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61

        202.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replacement the corncob used in winter mushroom bottle cultivation. Corncob is unstable quality in moisture content or total nitrogen(T-N) content. Fruit body yields according to the ratio of cassava stem chips mixing were compared. After treatment-1 and treatment-2, fruit body yields increased by 8.8% and 5.4% and raw material cost decreased by 7% and 19%. The results showed that cassava stem chips could replace 33% to 67% of corncob for winter mushroom bottle cultivation.
        4,000원
        203.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05년과 2007년에 시행한 중소기업기술통계조사에 모두 응한 중소 기업 중 전자부품, 영상, 음향, 통신 장비 업체(KSIC 32) 142개사를 대상으로 외부 자원 활용 과 흡수능력이 2년 후 경영성과와 혁신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흡수능력이 이 들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공동기술개발 여부와 정부지원액으로 측정한 외부 자원 활용은 성과에 유의미 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매출액에 대해서만 R&D투자비는 정(+)의, R&D인력비는 부(-)의 영향을 끼쳤다. 그리고 흡수능력의 조절효과는 측정방식과 독립변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 다. 즉, 공동기술개발을 수행할 때의 성과는 R&D투자비가 증가할수록 향상했지만, R&D인 력비는 반대로 작용했다. 그리고 정부의 자금지원이 늘어날수록 성과가 향상하는 기업은 R&D투자비가 낮거나 R&D인력비가 높은 기업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중소기업의 외부 자원 활용이 내부 역량을 대체하지 못하며 오히려 흡수능력을 축적하여 외부 자원 활용의 효과를 극대화 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공 동기술개발을 수행할 때에는 중소기업의 적극적인 R&D투자가 필요하며 정부의 자금지원은 R&D인력을 보유하고 있으나 자금을 확보하지 못해 독자적인 기술개발이 어려운 기업에 더 욱 효과적이다. 본 연구는 제한된 산업과 표본에서 이루어진 한계가 있지만, 종단적 자료를 통해 인과관계를 규명함으로써 기존 연구들의 한계를 극복하였다.
        6,100원
        204.
        2016.0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ultiple color selection techniques are successful in identifying quasars from wide-field broad- band imaging survey data. Among the quasars that have been discovered so far, however, there is a redshift gap at 5 . z . 5.7 due to the limitations of filter sets in previous studies. In this work, we present a new selection technique of high redshift quasars using a sequence of medium-band filters: nine filters with central wavelengths from 625 to 1025 nm and bandwidths of 50 nm. Photometry with these medium-bands traces the spectral energy distribution (SED) of a source, similar to spectroscopy with resolution R  15. By conducting medium-band observations of high redshift quasars at 4.7  z  6.0 and brown dwarfs (the main contaminants in high redshift quasar selection) using the SED camera for QUasars in EArly uNiverse (SQUEAN) on the 2.1-m telescope at the McDonald Observatory, we show that these medium-band filters are superior to multi-color broad-band color section in separating high redshift quasars from brown dwarfs. In addition, we show that redshifts of high redshift quasars can be determined to an accuracy of z/(1 + z) = 0.002 – 0.026. The selection technique can be extended to z  7, suggesting that the medium-band observation can be powerful in identifying quasars even at the re-ionization epoch.
        4,200원
        205.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지역 특산물인 감과피를 이용한 버섯배지 개 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감과피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 고자 수행되었으며 감과피는 경상남도 산청지역에서 곶감 을 생산하고 남은 것을 수거하여 건조한 후 사용하였고 공시균주는 ASI 2312를 사용하였다. 대조구는 혼합배지:콘코브:톱밥(220:65:15, v/v)을 혼합한 기본배지를 사용하 였고 기본배지 중 혼합배지를 5%, 10%, 15%, 20%, 30%, 40%, 50%의 건조된 감과피 처리구로 대체한 처리 구를 시험구로 사용하였다. 대조구인 기본배지에 비해 시 험구인 5%, 10%, 15%, 20%, 30%, 40%, 50% 감과피 처 리구의 T-N 함량은 감과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 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T-C 함량은 큰 차이가 없었고 C/ N율은 감과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 타내었다. 감과피 첨가량이 균사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조 사한 결과 대조구보다 감과피가 첨가된 모든 시험구에서 균사생장이 느리게 나타났다. 감과피 첨가량에 따른 배양 일수는 대조구인 혼합배지에 비해 감과피를 30%까지 첨 가하여도 배양일수와 초발이 소요일수에는 뚜렷한 차이는 없었지만 감과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배양일이 길어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혼합배지에 비해 감과피 첨가비율이 증 가할수록 갓의 직경은 감소하고 대의 길이는 길어지고 직 경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수확 후 동결 건조한 큰느타리버섯의 수분, 단백질, 조회분 함량은 대조구와 시 험구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조지방 함량은 감과피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β-glucan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10%와 15% 감과피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대조구와 비교 했을 때 15% 감과피 첨가구는 자실체 수량도 높게 나타 나고 β-glucan 함량도 높게 나타났기때문에 감과피 첨가 비율은 15%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206.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농촌진흥청 원예특작과학원에서는 2013년에 백색계 중 형종 심비디움 ‘Sweet Wedding’ 신품종을 개발하였다. 이 품종은 심비디움 ‘Cotton Club’과 심비디움 ‘Grace Kelly’를 2000년도에 교배하고 그 후대들로부터 얻었다. 온 실에서 식재 및 순화 과정을 거쳐 130개체의 실생묘를 얻었다. 2007년도에 화색, 엽형, 생장성과 같은 특성검정을 거쳐 한 개의 개체를 선발하였고 ‘원교 F1-45’로 명명하 였다. 개체번호 ‘00-0722-127’는 균일성을 가지고, 우수한 원예적 형질을 지니고 있었다. 2차 특성검정을 거친 후에 ‘Sweet Wedding’으로 명명하였다. 이 품종은 품종 은 백색계(RHS, WN155D)이며, 1개 꽃대에 11.4개의 소 화가 착생하며 화폭이 큰 편이다. 일반적인 꽃받침과 꽃 잎의 모양은 약간 안쪽으로 오므라드는 형태이다. 꽃대 는 반직립성이다. 재배여건이 양호할 경우 개화시기는 12 월 중순경부터이다.
        4,000원
        207.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빠른 기술과 시장의 변화에 대응하여, 기업의 생존과 성장을 위한 동태적 역량의 하나로 기업의 양면성 조직 특성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빠른 환경변화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높은 성과를 보이고 있는 기업은 신제품 기술개발역량 측면에서 기존 제품의 점진적 혁신을 통한 활용적 역량과 함께 새로운 시장 및 기술에 대한 탐험적 역량 둘 모두를 구축하고 균형을 갖는 양면성 조직의 특성을 갖는다. 본 연구는 기술혁신 중소기업이 양면성 조직을 구축 및 운영하는 이유와 방법, 기업의 생 존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외부 환경변화에 따른 기업의 내부적 기술혁신전략 과 기업성장단계가 양면성 조직 특성과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 양면성 조직 특성은 구조, 맥 락, 리더십 관점으로 접근하였으며, 연구 분석을 위해 제품의 산업적 특성을 달리하는 3개 중 소기업에 대해 다중사례분석을 수행하였다. 종단적 분석을 통해, 제품의 산업적 특성과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기업의 기술혁신전략 유형에 따라 양면성 조직의 구축 및 운영의 해법이 다르며, 구조, 맥락, 리더십 관점의 양면성 조직 특성이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양면성 조직 특성이 중소기업의 생존과 성 과에 중요한 특성임을 확인하였다.
        9,000원
        208.
        2015.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e mushroom growing medium for Pleurotus eryngii cultivation using persimmon peels. Total nitrogen, carbon source and protein of commercial cultivation medium used in this study was 1.34, 53.9 and 0.09 %, respectively. The C/N ratio was 40.22. The total nitrogen was increased by increasing mixing ratio of persimmon peels. The carbon source and protein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increasing mixing ratio of persimmon peels. In column test, mycelial growth of 15% persimmon peels treatment was similar with control, but mycelia of 20-50% persimmon peels treatment was growed slowly compared with control. To investigate yields of fruiting body, 15% of persimmon peels was mixed with commercial cultivation medium. The fruiting body of 15% persimmon peels treatment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yield compared with control. But, the chemical contents of 15% persimmon peels treatment were the higher than control.
        210.
        2015.10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파이로프로세싱에서 발생하는 배기체 내 요오드 포집을 위한 매질로서 고가의 은 기반 흡착제를 대체하기 위 한 상용 구리메쉬의 가능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열역학적 계산을 통해 구리 금속과 요오드 기체의 반응은 100 ~ 500℃ 온도 범위에서 자발적으로 일어나며 요오드화구리(CuI)를 형성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실험을 통해 반응 온도에 따른 요오드 포 집 효율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 1개의 구리메쉬(질량 0.26 g)를 이용하여 반응 온도를 300, 400℃로 변화하였을 때 각각 5 및 6 wt%의 요오드(초기질량 2.0 g)가 포집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반복 실험 결과를 토대로 구리메쉬 표면에 형성된 반응 생성 물(CuI)의 자발적인 탈리 현상으로 구리의 활용률이 증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응 생성물의 CuI 상 형성은 X-선 회절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표면 분석은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수행하여 그 결과를 보고하였다.
        4,000원
        212.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spotted-wing drosophila (SWD), Drosophila suzukii (Diptera: Drosophilidae), originally distributed across a few Asian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has invaded North America and Europe, but is absent from Australia. In order to export the South Korean grape cultivar Campbell Early to Australia, its potential to serve as oviposition and development medium for SWD must first be determined.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oviposition and development potential of SWD on Campbell Early, after elucidating the SWD life cycle and establishing an artificial diet-based mass-culturing system. An investigation of the life cycle under five temperature regimes (16, 19, 22, 25, and 28°C) showed that the durations of the egg, larval, and adult stages were shorten when temperature was increased from 16, 19, 22, 25, and 28°C, but pupal duration was shortest at 25°C and extended again at 28°C. A test of oviposition and development potential of SWD on Campbell Early grape clusters showed oviposition of 30.8 ± 6.8 eggs per cluster of injured grapes and 157.7 ± 16.2 eggs on a culture dish of artificial diet. However, in a similar experiment using uninjured grape clusters, only a single egg was deposited on the grape skin, which soon dried. In light of these results, newly harvested grapes left at vineyards during daily harvests are unlikely to serve as an oviposition and development medium for SWD, as long as the grapes remain uninjured.
        213.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traditional view of dust in the interstellar medium is that it is made of graphite and silicates.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evidence for complex organics being a major component of interstellar dust. Comparison between astronomical infrared spectra and laboratory spectra of amorphous carbonaceous materials suggests that organics of mixed aromatic-aliphatic structures are widely present in circumstellar, interstellar, and galactic environments. Scenarios for the synthesis of these compounds in the late stages of stellar evolution are presented.
        3,000원
        214.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served spectra of stars around the Sun have indicated that the Sun is located in a gas cavity, extending to 100pc. This gas cavity is called the "Local Bubble". The density of the interstellar medium (ISM) in the local bubble is about one tenth that of the average for the ISM in the Milky Way. Furthermore, some structures such as gas planes and strings in the local bubble are probably the result of supernovae. These, due to their low temperatures, can not be observed in the visible and infrared. The only way to do so is to measure the spectra of nearby stars so that the light of stars passing through the local bubble is absorbed by existing gas and the resulting spectral lines from absorption can be measured. In this study, we use binary stars to trace the local bubble structures through lines such as the Na I Doublet. First, we determined the observed spectral lines of stars by HARPS and FEROS echelle spectrographs. Then, we made synthetic spectra with the ATLAS9 code. Final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observational and synthetic spectra confirms the existence of the Na I Doublet in the local ISM.
        3,000원
        215.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조직배양을 이용한 효율적인 블루베리의 묘 생산 체계 개발을 위하여 수행되었다. 신초형성을 위한 초대배양을 위해서는 WPM 배지가 MS 배지보다 신초형성률 , 마디수, 신초장 등에 있어서 유의적으로 우수하였다. 식물 생장 조절제가 신초형성에 미치는 식물생장조절제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zeatin(1, 2mg·L-1), 2iP(10, 15mg·L-1), 그리고 BA(4, 6mg·L-1)를 처리하였으며, 신초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zeatin(0.5mg·L-1), 2iP(10, 15mg·L-1), 그리고 BA(0.05mg·L-1)를 처리하였다. 신초형성 에 미치는 결과는 zeatin 처리가 신초형성률, 마디수, 신 초장 등에서 유의적으로 효과적이었다. 반면 무처리와 BA 처리에서는 신초가 형성되지 않았으며, 2iP 처리의 경우 신초형성률이 낮았다. 기내 삽목으로 생산된 블루 베리 신초의 계대배양에 있어 신초 발생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은 zeatin을 농도별로 처리한 결과, 모든 농도에서 신초의 형성률과 형성된 신초의 개수는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zeatin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신초의 마디수는 증가하나 신초장은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신초 증식을 위한 적정한 zeatin 농도는 0.5mg·L-1 였다.
        4,000원
        216.
        2015.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체외 배양액에 성장호르몬 및 사이토카인의 첨가는 초기배 발육 및 생산된 배반포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돼지 유도만능줄기세포(porcine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piPSC)의 조정배지(conditioned medium, CM)가 돼지 난자의 체외성숙 및 단위발생 후 초기배 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난자-난구세포 복합체(cumulus-oocyte complex, COC)는 0(control), 25, or 50%의 줄기세포 배양액(stem cell medium, SM) 또는 CM이 첨가된 체외성숙 배양액으로 배양하였으며, 성숙된 난자는 활성화 유도 후 같은 농도의 SM 또는 CM을 첨가한 체외배양액에서 배양하였다. 체외 성숙율은 CM-25% 그룹에서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나(p<0.05), 다른 SM 또는 CM 처리구와는 차이가 없었다. 배반포 형성율은 CM-25% 그룹(29.2%)에서 대조구(20.7%), SM-50%(19.6%) 및 CM-50%(23.66%)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배반포에서의 세포수 및 세포사 비율은 SM-25% 그룹이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5). 난자의 질과 연관되어 있는 유전자들(Oct4, Klf4, Tert 및 Zfp42)의 발현은 CM-25% 그룹에서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p<0.05). 따라서 본 실험의 결과 체외성숙(IVM) 및 체외발달(IVC) 배양액에 25% 수준의 CM의 첨가는 돼지 단위발생 난자의 배발달과 난자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217.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에서 영화 제작자가 사용하곤 했던 불교적 가르침의 렌즈를 통해 서 2011년도 영화 <삼사라(Samsara)>를 고찰했을 뿐 아니라, 영화가 드러 내는 윤회계에서의 그 존재를 탐구하기 위해 이러한 가르침을 사용하였다.􄤋 먼저 텍사스 포트워스(Forth Worth)의 텍사스 기독교 대학(Texas Christian University)에서 반조학(反照學) 동호회를 대상으로 한 영화를 서술하면서 윤회와 자신과의 상호 작용에 대한 간략한 계보 및 벨기에의 종교·문학·역사 국제협회(International Society for Religion, Literature and Culture) 에서 영화에 대해 강의한 원고로 시작하였다. 그 다음 섹션에서는 영화 제작자들이 자신들의 영화를“비언어적, 안내하 는 명상이라고 묘사하기 때문에 영화 <삼사라>에 존재하는 반조적 요소들에 초점을 맞추어 요약하였다. 그리고 최근의 세 학술서들의 출판에서 분명하 게 드러나는 이 주제에 대한 학술적 관심을 고려하면서 불교와 영화라는 주 제를 기술하였다. 마지막에는 윤회에서 인간의 조건에 대한 묘사에 초점을 맞추면서 상호 의존, 무상(無常, anicca), 고(苦, duh.kha) 등과 같은 원리들을 사용하여 영 화에 대한 불교적 해석을 제시하였다. 이 섹션에서는 또한 영화 제작자들의 시간 묘사, 고, 기타 불교와 관련된 주제들을 검토하였다. 이와 같은 불교적 해석을 미국의 영화 비평가들이 제기한 해석들과 서로 비교함으로써 이 영 화를 윤회에 대한 불교적 이해를 탐구하는 반조의 도구로서 고찰하는 것으 로 결론을 맺었다.
        8,400원
        220.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난 식재용토 대체용으로 경량기포 콘크리트 부산물(Autoclaved Lightweight Concrete; ALC)을 여러 난과식물의 재배에 이용한 결과 동양란 심비디움 ‘Gengi’의 생육은 경량콘크리트 부산물인 ALC에서 가장 좋았으며 특히 화경 추대는 다른 기존의 식재용토에 비해 월등히 양호하였다. 엽록소 함량은 하이드로볼 처리구에서 높았고, 엽록소형광(Fv/Fm)은 ALC에서 가장 낮았다. 서양란 심비디움 ‘Majolica’의 생육은 휴가토에서 가장 좋았으나 화경수는 휴가토와 ALC에서 많았다. 따라서 ALC는 심비디움의 화경 형성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착생란인 호접란의 생육은 원예용 혼합 상토에서 가장 좋았다. 동양란과 서양란 심비디움에서 화경 형성에 ALC가 좋았던 것과 달리 호접란은 바크 식재구에서 화경이 가장 많이 형성되었다. 엽록소 함량 역시 바크 처리구에서 높았고, Fv/Fm은 ALC에서 자란 심비디움에서 높았고 착생란인 호접란은 보수력이 좋은 상토 처리구에서 생육이 가장 좋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 건축부산물인 ALC는 지생란인 동양란과 서양란 심비디움의 생육과 화경 발달에 효과적이었으며 휴가토, 녹소토, 혹은 하이드로볼 대체용으로 이용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