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8

        201.
        200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일본의 제3기 퇴적분지 내 분포하는 주요 벤토나이트 광상인 Myogi, Tsukinuno, Dobuyama 및 Kawasaki 광상의 산상과 성인을 비교하였으며, 각 광상에서 산출되는 대표적 벤토나이트를 대상하여 광물학적 특성 및 물리화학적 특성이 비교되었다. 일본에서 산출되는 벤토나이트 광상은 신생대 제3기 마이오세기~플라이오세기에 형성된 녹색응회암대 내에 주로 분포한다. Myogi, Tsukinuno 및 Kawasaki 광상은 속성변질작용에 의해, Dobuyama 광상은 열수변질작용에 의해 형성 되었다. 속성변질광상인 Myogi, Tsukinuno 및 Kawasaki 광상은 층상형 또는 성층형 광체형을 보이나 열수변질광상인 Dobuyama 광상은 콘형의 광체형을 나타낸다. 이 광상들의 형성 시기는 1.8~21 Ma까지 넓은 년대 범위를 보이나 대체로 초기~중기 마이오세기에 형성되었다. 몬모릴로나이트 함량비가 가장 높은 Dobuyama 광석이 높은 표면적, CEC, MB 흡착량 및 강도 값을 보인다 몬모릴로나이트 함량비도 다소 높고 Na-형인 Tsukinuno 광석은 강 알카리성, 높은 점도 및 팽윤도를 보인다. Na-Ca 혼합형인 Kawasaki 광석들은 Na-형에 비해서는 낮은 점도와 팽윤도를 보이나 Ca-형인 Dobuyama 보다는 다소 높다. 제올라이트 함량비가 높은 Myogi 광석은 Na-형이나 몬모릴로나이트 함량비가 가장 낮기 때문에 낮은 점도, MB 흡착량, 강도값을 나타내나 CEC와 표면적 값은 다소 높다. 이는 제올라이트의 영향으로 생각된다. 대체적으로 수용액계에서 Na-형은 강한 분산이 초래되나 Ca-형은 응집이 보다 강하게 일어나며, 두 유형 모두 매우 서서히 응집이 초래되었다. 벤토나이트의 물성은 몬모릴로나이트의 함량, 층간 양이온종이나 불순광물(특히 제올라이트)에 의해 주로 규제되는 시료도 있지만, 몇 시료는 이와 일치되지 않는다. 이는 이 연구에서 확인치 못한 몬모릴로나이트의 층전하 간과 같은 결정-화학적 및 몬모릴로나이트의 형상비와 같은 결정 형태적 특성에 의한 영향일 것으로 해석 된다.
        206.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산업체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는 세 종류의 유기­스멕타이트를 제조하여 Na­스멕타이트와의 제반 물성을 비교함으로서 유기­스멕타이트의 활용을 위한 과학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 연구를 위하여 제4가 암모늄 양이온에 속하는 Hexadecyl­trimethylammonium(HDTMA), Benzyldimethyltetradecylammonium(BDTDA) 및 Cetylpyridinium(CP) 염화물을 Na­스멕타이트에 치환시켜 세 종류의 유기­스멕타이트를 제조하였다. 유기­스멕타이트인 HDTMA­, BDTDA­ 및 CP­스멕타이트는 pH 9 정도로 비교적 높은 알칼리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유기­스멕타이트는 Na­스멕타이트에 비해 극히 낮은 팽윤도, 점도를 나타내고, 짧은 시간에 강한 응집이 초래되었다. 양이온 교환능과 동일한 양의 유기 양이온을 스멕타이트에 치환시켜 제조된 유기­스멕타이트의 저면간격은 HDTMA­스멕타이트가 23.1a, BDTDA­스멕타이트가 19.2a 및 CP­스멕타이트가 23.2a로서, Na­스멕타이트의 12.7a에 비해 강한 격자 팽창이 초래 되었다. 유기­스멕타이트에 치환된 세 종류의 유기물은 250℃에서 분해하기 시작하여 400℃ 부근의 온도에서 분해가 거의 종료되었다. 이는 연구된 세 종류의 유기­스멕타이트가 250℃ 미만에서 안정함을 의미한다. 연구된 세 종류의 유기­스멕타이트는 대체로 유사한 광물학적, 물리­화학적 및 열적특성을 나타낸다. 이는 세 유기물의 화학적 성질의 유사성 때문일 것이다. 경제적인 면을 고려한다면 CP로 치환시킨 CP­스멕타이트의 활용이 매우 클 것으로 예측되며,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요구된다.
        208.
        200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새만금 미세점착성 퇴적물의 침강특성을 퇴적물 자체의 물리ㆍ화학적 기본특성과 연계 해석하기 위하여, 퇴적물의 입경분포, 광물질 구성 및 유기물 함량 조사로 구성되는 새만금 퇴적물에 대한 물리ㆍ화학적 특성 조사가 수행되었다. 새만금 퇴적물의 물리ㆍ화학적 특성에 대한 분석 결과, 새만금 퇴적물은 평균입경(52)이 비교적 크고 유기물 함량(2%)이 매우 작으며, 점착력이 비교적 자은 석영이 주된 광물질 구성성분으로 점착력에 의한 침강효과 보다는 중력에 의한 침
        211.
        200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activated sludges(Suyoung and Changlim treatment plant), such as SVI(sludge volume index), absorbance, specific surface area, and specific resistance using Buchener funnel test were investigated with changing anaerobic storage time. This experimental condition was found that it was possible to estimate a 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ir parameters such as specific surface area, specific resistance, and sludge volume index(SVI). The specific surface area and the specific resistance to filtration of the activated sludges of Suyoung and Changlim treatment plant were found as 123.6~136.6㎡/gDS and 41.5~44.9㎡/gDS(dry solid), and 1.09×1014 ~ 5.48×1014m/kg and 1.05×1014 ~ 2.48×1014m/kg, respectively. The results gave a good 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specific surface area and the specific resistance, r=2.25×1012s-8.10×1013(R2=0.8885) at Suyoung treatment plant and r=1.26×1013s-4.75×1014(R2=0.8756) at Changlim treatment plant.
        213.
        200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investigate the physio-chemical components and properties of aerosol particles in urban area sampling of aerosol particles was carried out in the campus of Hokkaido University, Sapporo, Japan, during snowfall. Aerosol particles were collected on millipore filter papers using a low volume air sampler. Their shapes, sizes and chemical components were analyzed by a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an EDX (Energy Dispersive X-ray). As a results, ice crystals of dendrite and column types were predominantly shown at mature and developing stage of snowfall intensity. The denerite and sector plate types of ice crystals were mainly originated from the sea but column types were come from soil. Scavenging effect by snowfall was greatly also shown at dendrite type ice crystals that embryo was fully developd. Al, Si elements were shown at high frequencies as compared with others. Na, Cl components were especially shown at high frequencies under the sea-breeze wind during snowfall. Anthropogenic aerosol particles had shown with irregular shapes and sizes, relatively. Mainly 3-7㎛ aerosol particles were abundant and coarse particles also could be seen during snowfall. Ca, Zn, Fe components mainly caused by spike tires from vehicles in winter season were dominant before snowfall, however the element S mainly caused by human activity was rich after snowfall. The pH values of snow in Sapporo city were higher than those at coastal area. The concentration of chemical components in aerosol particles was also affected by surface winds. Aerosol particles in urban area, Sapporo were mainly affected by human activities like vehicles and combustion with wind system. And their types were related with snowfall intensity.
        217.
        2000.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sensory evaluation of Satsuma mandarin produced in Cheju were investigated . Fruit index(width/Length), soluble solids and acid content of Citrus unshiu marc. var. miyagawa(miyagawa) and C. unshiu marc. var.(okitsu) harvested at 1st December were 1.16 and 1.23, 12.12 and 12.01, 0.97 and 1.09, respectively. and the fruit of miyagawa was showed somewhat round in shape, compared to ikitsu. the taste of miyagawa seemed to be better than okitsu. However, compared to miyagawa, peel thickness was thinner, flesh ratio was higher, and firmness was higher as 0.502kg-force in kitsu. Nevertheless there were some differences among panelist groups in sensory evaluation , middle size of citrus fruits were favorable to most panelists, but except very small or very large size of fruits, there were not so much differences in okitsu. The panelists referred to somewhat flat-shaped fruits from that sensory evaluation score was increased to 1.3 in fruit index. nevertheless there were not so much differences in full-colored fruits, the citrus peel color of reddish yellow was more favorable than greenish or pale yellow color. the score was increased more linearly according to citrusfruit produced in optimum ciltivation area, and was prefered to thinner in peel thickness , Correlation between soluble solids, acid content , Brix/acid ratio and flesh ratio with sensory evaluation score were not showed significantly, it was different to with citrus juice. This data obtained in this experiments are supposed to be applied to the quality evaluation of Satsuma mandarin produced in Cheju .
        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