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1

        201.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Article dealt with Luther's theological criticism as seen in his 95 Theses in opposition to the indulgences. The cause for the 95 theses was due to the sermon by Tetzel based on archbishop Albrecht's Instructio summaria, acknowledge the bishop's responsibility toward the saints, and demanded the cancelling of the indulgences. Luther received no answer concerning the 95 theses which he privately sent in a letter, consequently he advertised the 95 theses desiring a public debate. In its entirety, the 95 theses include four theological criticisms. First, what is true repentance. Second, to what extent is the authority of the Pope? Third, do the indulgences have the validity of salvation in them? Fourth, do the indulgences even have an influence over purgatory? In the 95 theses, Luther first dealt with the issue of true repentance. True evangelical repentance is not temporary nor expedient but must be emphasized as covering the entire lifetime of a believer. The Pope can only forgive the punishment imposed by the church, and cannot forgive the punishment related to purgatory. Indulgences cannot mediate salvation, nor have any influence on purgatory. Although the 95 theses in its opposition to the indulgences and its interpretation provide a starting point for the Protestant Reformation, Luther's Reformation theology has not been specified at this time, therefore the focus of the study has been on Luther's thoughts and church system through the 95 theses.
        202.
        2013.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에서는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분석 모델을 적용하여 서울시 무상급식 정책결정과정에 나타난 정책담론들이 수행하는 역할 및 특성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담론 투쟁과정에서 부각된 담론들에 대한 신문기사의 텍스트 분석을 통해 진보와 보수의 논리를 기술하고, 양자 간 대립하며 전개하고 있는 담론을 해석하였다. 또한, 사회적 실천관계에서는 정책이 형성되는 상황적 맥락과 결정이 이루어지는 제도적 맥락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에 따른 이 연구의 결론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 무상급식 정책결정과정에서 정책담론들은 진보와 보수 세력들의 정치적 이해관계와 결합하며 논쟁이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무상급식 정책결정과정에서의 정책행위자들, 즉 진보와 보수는 자신들의 논리를 정당화하기 위한 다양한 행동전략을 구사했으며 이 과정에서 정책담론이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셋째, 서울시 무상급식에 관한 정책결정은 정책행위자들의 이해와 타협에 의한 결정이라기보다는 담론투쟁에 의한 결과라 할 수 있다.
        203.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독도는 역사적, 지리적, 국제법적 및 그 실효적 관할 상 대한민국의 영토임은 재론을 요치 아니한다. 이는 우리 역사기록 뿐만 아니라 일본의 태정류전(太政類典)과 일본총리부 령 제24호(1951.6.6) 등에도 명문으로 규정되어 있다. 국제법적 견지에서는 II차 세계대전 후 포츠담선언(8)과 일본항복 후 초기 일본의 점령 및 통제를 위한 연합국최고사령관에 시달된 훈령(1945.11.1) I(d)에 근거하여, 연합국최고사령관(the Supreme Commander for the Allied Powers, SCAP)이 훈령(지령) 677호(1946.1.29)에 의거 명문으로 ‘독도’ 등을 일본주권에서 제외 조치한 것이고, 당시 일본정부는 이를 전적으로 수용하여 일본총리 부령 제24호(1951.6.6) 및 대장성 고시 제654호(1946.8.15)에 ‘독도’ 등이 일본 땅이 아니라 외국 땅임을 명문으로 규정한 것이다.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시 동 강화조약 제19조(d)에 동 SCAPIN 677호의 효력이 계승되어 있다. 또한, 일본은 한·일 기본관계조약 (1965.6.22)에 의거 ‘독도’가 한국영토임을 국제법상 묵인(acquiesence) 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정부는 그간 터무니없이 ‘독도’가 일본영토 소위 ‘다케시마’라 고 주장하여 왔다. 근간에는 한국정부의 항의에도 불구하고, 일본정부가 일본의 초, 중, 고교 교과서(사회과)에 ‘독도’를 ‘다케시마’라고 일률적으로 왜곡하여 교육을 실시하고 있 다. 이런 여건에서 이명박 대통령이 2012년 8월 10일 독도를 방문하였다. 일본정부는 이명 박 대통령의 독도방문을 강하게 비난하고, ‘독도영유권’ 문제를 공동으로 국제사법재판소 (ICJ)에 제소하여 그 판결을 받아 결정하자는 제의를 우리정부에 하여 왔다(2012.9.21). 끈질긴 일본정부의 동 ICJ제소 공세 결과 인 듯 근간 우리사회 일각에 ‘부득이한 경우’에 대응하여 우리도 ICJ를 대비할 필요가 있다는 견해가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드디어 지난 (2013년) 3월 25일 국회헌정기념관에서 ‘독도문제에 대한 일본정부의 국제사법재판소 (ICJ)제소에 대한 대응방안’ 제하에 세미나가 열렸다. 본고는 동 세미나에서 배포된 자료 등을 중심으로 동 ICJ제소 문제를 심층 고찰하여 소위. 독도문제는 일본의 한반도 침략과정 에서 그 일환으로 우선 ‘독도’가 불법적으로 탈취 된 역사적 문제(a historical issue)이고, 새삼스럽게 독도영유권에 관한 법적다툼(a legal dispute)이 될 수가 없다고 본다. 따라서 우리가 독도문제를 계속 심도 있게 앞으로도 연구하여야 하는 것은 어디 까지나 독도영토주 권보유국가로서 독도를 온전히 보존하고, 불법부당한 일본의 독도 재 침탈 야욕을 밝히고, 규탄하고, 국내외적으로 홍보하여 일본의 독도 재 침탈야욕을 저지하는 데서 그 의의를 찾아야 할 것이지, 결코 우리 독도영토주권을 ICJ에 회부하여 결정하자는 일본의 제의에 동의할 수 없음을 국제법적 견지에서 접근코자 하는 것이다.
        204.
        2013.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해 시행중인 교원능력개발평가의 평가지표를 좋은 수업의 조건이라는 관점에서 기존의 선행연구와 평가지표를 비교 분석하여 논의하였다. 교원능력개발평가가 교사의 수업 개선에 기여하는 측면이 있음은 분명하나 전문적 수업개선 평가라 할 수 있는 동료교원 평가의 경우 첫째, 수업 개선의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으며, 둘째, 지식 전달의 관점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셋째, 수업의 바탕이 되는 학습조직과 학급분위기에 대한 고려가 없으며, 넷째, 활동의 적절성보다는 활동 여부에 초점이 있고, 다섯째, 평가가 형식적으로 이루어진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교원능력개발평가가 본래의 목적에 충실할 수 있도록 수업관찰시간을 확대하여 필요한 정보를 해당 교사에게 제공하고, 수업 분위기의 중요성에도 관심을 확대하여야 하며, 마지막으로 확산적 사고, 구성적 지식을 촉진하는 수업으로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205.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고는 다문화교육에 있어서 형평성과 수월성의 문제를 어떻게 볼 것인가에 대한 시론적 논의로써, 교육 전반의 형평성과 수월성 문제에 대한 비판적 논의를 포함한 장과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교육의 형평성과 수월성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를 포함한 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첫 장에서는 교육 전반에 있어서 형평성과 수월성에 관한 우리 사회의 대표적 담론들에 대한 비판적인 논의에서 시작하여, 미국의 형평성 대 수월성 논쟁의 역사적 변천을 짚어봄으로써, 형평성과 수월성의 개념에 대한 재인식이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다음 장에서는 다문화교육의 취지와 목표에 비추어 볼 때 다문화교육에서는 형평성이 우선적으로 보장되어야 함과, 다문화교육의 형평성의 개념 지평이 무엇인지를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다문화교육의 형평성과 더불어 다문화교육의 수월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그 추진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앞으로 다문화교육으로의 전환이 불가피한 우리나라의 교육현실을 놓고 보았을 때, 본고의 논의는 교육의 형평성과 수월성 문제에 대한 근본적 이해와 더불어 다문화교육에 있어서의 형평성과 수월성의 문제를 올바로 인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207.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Urban parks are progressing but are in chaos in the twenty-first century. Therefor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onsider critically and classify the new paradigm of urban parks. Urban parks are one of the space products, and progressing aspects can be divided into three parts; supply, demand and market aspects. In the abstract, urban parks' progress represents process, openness or voidness, general and cultural ecology, productivity, experience program, identity or sense of place, carriers of urban regeneration, urban infrastructure, community space, multi-layered activity, active space, communication with urban space, tool of low carbon strategy and consilience. But urban parks have come under increased criticism about the long period development on trees growth, covering open space, limitation of general and cultural ecology, production, activity programs, identity and community space, visible urban regeneration, economic validity, urban sprawl, not using as the low carbon strategy, and finally negative consilience with contiguous fields. We collected these critical consideration about progressing urban parks, and proposed urban agricultural park as one of the alternative urban parks. This is closely connected with sustainable region development, low-carbon society, local food, well-being, Lohas paradigm and amenity of urban life.
        210.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들어 빅데이터(Big Data)가 경제, 사회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지난 10여 년간 IT 기술의 발전, 인터넷의 대중화, 데이터 분석 기술의 발전이 눈에 띄게 이루어져 엄청난 데이터가 생성되었다. 특히 스마트 폰을 비롯한 모바일 기기가 광범위하게 보급되고 소셜 미디어 (Social Media)의 사용이 급속도로 늘면서 개인정보부터 정치, 환경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데이터의 수집이 가능해졌다. 과거에는 특정 용량 이상이나 기존 데이터베이스로 처리가 불가능한 규모의 데이터를 칭했고, 대용량 데이터를 다루는 일부 소수 전문가나 기업의 기술적 이슈에 불과했으나, 이제는 경제, 경영, 사회의 각 영역에서 필수 자산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빅데이터가 가진 잠재가치는 다양한 산업의 글로벌 기업들이 경쟁우위를 확보하고자 앞 다투어 투자를 할 정도로 크며 사회 문화적 파급효과의 측면에서도 중요한 주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빅데이터가 가질 수 있는 핵심적인 맥락을 살펴보고, 그에 기초하여 빅데이터가 내포하는 여러 다양한 가능성과 함의들을 짚어보고자 한다.
        211.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essay examines the seventeenth century New England Congregationalists’ doctrine of the “church covenant”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half-way covenant.” According to Perry Miller, there is a radical discontinuity between them. Miller points out three major differences. First, the half-way covenant introduced a new internal/external distinction into the early fathers’ church covenant, while the latter had considered their church covenant as a visible form of the internal covenant of grace. Second, accordingly, the defenders of the half-way covenant “drastically separated” the church covenant from the covenant of grace. As a result, the church covenant was “no longer viewed as a direct manifestation of spiritual conversion.” Third, there was a generation gap: While the old generation opposed the principle of the half-way covenant, the young generation tended to defend it. Miller shared the early seventeenth century critics’ view of the church covenant--as shown in Samuel Rutherford's polemical works against New England Congregationalism. Rutherford, for example, tended to identify Thomas Hooker’s concept of the church covenant with the Separatists’ view of it which was deeply rooted in their “pure church” ecclesiology. Both Rutherford’s and Miller’s thesis, however, represent a one-sided view. Hooker and his brethren present enough counter-evidence to show that the principle of the half-way covenant should be compatible with the early doctrine of the church covenant: First, the internal/external distinction does not belong to a later development because it was a basic feature for Hooker’s doctrine of the church covenant. Hooker clearly sees his church covenant as an external--not internal--covenant. Second, Hooker and his brethren make a significant distinction between the invisible/inward covenant of grace and the visible/outward covenant of grace. The latter, Hooker argues, is given for the visible church--either an explicit or an implicit form of church covenant. Third, Hooker’s church covenant does not nullify the traditional distinction of the visible/invisible church. On the contrary, it must preserve it. Finally, unlike Miller’s thought, the majority of the early Congregationalists--even in the 1630s--actually favored the principle of the half-way covenant. The above facts must account for the reason why the defenders of the half-way covenant could claim that they had the fathers of Congregationalism (including Hooker) on their side. In short, the complex reality demands that we should seek a more balanced approach to the issue of continuity/discontinuity between the church covenant and the half-way covenant.
        212.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article aims to analyse the statutes and cases as to sexual morality offences which involve sexual ethics in society and make a proposal of idealistic sexual criminal law.Out current criminal law deals with sexual crimes in the way that divides sexual violent crimes with sexual morality crimes: the former violates the private right of sexual self-determination, and the latter decays the public decency. Of them the sexual morality crimes involve social environment and ethics. Especially the statues and cases of sexual morality crimes reflect social ever-changing ethics after 1990s and the perspectives of the scholars and specialists. And a various of NGO as well as interest groups have deeply involved with the legislation of kinds of sexual criminal laws just like Prostitution Act, Protection of Juvenile sex Act, Sexual Violence Act etc. To regulate sexual morality crimes reasonably, I suggest, needs the following alternative: to extract ethical element from the criminal law, respect the private right of sexual self-determination, keep alert about penal populism, and in the end, it is required that sexual moral crimes must be decriminalized and sex crimes are integrated in terms of the right of sexual self-determination.
        213.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올해는 한·일합병 100주년이 되는 해이기도 하나 일본정부는 근래 다시 한 번 독도(竹島)가 일본의 영토라고 주장하여 한·일 지식인의 분개를 야기하였다. 우리는 번영되고 조화로운 동아구역환경을 건축하기 위하여 일본이 추구했던 ‘동아시아공동체’ 구상과 일본의 역사관에 대해 다시 살펴보는 것이 매우 필요하다.한·중·일 세 나라는 지리상으로 상호 인접해 있는 국가로서 또한 예로부터 문화전통이 서로 융합되어 왔다. 각자의 경제발전과 경제 상호 보완성의 존재는 합작을 강화하는데 요구를 제출하고 또한 가능성을 제공하였다. 지역경제의 진일보 발전에 따라 중국과 한국,일본의 경제는 이미 한데 얽혀 있고 한·중·일 경제 발전은 서로 떨어져서는 안 되는 정도에까지 도달하였고 서로간의 의존성은 날이 갈수록 선명해졌다. 한·중·일의 이러한 형세 하에 국제경 쟁력을 제고하기 위하여 반드시 일종의 구역 경제일체화 조직을 건립하여야 한다. 한·중·일의 자유무역구의 건립은 세계에서 인구가 제일 많은 발전도상 국가와 발달한 국가간의 연합에 의해 만든 자유무역구이다. 이 지구는 곧 치열한 국제경쟁에서 유리한 지위에 처하게 될 것이고 자유무역구는 세 나라에 더욱 큰 이익을 가져다 줄 것이며,‘삼영(三盧)’의 국면이 나타나게 된다. 한마디로 말해서 새로운 동북아공동체의 건립은 여기에 속한 모든 나라가 배척 성을 극복하고 상호 이해를 확대하며,공동한 생존 환경을 만들어 가는 것이다.
        215.
        201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존 케이지(John Cage) 우연성음악의 철학적 배경에 관한 연구이다. 1950년대 초 케이지는 “음악의 해방”이라는 철학적 기획을 가지고 자신의 우연성 음악을 탄생시켰다. 케이지는 작곡가의 의도를 배제함으로써 연주자와 소리를 기존의 음악적 시스템으로부터 해 방시키고, 작곡가 자신의 자아로부터 자유롭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자유이념의 기원을 동아 시아 철학으로 제시하였다. 이후 서양음악사에서 “동아시아 철학”은 케이지의 우연성 음악 을 상징하는 일종의 기표로 작용해왔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우연성음악의 이념적 배경이 동아시아 철학에 근거한다는 시각은 양자 사이의 사상적 차이를 너무 간과한 것은 아닌가라는 의구심을 갖게 한다. 케이지는 우연작동법을 통 해 모든 개념을 제거하고 자아로부터 자유롭고자 하였으나, 실제로 우연성음악에 존재한 것 은 자아로부터의 자유라기보다 의식적 사고의 억압이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우연성음악에 서 선불교와 주역은 그 본래의 사상과 취지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왜곡되었다. 선불교와 주역 또한 논리적 의식이나 자아의 한계를 넘어서는 것이지만, 그러한 초월이 경험적 자아의 부정이나 의식적 사고의 억압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케이지의 무의도성과 별로 관련 이 없는 것으로 여겨진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이드러낸 우연성음악의 사상적 배경이 동양정신에 근거한다기보 다 “오리엔탈리즘”의 한계를 보여준다는 점이다. 동아시아 철학은 케이지의 진지한 접근과 성찰에도 불구하고 유럽전통으로부터 벗어나고자 하는 그의 필요에 의해 이용된 측면을 부 정하기 어려워 보인다.
        216.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n général, le réquisitoire définitif du procureur est rédigèe apres examen du dossier de la procédure. On ne peut pas trouver l'article sur le réquisitoire définitif du procureur dans le Code de procédure pénale coréene, mais 1l existe dans le règlement de procédure pénale coréene. Ainsi, selon alinéa 2 de l'article 118 du celui-ci, dans le réquisitoire définitif du procureur il est intérdi d'ajouter ni les preuves ni les choses suscéptibles de pouvoir donnerr les préjuges sur le fait.. En droit coréen, on respecte cette exigence comme le soi-disant principe de l'unité de réquisitoire définitif du procureur. L'arrêt de la cour suprême coréene du 22 oct. 2009 a décidé que ce soi-disant principe de l'unité de réquisitoire définitif du procureur n'est pas supérieur aux princpes essentiels (idées fondamentales) du proèes pénal coréen comme l'idéologie de vérité dans le procès pénal, l'équité de procédure criminelle et le soi-disant principe de centralisation de l'audience et les débats. A mon avis, ce soi-disant principe n'est que le simple exigence du réglement de procédure pénale coréene. De ce point de vue, il est naturell d'accepter la constatation de cet arrêt de la cour suprême. A propos du soi-disant principe de l'unité de réquisitoire définitif du procureur, il n'est pas question de savoir si la véritable confrontation existe entre la procédure de type accusatoire et celle de type inquisitoire. En réel, Il nous faudra non seulement bien absorber les mérites de deux sortes de procédure, mais aussi techniquement réduire le danger de ces défauts.
        217.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John Wesley’s position upon the slave trade and slavery in England of the 18th century and his influences on the campaign for ending the slave trade and slavery. John Wesley, as a leader of awakening movement, was concerned with the personal conversion and the revival of faith and church. Regarding his social and political position, he as a Tory was royal to the english monarch and was against American Independence. Accordingly, he has been seen as conservative in terms of social perspective. It has sometimes caused the speculation that John Wesley was not interested in ending the salve trade and slavery, which is one of the greatest atrocities of civilization at his times. That is the case with the founder of North American Liberation theology and a leading Methodist theologian, James Cone. It is really ironic that he wrote, “The Wesley that has come to us seems very white and quite British, and that ain’t no good for black people who know that the Englishmen are the scoundrels who perfected the slave trade,” and indicated, “one does not get the impression that slavery was one of the burning issues on Wesley’ mind.” Actually, the early mission to Georgia in America brought John Wesley into direct contact with black slaves there. Since then, his concern about the slave trade and slavery had not disappeared in his mind, even though he more concentrated himself on the revival movement ignited by his own conversion. We can find out his criticism upon the slave trade and slavery in his Journals and Diaries, letters, and his Writings. Especially, his tract “Thought upon Slavery,” which partly drew on some writings by Anthony Benezet and Granville Sharp, had a great influence upon the methodists and mass. In his small book, he harshly criticized the slave trade and slavery itself as sum of all inhumane evils. His criticism was based not only on the Bible, but also on the general natural law and justice. Besides, he encouraged some leader of antislavery campaign to continue to do his action. Among these was included William Wilberforce, who spent a lifetime passing the bill for abolishing the slave trade and slavery through Parliament. After death of John Wesley, his follower and methodists still supported William Wilberforce to achieve his goal.
        218.
        200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xploit of Ham Suk-Hun in Korea Christianity history was new and authoritative speech (Matthew 8:29). He criticized old and powerless Korea Christianity by using new authoritative language and presented the new religious vision and spiritual energy that have given risen to prospective task in Korea Christianity today. He thought fundamental problem of Korea Christianity as the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as consciousness of the times in disregard of history. He regarded Korea Christianity which has become lukewarm ashes and withered trees as formal idealism of religious belief which has taken history as just luck by chance. He sorted phenomenon of Korea Christianity in two aspects.?Firstly, systematized and privileged Christianity denied national solution, democratic demand in 1950s and pursued their interests by taking side with high and mighty people. Secondly, democratic Christianity that is not for construction of church but for construction of race conscience, not for a privileged minority but democratic religion for a majority and to service not to rule, to do an ascetic life not to be a state of euphoria. His writing criticized the realty of Korean society. In that situation the privileged class who make a monopoly of riches in clover life and neglect the people who suffer from absolute poverty after the Korean War. What he said is God’s words that spring up in the people. The person who tell and hear are the masses. So, someone who can not see the people’s mind can not hear this story even if he heard that. Hence they can not only hear the people’s speech but also can not speak true freedom. Ham thought that it is foolish to argue with them. Salvation is possible only by God’s grace. There is a confession of faith and life that are against human system and authority. He distinguished a new form of religion with old one and regulate Roman Catholic as an old form of religion that boast the power of a number and quantity. A new form of religion is for resist unfaithfulness and that is for freedom of the people’s spirit. Ham criticized Korea Christianity’s role and task in the desperate realty of Korean society. He conveyed God’s intention by the people’s voice in the land. God use Ham for Korea Christianity’s repentance and reformation prior to reformation of society. Because Korea Christianity did not role of prophets even though they have God’s words. His speech which was sent 50 years ago will become coordinates to Korea Christianity in identification and future direction.
        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