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03

        181.
        2010.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송이다듬기는 포도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송이의 크기를 조절하고 송이모양을 변형시키는 유용한 재배방법이다. 포도 'MBA' 품종의 송이다듬기에 따른 과실 및 포도주의 품질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송이줄기의 곁가지를 제거하였는데, 상위지경부터 4, 5, 6지경을 남기고 절단 한 뒤 관행처리 대조구와 비교하여 수확기에 과방 및 와인의 품질을 조사하였다. 포도송이의 품질은 지경수가 작을수록 당도가 증가하고 총산이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포도주의 양조
        182.
        2010.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배의 저장성 향상 방법 구명 측면에서 수확한 화산 배에 16시간 동안 1-MCP 처리(0, 0.5, 1.5 ppm) 후 상온()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저장전과 저장 8주 후의 과피 색도는 Hunter L, a 및 b값 모두 1-MCP 1.5 ppm 처리구에서 변화가 가장 적었다. 관능평가 값은 1-MCP 0 ppm 처리구는 4주째까지, 0.5 ppm 처리구는 6주째 까지, 1.5 ppm 처리구는 7주째까지 좋다 이상의 수준으로
        183.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weet pepper inbred lines (KNU1003, KNU1006, KNU1007, KNU1009, KNU1015, KNU1017 and KNU2006) developed at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NU) through conventional means, inbred lines (5AVS1, 5AVS2, 5AVS3, 5AVS5, 5AVS7 and 5AVS8) collected at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and inbred lines (SP12, SP27 and SP14) derived from anther culture were used as female parents and anther culture derived homozygous lines (SP9, SP10, SP14, SP24, SP25, SP27, SP30, SP32, SP34, SP38, SP43, SP45 and SP51) were used as male parents to produce F1 hybrids. A total of 37 F1 hybrids were evaluated for fruit yield and quality characters in summer season, 2007. Variation in fruit number, fruit weight, fruit yield per plant and fruit volume was observed among the F1 hybrids. Superiority on yield over standard/commercial varieties were differed among F1 hybrids. Hybrid 5AVS8 x SP45 exhibited highest heterosis over Special (16.5%) and Fiesta (24.7%). Fruit quality characters (fruit length, fruit width, pericarp thickness, total soluble solid, fruit shape and fruit color) were varied among the F1 hybrids. Fruit number, fruit weight and fruit volume per plant were correlated with fruit yield. Based on the standard heterosis expressed by the hybrids and quality characters evaluation, KNU1017 x SP27, 5AVS1 x SP43, 5AVS5 x SP27, 5AVS8 x SP45, SP12 x SP38 and SP27 x SP25 hybrids were found to be superior over commercial cultivars and are selected. Inbred lines of these hybrid combinations can be used to produce F1 hybrid seed for commercial production.
        184.
        2010.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기질 멀칭에 의해 배 '신고'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볏짚 멀칭은 엽중 칼륨, 마그네슘, 칼슘 함량을 높였지만 모두 적정농도 이하의 수준을 나타냈다. 과실의 경도는 참나무껍질에 의해 증가하였고 당도는 참나무껍질과 볏짚에 의해 증가하였다. 참나무 껍질은 가장 높은 당산비를 보였고 진한 붉은 계열의 과피색을 착색시켰다. 과실의 칼륨은 볏짚에서 칼슘은 참나무껍질에서 가장 높았으나, 두 무기성분간의 과실 내
        185.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s of applying levels of organic liquid fertilizer (OLF) on growth and fruit quality of hot pepper. The OLF was made with compositions of chicken dung : rice bran : soybean meal (2:1:1). Hot pepper was applied with 5 treatments; control (chemical fertilize), OLF-1.0X (standard applying levels), OLF-0.7X (70% of standard applying level), and OLF-1.3X (130% of standard applying level). The plant height was reduced at 23cm in the OLF-1.0X treatment compared to control of 293㎝. The number of hot pepper fruit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content of capsaicin in the ripened pepper decreased by 23.6% in the OLF-1.0X treatment with 253㎎ㆍ㎏⁻¹ compared with control of 331 ㎎ㆍ㎏⁻¹, but the content of free sugar increased by 19.5%. The content of capsaicin and soluble solid content in OLF-1.3X treatment were significant different with other treatments. The yield of red pepper in OLF-1.0X treatments increased by 15% with 4,190㎏ㆍ10a⁻¹ compared to control of 3,643㎏ㆍ10a⁻¹, and OLF-1.3X and OLF-0.7X treatments showed increase by 10% and 6%, respectively.
        186.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effect of girdling on the quality and harvest date of the 'Shigyoku' grapes. Among girdled vines, the interval from full bloom to harvest date was 77 days; this was as much as seven days shorter in vines receiving a 20% girdling treatment. With regards to fruit characteristic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cluster length, berry number, and berry weight in vines that received girdling treatments.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uster weight; 468.2 g, 491.6 g and 504.9 g in the control group, 10% girdling group, and 20% girdling group, respectively. Thus, the use of girdling treatments is an effective approach to increasing cluster weight by 5% in the 10% girdling treatment and 8% in the 20% girdling treatment. The 10% girdling treatm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titrable acidity; in fact, the overall titrable acidity was relatively high among all the girdling treatments. The concentration of anthocyanin increased in 20% girdling treatment,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thocyanin concentration among girdling treatments. Berry color developed rapidly in vines that received girdling treatment.
        187.
        2010.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비가열 신선 과채음료 6종에 대한 250~350 MPa 범위의 중고압 처리에 따른 미생물 개체수, 비타민 함량, 관능적 특성 변화 측면에서 권장 유통기간 3일 동안의 품질 안정성 확보 및 유통기간 연장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초기 미생물 개체수가 g당 이하로 유지되는 채소 및 과일 원료에 있어서 온도 , 습도 55~60% 가 유지되며, 낙하균과 부유균의 미생물이 각각 CFU/plate, 의 수준으로 관리되는 신선 음료 생산 현장의 경
        188.
        2010.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에 유기 재배된 과실이 관행재배와 비교해서 건강관련 물질과 관련된 화합물이 다량 분포된다는 연구와 주장이 제기되어 왔지만, 국내에서는 두 가지 재배방법에 따른 과실품질을 분석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유기농과 관행으로 재배 된 배 '신고'의 과실품질과 폴리페놀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처리는 키틴 복합퇴비+키틴 액비(구역 A), 키틴 복합퇴비+적외선으로 처리 된 키틴 액비(구역 B), 그리고 관행재배 시스템(구역 C와 D)으
        189.
        2010.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대추의 과실 모양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기호성이 우수한 제품을 만들기 위하여 우리나라 전통식품의 한 종류인 정과를 접목하고 여러 가지의 전처리 과정을 달리한 대추정과를 제조하고 대추정과의 제조과정 및 최종 제품의 품질특성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대추정과 제조시 중량의 변화는 당조림공정에서 증가를 보였고, 색도는 당조림공정 후 외부의 명도 L 값은 크게 변화를 보이지 않았지만 적색도(a)과 황색도(b)는 크게 낮아졌다. 수분함량은 건
        190.
        2009.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셀레늄(Se) 처리가 '원황' 배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과실의 색상과 과형은 처리 간에 차이가 없었다. 모든 Se처리는 과실 내 칼륨과 Se함량을 높였으며, 과실의 단맛을 높이고 신맛을 줄이는 결과를 나타냈다. 저온 저장 시 과실의 경도를 조사한 결과, 모든 Se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높은 과실경도를 유지했다. 또한 Se 처리구에서, 높은 과실 비중과 과육 내 치밀한 세포 조밀도를 나타내서, 배 과일의 상품성
        191.
        2009.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게르마늄(Ge) 처리 및 처리방법에 따른 배 '신고'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수확 6개월 후에 저온 저장된 과실을 분석한 결과 Ge처리에 의해서 배 '신고' 품종의 고유한 색깔을 나타내는 담황색을 많이 띄는 과실을 생산하였다. 과실의 형태나 무게는 Ge처리구와 대조구간에 유의성이 없었으며, Ge처리구는, 과실의 당산비를 높였다. 과실의 씹힙성을 저해하는 석세포 함량을 조사한 결과, 모든 Ge 처리구에서 대조구보
        192.
        2009.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관행, 저농약 및 유기농 재배한 참다래 과실의 저온저장 중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경도는 저장초기 심하게 감소한 다음 연화되는 경향을 보였는데 연화 속도는 유기농 과실에서 다소 빨랐다. 당도는 저장 중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산함량은 감소하였고, pH는 변화가 없었다. 환원당 함량은 전분함량이 감소하면서 저장초기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기농 과실은 저장 중 부패율이 관행재배나 저 농약재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병을 유기하는 병원
        193.
        2009.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관행재배구의 유기질 비료의 시용이 배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 1970년대부터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은 신고 품종 재배가 급증하기 시작하였고, 2002년 현재 전체 배 재배면적의 70%를 차지하고 있다. 추석이 빠를 경우 성숙이 덜된 과일을 수확하여 시장에 출하함으로서 품질이 좋지 않은 과일로 인하여 소비가 둔화되고 가격이 떨어져 동양배를 재배하고 있는 농가의 수입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험은 미생물이 들어있는 유기질비료
        194.
        2009.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관행재배 과원의 토양에 여러 유기질 퇴비를 시비하였을 경우 배 과실의 품질특성의 차이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8년생 신고배에 쌀겨퇴비, 커피박퇴비, 키친퇴비(미생물지킴이(R)) 및 위의 3종 유기질 비료 복합 처리구를 배치하고 주당 10 kg 을 시비하였고, 대조구는 화학비료를 주당 60 g 시비하였다. 과실당도나 경도, 산도에서는 복합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높았고 석세포 함량은 모든 유기질 비료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낮았다. 과피와 과육에서의 D
        195.
        2008.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라봉감귤의 Si+CaO 혼합필름포장과 LDPE 필름포장에 따른 저장 중에 품질변화를 검토하였다. 과육율은 포장처리와 무처리에서 로 저장기간에 따른 한라봉과 M16A의 과육율의 변화가 없었으며, 무처리에서 저장 후기 약간의 증가를 보였다. 경도는 M16A가 한라봉보다 100 g-force 정도 높은 값을 보였으며, 포장재처리에 따른 큰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 가용성고형물은 한라봉과 M16A 모두 Brix였으며, 무포장처리에서 저장 후기에 약간의
        196.
        2006.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청과물의 품질 영양표시 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경북의성군 옥자두를 대상으로 품질 및 영양적 성분을 분석하고 품질 영양표시 모델을 확립하였다. 일반성분은 수분 92%, 조단백 0.74%, 조지방 0.64%, 조섬유 1.65%, 조회분 0.32%, 무질소물 4.29%로 확인되었으며, 열량은 32kcal/100g 으로 계산되었다. 당도는 로, 산도는 로 나타났으며, 자두의 비타민 C 함량은 로 나타났다. 무기질은 황, 칼륨, 칼슘, 나트륨, 마그네슘
        197.
        2006.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딸기를 와 의 용액에 각각 15분간 침지시킨 후, PE film (0.011mm)으로 포장한 군과 포장하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에 저장하였다. 그리고 , 용액에 침지시키지 않고 PE film(0.011mm)으로 포장한 군과 포장하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에 저장하였다. 용액에 침지시킨 후 포장한 처리구에서 부패율은 낮고 경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비타민 C함량이 높았고 외관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처리군에 비해 pH가 낮고 산도
        199.
        1999.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A저장에 적합한 떫은감 품종을 선발하기 위해 청도반시, 사곡시, 고종시, 봉옥시 4품종을 공시하여 농도를 12, 16%로 하였으며 농도는 같이 3%로 하여서 약 160일간 저장하여 품질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거의 변화가 없거나 감소하였으며, 청도반시, 사곡시, 고종시는 12%, 16% 모두 일반 저온저장고와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봉옥시는 고농도의 로 가용성 고형분의 감소가 현저하였다.
        200.
        1998.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microbiological quality chanties were investigated on mixed fruit and vegetable juices (apple, carrot and cucumber) stored at 4 without pasteurization(NT), with light piasteurization (LP; 66, 10 sec) and with full pasteurization(FP; 90, 60 sec). Effects of ultrafiltration (UF) on the changes during storage were also examined. pH, viscosity, a-value and b-value remained relatively constant and all samples revealed Newtonian characterisitics. Total acidity and turbidity tended to increase slightly; however, total vitamin C content and L-value slowly decreased during storage up to about 2 months. During the first 4 weeks storage, soluble solids content slowly increased and then decreased. Mold and Yeast and Bacteria were not detected in LP, UP and UF treated samples during storage studied; however, E. coli were detected after 24 days storage. No distinctive storage effects were found among samples prepared; however, ultrafiltration had a considerable effect on the color and soluble solids content of mixed fruit and vegetable ju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