 있도록 환경지수를 도입하여 합리적인 보수 우선순위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198.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durability of Latex modified concrete(LMC) is increased when compared with conventional pavement concrete. But LMC have a several problems. In odrer to improve the problem of LMC, Remicon latex modified concrete(Remicon LMC) was developed. In this study, the durability of Remcion LMC containing extra admixture was compared with latex ratio. From the results, when latex and admixture was mixed in concrete, the micro-pores are decreased. And, the durability of Remicon LMC is increased comparing to conventional concrete.
        199.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research, Crushed-stone sludge obtained from production processing of crushed aggregates were recycled to manufacture artificial aggregate. Compressive strength , Elastic modulus, Splitting strength, Flexural strength and freeze/thaw, Carbonation test were conducted for artificial aggregate concrete. The results showed that compressive strength and freeze/thaw and depth of carbonation resistance of concrete using crushed-stone sludge aggregate were higher than those of concrete using normal crushed stone. but elastic modulus, splitting and flexural strength were lower than those of concrete using normal crushed-stone
        200.
        2014.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and quantify the effect of carbonation of concrete on a surface electrical resistivity measurement. Samples of three mixes with difference W/C ratios were prepared and exposed in a carbonation chamber for up to 330 days. The results show that carbonation leads high electrical resistivity. The increase is substantial and has been shown to proportional to the extent of the carbonation by some of extent. The relationship between electrical resistivity and carbonation depth is taken in the study. Resistivity ratio of carbonated concrete to air concrete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the specific carbonation depth, however, Resistivity ratio of carbonated concrete to air concrete had a linear relation with carbonation dep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