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88

        201.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유통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신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경동시장에서 구입한 63종의 한약재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 및 사구체혈관간 세포의 증식억제능 탐색 활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강진향, 고련피, 대풍자, 목향이 RMC 세포의 증식을 50% 이상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ORAC와 DPPH assay를 통한 항산화 활성을 확인한 결과 백단향, 백렴이 가장 우수한 ORAC 활성 효능을 보였으며, DPPH 라디칼 소거활성에서는 계혈등, 귀전우, 대풍자, 반대해, 백단향, 백렴이 우수한 효능을 나타냈다. 이 중 대풍자 추출물과 목향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과 사구체혈관간세포 증식억제능 모두 뛰어난 효능을 나타냈으나, 목향이 함유하고 있는 aristolochic acid는 임상적으로 신장에 독성을 일으켜 신장질환 치료제에서 제외되는 한약재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가장 뛰어난 효능을 보인 대풍자 추출물은 신장질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한약재 후보물질로서 분획별 항산화 활성과 유효성분 규명의 연구가 요구된다.
        202.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시설오이로 많이 재배되고 있는 4 품종을 선발하여 생육단계별로 DPPH radical 소거활성, 아질산염 소거활성, ABTS 소거활성 그리고 항산화효소 활성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장죽청장 품종이 모든 생육단계에서 DPPH radical 소거활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그 외 품종들 간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또한 생육단계별로는 수확기에 못 미친 미성숙단계에서 DPPH radical 소거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활성은 pH가 1.2일 경우 모든 품종과 생육단계에서 40% 이상 분해시켰으며, 특히 장형낙합과 신조은백다다기 품종이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또한 pH 4.0에서는 추출물 모두에서 30% 이상의 아질산염 소거활성을 나타냈으며, pH 6.0에서는 대부분 활성이 없었다. ABTS 소거활성은 장죽청장과 늘푸른 청장 품종이 다른 품종보다 상대적으로 다소 높은 소거능을 나타냈고, 생육단계별로는 대부분의 품종에서 ABTS 소거능에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SOD 활성은 모든 품종과 전 생육단계에서 95% 이상의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품종 간에 거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CAT 활성은 전체적으로 장죽청장과 늘푸른청장 품종이 그리고 APX 활성은 늘푸른청장, 장형낙합 품종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냈고, POX 활성은 생육단계별로 뚜렷한 경향을 보여 수확기에 이를수록 활성이 현저히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본 실험의 결과, 오이의 높은 항산화능을 확인함으로서 향후 향장소재 및 식품소재로서의 이용 가치성을 증대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209.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금불초(Inula britannica) 종(種) 및 개화시기에 따른 금불초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을 알아보았다. 이들 추출물의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살펴본 결과, 만개한 금불초 꽃(I. britannica var. chinensis)추출물의 경우 500 μg/mL의 농도에서 79.89%의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보였으나, 금불초 유사종인 가는 금불초(I. britannica var. linariaefolia Regel), 가지 금불초(I. britannica var. ramosa) 및 버들 금불초(I. salicinavar. asiatica)의 꽃 추출물의 경우 free radical 소거활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꽃이 만개하였을경우 꽃 추출물 분획에서는 93.62%의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봉우리 추출물 분획은 43.28%, 낙화추출물 분획은 14.11%를 나타냈다. 금불초의 종 및 개화시기를 선정 후, 추출용매, 온도, 시간을 조절하여 최적의 추출조건을 확립하였다. 그 결과, 65 ℃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이 나타났으며, 시간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개한 금불초 꽃 추출물에 대하여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 실험에서 세포보호효과를 측정한 결과, 5 ~ 50 μg/mL의 범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50 μg/mL의 농도에서 τ50이 116.1 min으로 비교물질인 (+)-α-tocopherol에 비해 1.58배 더 큰 세포 보호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HPLC로 금불초 꽃 추출물을 분석한결과 flavonoid의 일종인 quercetin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65 ℃ 에탄올로추출한 만개한 금불초 꽃 추출물의 경우 다량의 quercetin을 함유하며, 그로 인하여 free radical 소거활성 및ROS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효과적으로 보호함으로써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를 보호하는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210.
        2013.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compare the changes in fruit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depending on the ripeness degree of the banana flesh and peel (unripe, ripe, and over ripe) when stored at room temperature for 6 days. The moisture contents showed differences such as the significantly lower maturity in the over ripe fruit peel and the moisture content increase in the fruit flesh during ripening. During the maturity stage, the L and b values decreased, while the a value increased. During ripening, the titratable acidity (TA) decreased, while the soluble solids contents (SS), sugar acid ratio (SS/TA), total sugar, and reducing sugar contents increased, respectively. Also during ripening, the glucose and the fructose contents increased considerably, thus resulting in the decrease of the sucrose content. In addition,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phenolic substance, which was part of the fruit skin, showed more favorable reaction to radical ability than the fruit flesh. Furthermore, the DPPH,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 and reducing power showed better reaction for the fruit skin than for the fruit flesh, and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antioxidative activity as a result of the higher levels of phenolic substance. Therefore, maturit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changing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a banana. The unripe peels could be used as antioxidant ingredients and they could also enhance the biological activity in the utilization of by-products.
        211.
        201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by water and 70% ethanol extract from durian (Durio zibethinus.) seed, sarcocarp and peel. Durian extract were studied for reducing sugar content, polyphenol content, superoxide dismutase (SOD) like activity, electron donating ability, nitrite scavenging ability, flavonoid content, hydroxy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ducing sugar content were increased peel 〉 sarcocarp 〉 seed. Total polyphenol, flavonoid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and SOD like activity were increased seed 〉 peel 〉 sarcocarp.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relatively high as 21.90±0.50mg/g in the ethanol extract of the seed.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was relatively high as 62.08±2.63% in the water extract of the seed. Nitrite scavenging ability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Hydroxy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increased seed 〉 peel 〉 sarcocarp, was relatively high as 58.27±1.13% in the water extract of the seed.
        212.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flower. The samples were collected in Jangyyeon-myeon, Goesan-gun, Korea and extracted with either hot-water or ethyl acetate (EtOAC). In DPPH,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e2+ chelating activity of EtOAC extracts were 93.41%, 98.43%, and 7.38%, while those of hot-water extracts were 86.93%, 41.33% and 47.68% at 200 μg/ml, respectively. In ΦX-174 RF I plasmid DNA cleavage assay, the protective effects of EtOAC and hot-water extracts against oxidative DNA damage were 82% and 17% at 200 μg/ml, respectively. Both extracts showed the protective effect of DNA migration by oxidative stress in intracellular DNA migration assay. Both extracts had no cytotoxity in NIH3T3 cells. Several polyphenolic compounds were identified such as 2-methoxy-benzoic acid, vanillic acid, phytol and pulegone by GC/M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extracts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flower showed antioxidant activities and protective activities against oxidative DNA damage and showed the possibility to be used as an effective natural antioxidants.
        216.
        2013.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rmal processing of (+)-catechin was carried out at 121℃ for different reaction times (1, 2, 3, 6, and 12 h). The reacted products, compounds (1) and (2), were isolated and quantified via HPLC analysis.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processed (+)-catechin and its isolated compounds for different reaction time was measured via radical scavenging assays using DPPH and ABTS+ radicals. Additionally, the anti-obesity efficacy of the thermal treated (+)-catechin was evaluated via porcine pancreatic lipase assay. The reacted (+)-catechin for 3 h had a slightly higher antioxidant capacity than that the parent (+)-catechin. Products 1 and 2, which were isolated from the reacted mixture during 3 h, showed an antioxidant capacity, and these two compounds may be responsible for the antioxidant capacity of processed (+)-catechin. Simple thermal treatment of (+)-catechin can be used to produce (+)-epicatechin (1) and protocatechuic acid (2) with enhanced antioxidant and anti-adipogenic effects.
        217.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 감초(Glycyrrhiza uralensis) 및 우즈베키스탄 감초(Glycyrrhiza glabra)를 이용하여 원산지별 감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에 관한 비교 연구를 수행하였다. 감초 추출물의 자유 라디칼(1, 1-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50)은 각 3가지 원산지 중 한국 감초가 50% 에탄올 추출물(21.15 μg/mL),에틸아세테이트 분획(29.15 μg/mL), 아글리콘 분획(3.26 μg/mL)에서 모두 가장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루미놀-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2O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감초 추출물의 총 항산화능(OSC50)은 중국 감초의 50% 에탄올 추출물(1.00 μg/mL)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0.34μg/mL)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을 때 원산지별 감초의 50% 에탄올 추출물과 아글리콘 분획 모두 농도범위(5 ~ 50 μg/mL)에서 농도의존적으로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아글리콘 분획(10 μg/mL)의 경우 한국 감초(τ50 = 847.4 min)가 동일한 종인 중국 감초(τ50 = 194.3 min)보다 약 4배 더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미백 소재로만 주로 사용되어오던 감초 추출물이 천연 항산화제로서 화장품 분야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세포보호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보아 감초 추출물이 자외선으로 유도된 1O2와 외 ROS로부터 피부를 효과적으로 보호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218.
        2013.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healthy foods or natural preservatives with garlic (Allium sativum L.), ginger (Zingiber officinale R.) and onion (Allium cepa L.). The polyphenol contents of garlic, ginger and onion juice were analyzed, and they were tested for antioxidative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Their antioxidative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their electron donating activity (EDA), SOD-like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blity (NSA). Their antibacterial activities were tested against four kinds of pathogenic bacteria (L. monocytogenes, S. aureus, E. coli O157:H7, and Sal. typhimurium). The yields of the garlic, ginger and onion juice were 28.2, 24.3 and 38.3 percent, and their total polyphenol contents were 1,254, 1,523 and 412 mg/100 mL, respectively. The EDAs of the garlic and ginger juice ranged from 95 to 98 percent and over 90 percent in the 40 percent diluted solution. Their SOD-like activities were 64 and 67 percent, repectively. Onion juice had lower activities in EDAs and SOD-like activity than those of garlic and ginger juice. The NSAs of the garlic, ginger and onion juice were 56.5, 52.4 and 50.2 percent, respectively. The garlic juices showe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four kinds of pathogenic bacteria (L. monocytogenes, S. aureus, E. coli O157:H7 and Sal. typhimurium) and the highest such activity against Sal. typhimurium. From all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it can be concluded that garlic, ginger, onion can be used as a natural preservatives and can help develope healthy foods because of their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abundunt polyphenols.
        219.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생강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활성을 살펴봄으로써 화장품 원료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모든 실험은 생강나무의 50 %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분획, 아글리콘(aglycone) 분획을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소거활성은 기존에 잘 알려져 있는 항산화제인 (+)-α-tocopherol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e3+-EDTA/ H2O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에 대한 세 분획의 소거활성(총항산화능)은 대표적인 항산화제인 L-ascorbic acid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Rose-bengal로 증감된 1O2에 의한 적혈구 파괴에서, 50 % 에탄올 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세포보호 효과는 농도 의존적(1 ∼ 25 μg/mL)으로 증가하였다. 10 μg/mL 농도를 기준으로 비교하였을 때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τ50은 361.0 min으로 가장 높은 세포 보호 활성을 나타내었다. 타이로시네이즈 저해활성에서 에틸아세티이트 분획과 아글리콘 분획은 알부틴보다 높은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생각나무 추출물은 활성산소종을 소거하는 항산화제로 여러 산업 분야에 응용 가능할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알부틴을 대체하는 미백 기능성 소재로서 응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220.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xtraction characteristics including total polyphenol compound content (TPC) and the antioxidative effect of Rumex crispus root extract on commercial corn oil. Extraction yield was increased with extraction temperature but decreased with extraction ratio.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romatics content were found among the extracts prepared with various extraction conditions; extraction ratio, extraction temperature, extraction pH and composition of extractant. Total flavonoid content of the extract was increased with extraction temperature and extraction pH, and highest value of it was found when extractant composition of ethanol in water was 75%. Total polyphenol compound content (TPC) of the extract with 10 fold extraction ratio showed the highest value,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PC was found with extraction temperature. Reducing power and DPPH (α,α-diphenyl-β-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bility (RSA) of the extract in spectrophotometric absorbance were decreased with extraction ratio but increased with extraction temperature and showed 63.1%~98.4% and 67.6%~86.7% of those of ascorbic acid in reducing power and DPPH RSA, respectively.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the extract on corn oil were 84.8~93.0% of that of commercial butylated hydroxytoluene, the antioxidant index value was highest when the ethanol composition to water in extractant was equal rat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