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3

        201.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공동주택 옥외공간에 도입된 이용프로그램의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옥외공간 이용 활성화를 높일 수 있는 이용프로그램 도입 및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370개소 공동주택 관리소장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1.공동주택 옥외공간 이용프로그램은 총 조사대상지역의 16.5%가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 단지규모, 준공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모두 옥외공간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옥외공간 넓이의 증가, 설계요소의 다양성, 공익적 기능의 강화 등이 옥외공간에서의 이용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2.공동주택 옥외공간에서 현재 실시하고 있는 이용프로그램은 운영이 쉬운 체육강습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주민의 선호도가 높은 축제, 장터, 정원관리, 텃밭가꾸기도 높게 나타났다. 운영방식은 외주보다 주민이 자체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었다. 따라서 향후 프로그램 도입시 운영하기 쉽고 주민 선호도가 높은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주민과 관리자가 쉽게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매뉴얼을 제작 보급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3.이용프로그램 참여 연령층은 성인과 노인이 대부분으로 모든 연령층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연령별 요구에 맞는 프로그램을 모두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프로그램 진행시 활용되는 옥외공간은 대부분 커뮤니티 공간이었는데 최근 커뮤니티 공간의 계획 및 설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어 앞으로 이들 공간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4.이용프로그램을 진행하는데 있어 문제점으로는 낮은 참여도가 가장 많은 빈도를 보이고 있었고 이용프로그램이 도입되지 않는 이유로도 낮은 참여도가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고 있었다. 이용프로그램의 도입과 원활한 진행을 위해서는 주민 참여율이 관건이며, 이를 위해 주민들의 참여를 독려하는 홍보를 하고 아파트 자생단체와 커뮤니티 전문가 제도들을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5.공동주택 주민이 좋아할 것으로 예상되는 이용프로그램은 바자회가 가장 많았고 요가, 꽃밭가꾸기, 영화상영, 음악회, 텃밭가꾸기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주민 선호도가 높은 프로그램들은 프로그램 개발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특히 영화상영이나 음악회와 같은 문화예술프로그램은 선호도는 높으나 현재 공동주택 옥외공간에서 실시하고 있는 빈도는 낮아 앞으로 주민 재능 기부 등의 전문인력 도입시 활발한 참여가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된다.이상과 같이 공동주택 옥외공간 이용프로그램 도입현황 및 선호도를 조사하였으며 향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주민을 상대로 프로그램 만족도 및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주민의 요구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여 진다.
        202.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홍수빈도해석이나 홍수예측과 같은 홍수조절을 위한 필수적인 정보는 유출자료이다. 하지만, 소규모 유역의 경우 유출자료를 측정하지 않는 미계측 유역의 다지점 분석과 총량분석을 위한 정보가 너무 부족한 실정으로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집중형 모델인 저류함수법를 활용하여 충주댐유역을 세분화하여 적용하였다. 충주댐 유역은 22개의 소유역으로 분류하였으며 충주댐 수위관측소의 유출자료의 공간적 확장성을 검증하였다. 홍수사상은 1990년부터 2009년까지의 21개 홍수사상을 활용하여 한 곳(충주댐 유입량)의 자료를 중심으로 22개 소유역의 저류함수법의 수문지형학적 특성에 관여하는 매개변수(k, p, Tl)를 고정하고 홍수사상마다 달라지는(f1, Rsa)를 최적화 하며 22개 유역의 유출자료를 생산하였다. 교차검증 지점인 영춘과 판운 수위관측소의 평균 Nash- Sutcliffe Efficiency(NSE)는 충주댐의 유입량이 0.71을 나타낼 때 각각 0.67과 0.52를 나타내 유출자료의 확장성에 있어서 만족(NSE>0.5)하는 범위에 들어 집중형 모형을 활용한 유출자료의 확장가능성을 보였다.
        203.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lot of rural development projects have been planned and implemented for revitalizing rural areas in South Korea. However, it is not easy to properly evaluate and quantitatively analyze project outcomes. For this reason only selected regions have been evaluated for rural projects by government agencie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urpose and the contents of the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RVDP) and Green Tourism Village Project (GTVP) to find indicators for evaluating results of rural projects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utputs of this study show that RVDPs increase regional population and GTVPs positively affect the sales of agricultural products. We also estimate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roject effects through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and local-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Moran's I values for the proportion of farmers with avocational jobs, product sales changes, and population growth in Jeol-La province are positive and the biggest one is population growth. Especially, key areas of agricultural product sales are widely distributed.
        205.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im of the research was to analyze a correlation between rural villages and a space of amenity resources in order to provide objective basic data for rural renewal planning in the future. 15 villages were selected to analyze amenity resources. A Space Syntax Method(SSM) was used to analyze a spacial structure of each village and location characteristics of amenity resources. Finally,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SPSS) was used for a cluster analysis. The results of spacial analysis showed that the MeanDepth of rural villages was 4.482 and Global Integration Value(GInteg) was 0.956. Relatively, a depth was lower and GInteg was higher, compared to other villages. Rural villages were easily recognized and accessible by outsiders, compared to mountain and fishing villages. In the case of rural villages, the MeanDepth of amenity resources was low and GInteg was high in the results of cluster analysis using a nonhierachical method. Results indicated that an access was easy and amenity resources were closely located each other. However, the deviation of each village was great in mountain villages. This research suggests that an effective maintenance of road network for improving accessibility would be given priority in an undeveloped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renewal. Especially, using a spacial analysis in village renewal planning process can improve accessibility and maximize an utilization of public facilities and amenity resources.
        206.
        201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1998년부터 2011년까지 강릉 지역의 지방 방사능 측정소에서 측정된 공간 감마선량률의 통계 적인 성질을 조사하였다. Autocorrelation Function Analysis(ACF), Rescaled Range Analysis(R/S Analysis), DetrendedFluctuation Analysis(DFA)의 방법들이 사용되었으며, 이 중 DFA는 non-stationary한 시계열의 장거리 상관성을 보여주는 좋은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는 이 연구를 통해 다음의 사실을 알았다. 첫 번째, 공간 감마선량률은 두 가지다른 경향을 갖는 크로스 오버가 나타난다. 이것은 연중 공간 감마선량률은 강한 장기 기억 특성이 나타나는데 비해연간으로 넘어가면 상관성이 사라지는 것을 의미한다. 두 번째, 각 분석 방법들의 지수들이 있는데 이 지수들 사이의관계식이 맞음을 확인 하였다.
        207.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brick walls are being widely introduced in rural areas. Walls are a very important design element of space. However, most brick wall works do not consider the huma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n brick wall bonds such as the stack bond, running bond, english bond, flemish bond, america bon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There is no statistical difference of psychological evaluation results among student groups using the semantic differential scale method using 10 adjectives. 2)Stack bonds have an uninspiring, artificial, simple, restful, boring and ordere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Running bonds have an uninspiring, restful and ordere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America bonds have a unique and modernistic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English bonds have a unique, modernistic, complex and chaotic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Flemish bonds have no critic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3)The running bond earned the highest score in preference, while the stack bond scored the lowest. Employment of brick wall bonds on this study was not highly preferred, hen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brick wall bond design. 4)In conclusion, the proper selection of brick wall bonds is very important and we should consider huma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design of rural areas.
        208.
        2012.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용담댐 상류, 천천 시험유역을 대상으로 분포형 수문모형을 이용하여 강우의 공간분포 특성에 의한 유역에서의 침식 및 퇴적양상을 분석하고, 유출 및 유사량 모의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강우의 공간적 분포를 묘사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점 강우 내삽기법(Thiessen Polygon: TP, Inverse Distance Weighting: IDW, Kriging) 및 레이더 강우 합성기법(Gauge-Radar ratio: GR, Conditional Merging: CM)을 이용하여 태풍으로 인한 3개의 집중호우 사상기간동안의 강우장을 생성한 후 각 기법들에 의해 생성된 강우장의 양적, 공간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각 기법별로 생성된 공간분포형 강우를 분포형 수문모형에 적용하여 강우의 공간분포에 따른 유역에서의 강우-유사-유출 분석 및 유역에서의 침식 및 퇴적양상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상 우량계를 이용한 내삽기법의 경우 유사한 우량주상도 및 수문응답을 나타내었으며, 원시 레이더 자료 및 GR기법에 의한 결과는 각각 과소, 과대산정된 반면 CM기법은 레이더 강우의 공간적 특성을 유지하면서 양적으로도 개선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양적으로 유사한 강우장임에도 불구하고, 각 기법에 의한 강우장의 공간적 특성으로 인하여 대상유역내 침식 및 퇴적양상은 매우 상이하게 나타났다.
        209.
        2012.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Public Design is being applied at many kinds of urban development. But the application is not carried out well owing to ambiguity of the object of plan. The object of the design and the role from it are based on defining of the realm and type of public design. So, it is necessary to study more about the realm and type of the public design in accordance with the context of the related space and reg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ublic design, some points of conclusion have been attained. First, the realm and type of public design is to be more simplified than ever: public facilities and public medium. So, public facilities are to be oriented toward placeness on the one hand, and public medium is to be used for regional marketing on the other hand.
        210.
        2012.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퍼듀 공간 시각화 검사: 회전의 시각화(개정판)’의 한국판을 표준화하기 위한 기초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총 30문항으로 구성된 ‘퍼듀 공간 시각화 검사: 회전의 시각화(개정판)’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중학생 509명에게 검사를 실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분석하였다. 신뢰도 검사는 문항내적일관성신뢰도로 Cronbach's α를 구하였으며, 타당도 검사는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Revised PSVT:R 검사(한글판)의 문항내적일관성 신뢰도는 Cronbach's α=.862로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Revised PSVT:R 검사(한글판)의 30문항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한 결과, Revised PSVT:R 검사(한글판)의 타당도가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Revised PSVT:R 검사(한글판)의 30문항에 대한 문항난이도는 .230에서부터 .906으로 나타났으며, 문항변별도는 양적 상관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evised PSVT:R 검사(한글판)의 문항별 난이와 회전 특성(각도, 방향, 회전축) 사이의 관계에서는 회전의 복잡성이 문항의 난이도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지만 이 이외의 다른 요인이 작용하는 것으로 보아 절대적 요인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211.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주택정원의 구성요소의 변화 추이를 분석 하고자 하였다. 포천시 이곡리 정원은 식재의 경우는 수량 면에서 상록교목이 0.65%, 낙엽교목이 -37%, 상록관목이 84.8%, 낙엽관목이 104.5%, 초화류가 56.3%, 잔디가 86.6%의 증감율을 보여주고 있다. 수종의 변화는 22.2%, 초종의 변화는 250%로 증가했다. 시설물의 변화는 33.3%의 증가율을 보인다. 양주시 연곡리A 정원은 식재의 경우는 수량 면에서 상록교목이 12.5%, 낙엽교목이 8.3%, 상록관목이 13.3% 낙엽관목이 -31.9%, 초화류가 46.5%, 잔디가 70.0%의 증감률을 보여주고 있다. 수종의 변화로는 15.4%, 초종의 변화는 0%의 증가율을 보인다. 시설물의 종류 변화는 100%의 증가율을 보인다.양주시 연곡리B 정원은 식재의 경우는 수량 면에서상록교목이 588.8%, 낙엽교목이 5.9%, 상록관목이 62.5% 낙엽관목이 10.9%, 초화류가 0%, 잔디가 0%의 증감율을 보여주고 있다. 수종의 변화로는 11.1%, 초종의 변화는 0%의 증가율을 보인다. 시설물의 종류 변화는 60%의 증가율을 보인다.양주시 연곡리C 정원은 식재의 경우는 수량면에서상록교목이 50.0%, 낙엽교목이 -129.9%, 상록관목이 -10.6% 낙엽관목이-17.5%, 초화류가 10.2%, 잔디가0%의 증감율을 보여주고 있다. 수종의 변화로는 5.3%, 초종의 변화는 0%의 증가율을 보인다. 시설물의 종류 변화는 61.5%의 증가율을 보인다. 양주시 교현리 정원은 식재의 경우는 수량 면에서 상록교목이 50.0%, 그리고 신규로 낙엽교목이 8주 상록관목이 526주 낙엽관목이 233주 증가하였고 , 초화류가13.6%, 잔디가 -55.8%의 증감율을 보여주고 있다. 수종의 변화로는 800%, 초종의 변화는 -75%의 증가율을 보인다. 시설물의 종류 변화는 85.7%의 증가율을 보인다.이와 같은 주택정원의 변화 추이를 살펴본 결과 주택정원의 구성요소는 공간한정요소의 변화율이 클수록 공간수식적요소의 변화율도 커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212.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r this research, they were monitored CO2 flux and environmental factors (CO2 concentration, soil temperature, soil moisture, soil organic carbon, soil pH, soil Eh) in foreshore, paddy field and woods sites at the winter season (January 2009) and the summer season (September 2009). Seasonal and spatial variations for monitored data were analyzed, and linear regression functions of CO2 flux as environmental factors were estimated. CO2 fluxes averaged between surface and atmosphere monitored in foreshore and paddy field at the winter season were shown -8 mgCO2m-2hr-1 and -25 mgCO2m-2hr-1, respectively. CO2 fluxes averaged between surface and atmosphere monitored in foreshore and paddy field at the summer season were shown 47 mgCO2m-2hr-1 and 117 mgCO2m-2hr-1, respectively. Thus, CO2 was sunk from atmosphere to surface at the winter season and it was emitted from surface to atmosphere at the summer season. CO2 fluxes in woods site were emitted 145 mgCO2m-2hr-1 at the winter season and 279 mgCO2m-2hr-1 at the summer season.
        213.
        201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북한의 권력승계로 인한 과도기적 상황에서 남북한 전쟁에 대한 위기감은 증가하고 있으나 민방위사태 발생시 이용가능한 임시거주공간은 민방위기본법에 의해 진압시까지 앉은 상태로 대피기능을 하는 지하 비상대피시설로 규정되어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전쟁대응 임시거주공간은 이재민 주거시설 마련을 위한 2주 이상의 기간동안 대피공간 및 거주기능을 수행해야하므로 거주성 확보와 심신적 안정을 위한 최소주거기준과 주거환경계획기준 설정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재해유형에 따른 법적, 문헌적 기준 현황과 국외법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최소면적기준과 부대시설, 거주성능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검토해 보고 세부기준 마련을 위해 건축관계 법령과의 연계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전쟁대응 임시거주공간에 대한 개념과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고, 국내외(한국, 일본, 미국) 주거관련 법적 기준과 민방위기본법에 따른 비상대피시설, 재해구호법에 따른 임시주거시설 지침을 대상으로 주거기준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공간계획기준을 제시하였다. 먼저, 최소면적 기준에 대해서는 각국의 지침이 재해유형과 인체특성상 차이가 있고 지하공간은 한정된 부분이 있으므로 거주를 고려한 현행 임시주거시설 지침을 반영하여 2.0-3.3㎡/인과 별도의 공용면적을 산정하였다. 또한 주거환경 계획기준은 부대시설과 거주성능 항목으로 분류하고 적용가능성을 검토해 보았으나 다수의 지침이 필요 항목만 명기되어 있으므로 건축관계 법령을 고려하여 인간의 기본생활욕구를 충족시키는 기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214.
        201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 전국에 설치된 CCTV는 무려 200만대(소방방재청 5200대, 경찰청 6000대, 지자체 31만대, 민간 170만대)가 넘어 보급대수로는 세계 최고수준이다. 하지만, 정작 문제는 양적성장 일변을 고집할 뿐, 실질적인 운용상의 효율성 제고를 간과하는데 있다. 다시 말해, CCTV 설치대수도 중요하겠지만, 어디에 어떤 목적으로 어떤 제원을 설치하고 특히, 과거에 기록된 정보를 효율적으로 검색하고, 명확히 판독하는지 등 용도별 목적에 맞게 적정하게 설치되었는가에 대한 관리상의 검토가 미흡하다는데 있다. 특히, 재난관리라는 목적의 경우는 국민의 인명과 재산에 결부되어있다는 점에서 더욱 민감도가 높다고 할 것이다. 지난 2009년부터 소방방재청에서는『재난관리용 CCTV를 통합·연계사업』과 병행하여 재난상황시 CCTV영상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해 심도 있는 검토를 추진해왔다. 전국 232개 시·군·구의 약 5,400여대의 재난관리용 CCTV를 연계해 공동활용 및 연계체계를 구축함으로써 현장 상황정보를 실시간 제공하고 특히, 재난유형별로 자동 위험알림기능을 제공해 재난을 사전에 예방하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이마져도 CCTV의 설치에 대한 정확한 지침과 근거, 최적의 입지조건과 사양에 대한 가이드라인의 미흡으로 정작 재난상황이라는 특수한 상황에 적합한 CCTV의 운영이라 하기엔 부족하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재난관리용도로 설치된 CCTV를 대상으로 GIS를 이용한 공간분석을 통해 최적의 입지조건 설계방안에 대해 검토하였다. 또한, 테스트베드를 통하여 재난관리용 CCTV가 갖추어야 할 제원(각도, 거리, 위치 등)에 대해 최소한의 조건에 대해 분석하였다. 아울러, 향후 재난관리를 목적으로 운영되는 CCTV 설치 및 운영에 필요한 진단, 분석, 평가방안에 대해 검토하였다.
        215.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limate change is known to affect both natural and managed ecosystems, and will likely impact on the terrestrail carbon balance. This paper reports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spatial-temporal changes in carbon reductions in South Korea's during 2000-2100. Future carbon (C) stock distributions are simulated for the same period using various spatial data sets including land cover, net primary production(NPP) and leaf area index (LAI) obtained from MODIS(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and climate data from Data Assimilation Office(DAO) and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KMA). This study attempts to predict future NPP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d to model dependence of soil respiration on soil temperature. Plants store large amounts of carbon during the growing periods. During 2030-2100, Carbon accumulation in vegetation was increased to 566~610gC/m2/year owing to climate change. On the other hand, soil respiration is a key ecosystem process that releases carbon from the soil in the form of carbon dioxide. The estimated soil respiration spatially ranged from 49gC/m2/year to 231gC/m2/year in the year of 2010, and correlating well with the reference value. This results include Spatial-Temporal C reduction variation caused by climate change. Therefore this results is more comprehensive than previous results. The uncertainty in this study is still large, but it can be reduced if a detailed map becomes available.
        216.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has intended to evaluate rural subjective landscape through participation of residents and visitors according to space types, and to perform comparative analysis of evaluation results between residents and visitors. This study has employed a survey method for which 58 residents of 8 villages within Seondong region at Gochang-gun and 70 visitors to Green Barley Field Festival in the target region have participated. 42 landscape view points were selected according to landscape scopes and space types, and then the preference was evaluated using landscape adjectives after showing pictures already taken for each landscape view point. This study has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whereas residents gave high points to natural landscape and artificial one at the historical culture areas in comparison with other landscape scopes, visitors gave them low points on the other hand. Second, visitors evaluated the cultivated area among space types of mixed landscapes with high value. Third, based on t-test for comparative analysi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evaluation results appeared at 6 places among 8 natural landscapes, 3 places among 12 artificial landscapes, and 3 places among mixed landscapes.
        217.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소셜네트워크와 활발하게 연계되고 있는 스마트폰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농장경영 게임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게임 내의 소셜 네트워크 플레이 경험이 스마트폰 플랫폼에서 보여지는 농장경영게임의 공간과 어떻게 연관되는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스마트폰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SNS 농장경영게임의 플레이 경험은 주로 세 개의 모듈, 정작 모듈, 환경 배치 모듈, 공간 확장 모듈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농장경영게임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공간경험이론을 바탕으로 외적 투시공간, 내부조망 공간, 상징적 기획 공간으로 나누어 각 공간에서 일어나는 플레이 경험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농장경영게임에서 플레이어는 고정된 시정을 통해 공간을 인식하고, 모듈을 재해석하여 재배치하는 데 있어 자신의 공간을 소셜 네트워크의 기본단위로 삼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공간은 단순한 배정이 아닌, 소셜 네트워크 게임에서 필수적인 협력 플레이를 일으키도록 하는 주체적 역할을 수행한다.
        218.
        2010.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기후변화에 의해 집중호우의 빈도 및 강도가 증가하고 지속적인 유역개발에 따른 토지이용의 증가는 토양침식 및 토사유출로 인한 재해 및 환경문제를 야기한다. 현재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토양침식량 산정기법은 대부분 대상유역내의 평균 토양침식량을 산출하는 총량적 개념의 경험식이므로 호우기간동안의 침식 및 퇴적의 시 공간적 변화양상을 모의할 수 없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보다 합리적인 유역규모의 강우-유사-유출 메카니즘 해석을 위해서는 기존의 집중형
        219.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ed to systematically adjust rural area development projects that have been carried out by a variety of government departments for activation of rural areas and overcome inefficient problems caused by the policies and projects promoted separately. As its alternativ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efficient improvement scheme of rural villages associated with various projects. Major agriculture/rural policies and projects that have been promoted were classified by the target space of the policies and projects as Environment space, living space, and production space. Each space was categorized into five sub-items without duplication. By assessment results of rural area improvement level and preference by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method, maintenance of rural areas was classified into four types. And outer space structure was analyzed by using Space Syntax Method(SSM).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above, facilities for improvement of rural villages were placed around representative facilities. Facility allocation was based on selection and concentration in terms of facility maintenance and on type attributes in terms of spatial aspects. And finally, alternatives schemes for setting up the basic direction of improvement of rural villages are local area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ly conscious business plan.
        220.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중 열차페리와 한일 해저터널이 대륙횡단철도 및 아시안 하이웨이와 연계되는 상황을 가정하여 이들 사업이 우리나라 국토공간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결과 연계 시 국토공간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인 것으로 도출되었다. 부분적인 결과를 볼 때 모든 지역이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고, 중국의 환황해권은 기존의 해상경로가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이외 지역은 연계될 시 그 효과가 더 좋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구체적으로 연구되지 못한 연구분야의 연구 시발점이라는 점에서, 후속연구와 관심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 큰 의의를 가진다. 또한 대규모 인프라 연계사업이 국토공간내 연계에 따른 파급의 규모, 영향권 변화, 균형발전의 기여정도를 네트워크를 구축해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정책적 제언을 시도한 점에서 학문적 기여가 있다고 사료된다.
        11 1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