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38

        204.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imulation approach which compares lighting quality of each luminaire type for small urban park users' safety. For improving illumination quality, lighting intensity distribution of a luminaire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and it is also important to set the luminaire to a proper position. To achieve the best plan for illumination, it is most important to communicate the plan with designers of park and professional engineers in depth and the communication continues from the beginning of the plan.
        4,000원
        205.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터널이 갖는 다양한 특성 가운데 운전자의 심리적 안정성과 쾌적성 등 경관을 구성하는 설계요인과 운전자의 감성적 요인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터널경관에 대한 평가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위하여 터널경관을 구성하는 물리적인 구성요소와 운전자의 감성인지 변화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경관적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터널경관에 대한 감성인지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LISREL 모형을 구축한 결과 터널경관 영향요인은 터널경관 구성요소 조화에 의한 감성 이미지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감성이미지는 설계요인과 개인속성에 의하여 설명며, 설계요인의 영향이 개인속성의 영향보다 크게 나타났다. 개인 속성과 설계요인 모두의 관계는 (+)의 관계로 나타났고 "안정성"과 "변화성"간에는 서로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때, "안전성" 요인이 "변화성" 요인보다 경관인지도에 좀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경관 평가 시 운전자는 기본적으로 "안전성"을 중시하나 "변화성"에 대하여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300원
        206.
        201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응답자의 사회ㆍ경제적 상황에 따 른 산림경관에 대한 지불의사금액의 차이를 구명함에 있다. 이를 위해 통계적 기법을 활용하여 사회ㆍ경제적 상황에 따른 지불의사금액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산림 을 접할 때 가장 높은 금액을 지불할 의사가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그리고 남자보다는 여자가 더 높은 지불 의사금액이 나타났으며, 전문직, 자영업 등 경제적 여 유가 있는 직업보다는 생산직, 공무원 등과 같이 시간 적 여유가 있는 직업에서 높은 지불의사금액이 나타났 다. 그리고 연령에서는 은퇴 후인 60대에서 산림경관에 대해 지불할 의사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당 소 득에 있어서는 소득이 증가할수록 지불의사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1,000만 원 이상 고소득층에서는 오히려 지불의사가 가장 낮게 나타난 점이 흥미롭다.
        4,000원
        207.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농업 생태계의 생물다양성 보전에 있어 서식처 기반의 보전 전략을 수립하는데 있어 기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는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에 위치한 환경압박이 서로 다른 3개 조사지(농경지와 야산으로 이루어진 조사지 1, 공장이 많이 위치하는 조사지 2, 거주지역이 많이 차지하는 조사지 3에서 4개의 토지이용(야산, 밭둑, 논둑, 하천변)별로 2000년 11월부터 2002년 11월까지 39회의 딱정벌레 군집 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로 서 딱정벌레 군집 조성, 우점종 그리고 군집 패턴이 토지이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유사도는 조사지 2와 3의 논둑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조사지 2의 야산과 조사지 3의 하천변간의 유사도가 가장 낮았다. 또한 도로에 의해 파편화된 서식처간의 유사도가 서로 다른 서식처 및 조사지간의 유사도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생물다양성 보전과 네트워크 측면에서 농경지 토지이용은 각각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농촌경관에서의 서식처별 딱정벌레 군집분석을 통하여 생물다양성 보전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4,000원
        208.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종래 농촌개발전략은 농업 및 농민에게 중점을 두고 도시의 편리성을 지향하는 정책이었다. 그러나 농업에 의한 농촌발전의 한계성이 드러나고 도시를 지향하는 농촌의 정주정책은 농촌경관의 획일화를 초래함에 따라 농촌다움이 상실되는 문제점을야기하여 왔다. 이로인해, 농촌다움의 상실은 농촌 자체 매력의 상실을 가져왔으며, 이는 소비자인 도시민으로부터 외면당하는결과를 초래하였다. 이에 따라 농업과 농촌이 가지고 있는 잠재적인 기능과 다면적인 기능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고있으며 이의 활용을 통한 농촌의 활성화를 모색하는 대안이 제기되고 있다.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경관 자원으로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활용가능한 자원으로 인식되고 있는 농업생산경관의심리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농촌계획에 있어 활용가능한 심리적 인자를 제시하고자 하며, 이후의 농촌계획 및 경관영향평가에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평가기준을 마련하고자 한다.
        4,000원
        209.
        200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regard it as most meaningful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the hedgerow in cultivated areas functioning as a residual landscape element in rural landscape and set improvement guidelines through landscape character and value analysis to cope with landscape malfunction. The results of summary are as follows. 1) First of all, as a result of landscape character analysis of edge stripe in cultivated land in total of 7 case areas, for example, the edge stripe in cultivated land in case area 4 and 8 maintain the width of 10m and are assessed satisfactory in terms of vegetation development condition, appearance of living species, connectivity, buffer capacity and so on. Also, as a result of structural character of correlation analysis among item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width and appearance of living species showed 0.941, the highest. Following are connectivity and appearance of living species and width and buffer capacity respectively: 0.841 and 0.740. 2) As a result of landscape character analysis of uncultivated stripe in total of 6 case areas, it is analyzed that case area 4 maintains the widest width as almost 4.5m average width and considered valuable as I degree in vegetation development condition, filtering, and connectivity. 3) As a result of problem analysis of uncultivated stripe, for example, case 3, 9, and 10 was analyzed that the width was below 1.25m which is too small to carry out the function of buffer and habitat for living creature, so minimum standard width was set between 4~5m through comprehensive analysis of character of each case area. Based on the result above landscape character, value and problem analysis, main improvement guidelines are set in terms of width, connectivity, filtering, and vegetation development, restrictive practices and so on.
        4,000원
        214.
        200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화양계곡의 훼손된 문화경관 및 자연경관 개선을 위한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속리산국립공원 화양계곡을 대상으로 화양구곡의 주요 경관특성 및 화양계곡 전체의 식생경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고문헌 분석을 통해 화양계곡과 계곡 내 구곡의 경관원형을 분석하였다. 화양계곡의 경관원형은 여울이 있는 높은 산과 암반, 천연의 소나무군락 경관이었으며 구곡의 경관은 암반, 맑은 소, 소나무군락 등으로 구성되었는데 대부분 식생발달에 의한 암반경관 차폐, 모래퇴적에 의한 소멸, 인공림에 의한 자연경관 훼손 등의 문제점이 분석되었다. 식생경관에서는 계곡 주변으로 은사시나무, 아까시나무, 잣나무 등 인공식생이 분포하여 자연경관 및 원래 화양계곡 경관과 이질적인 경관을 형성하였다. 화양계곡 및 구곡의 경관 관리는 조선시대 은일적 문화경관과 뛰어난 계곡 자연식생경관 보전을 목표로 하였다. 문화경관 보전을 위한 구곡경관 관리방안으로 식생 및 이용자 관리를 통한 구곡 경관대상 부각 및 조망점 관리를 제안하였고 구곡의 배경이 되는 화양계곡 전체의 식생경관관리는 소나무군락 유지, 천이유도를 위한 인공림의 인공수종 제거 및 밀도관리를 제시하였다.
        4,600원
        219.
        2009.03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220.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주도의 대표적 경관인 오름에 대한 경관 선호성을 분석하기 위해 총 18개 오름을 대상으로 경관평가를 시도하였다. 지상과 공중에서 촬영한 총 84장의 사진 슬라이드를 평가매체로 비 제주인(1그룹), 제주인(2그룹) 그리고 외국인(3그룹)에대한 선호도를 비교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전체 총 84장의 오름경관에 대한 선호도평가 결과, Group 1은 4.93, Group 2는 5.22 로 전체 국내인 평균 평가치는5.11이었으며 Group 3의 평가치는 5.54로 나타나 제주 오름에 대한 외국인의 상대적으로 높은 선호 경향이 발견되었다.전체적으로 평가치가 가장 높은 오름경관은 Scene 8(7.60)의 비양도 부감경관이었으며 다음으로 평가치 7.59를 보인 Scene58과 평가치 7.35를 보인 Scene 48등이 보임에 따라 성산일출봉, 비양도, 송악산 등은 제주도의 대표적인 경승으로서 손색이없음이 실증적 재차 확인되었다. 한편 3개 평가 집단 간 선호도 평가치의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한 ANOVA와 Duncun-test결과, 집단 간 평가치의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된 평가오름은 총 63개에 이르러 오름별 평가치에 대해 그룹간의 차이가 인정된다.또한 평가그룹 간의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는 21개의 오름 중에는 항공에서 조감된 부감경관은 단 하나도 포함되지않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21개 오름경관 가운데 전체 평균치인 5.34를 상회하는 오름경관은 Scene16, Scene78 그리고Scene29의 단 3개에 불과하였음을 볼 때, 부감경관에 대한 차별화된 긍정적 선호성이 입증되었다.더불어 총 18개 오름에 대한 평가치 중 민오름과 산굼부리를 제외한 총 16개 평가치가 높은 특성을 보여 하늘에서 부감한오름경관에 대한 뚜렷한 선호경향을 보였으며 이 경향은 특히 Group 3 즉 외국인 그룹에 있어 부각되었는데 지상에서 촬영한산굼부리의 지상경관 또한 굼부리 중심의 부감경관임을 감안하면 이러한 경향을 더욱 뚜렷하다고 볼 수 있다.
        4,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