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5

        201.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undoo, new variety of kidney bean (Phaseolus vulgaris) was developed by Gyeonggi-do Agricultural Research andExtension Services in 2001. It was bred by pure line selection from Yangpyeng local collection. Sundoo has determinate growthhabit, ellipsy round
        202.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진선」은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 1993년에서 전국에서 수집한 잇꽃 재래종 36계통에 대하여 1995~1998년까지 특성 검정한 결과 조숙 내병 다수성으로 유망한 계통을 순계 분리하여 육성한 품종으로 탄저병에 강하고 수량성이 높은 우량품종으로 주요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개화기는 6월 22일이었으며 주당성숙화두수는 청수홍화 13.9개에 비하여 0.8개 많고 등숙율은 청수홍화 78%에 비하여 2% 높았다. 2. 조단백질 함량은 청수홍화 13.8%에 비하여 2.3%, 주요지방산비율은 리놀 레산이 청수홍화 78.3%에 비하여 1.7% 많고 올레산이 청수홍화 11.7%에 비하여 3.4% 적었다. 3. 탄저병 발병주율은 청수홍화 22.3%에 비하여 3.7%로 낮았으며 10a당 종 실 수량은 237.7kg으로 청수홍화 214.9kg에 비하여 11% 증수하였다.
        203.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포니카 중대립 소비벼의 입중 및 입형 관련형질의 유전양상을 구명하기 위하여, 2조합의 자포니카 품종간 F1 및 F2 를 이용하여 현미 천립중, 현미 길이, 넓이, 두께 등의 유전 및 관련형질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장폭비를 제외한 현미 천립중, 현미 길이, 넓이, 두께 등은 익산 429호/소비벼, 익산 430호/소비벼 두 조합의 F1 에서 모두 양친의 평균치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현미 천립중은 F2 집단에서 18.4g-32.2g과 19.5g-33.4g 범위로 연속적인 빈도분포를 보였다. 2. 현미 천립중에 대한 광의의 유전력은 두 조합에서 각각 89.00과 89.06으로 높게 추정되었으며, 현미의 길이에 대한 유전력은 각각 97.45와 97.35로 관련형질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3. 입중과 입형 관련형질 상호간에는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으며, 현미 천립중은 현미 길이, 넓이, 두께 순으로 고도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소비벼의 입중 및 입형관련 형질들은 우성으로 작용하는 다수의 유전자가 관여하는 양적형질로 나타났으며, 교배 모본으로 활용할 경우 초기세대에서 선발이 가능하여 육종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204.
        200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six-rowed naked barley cultivar, “Saenul”, was developed from a double cross between the F1 of Yonezawamochi/Olbori and Dangomugi at National Ho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RDA in 2001. It has the traits of early maturity, cold resistance, re
        205.
        200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soy sauce and soy paste soybean variety, “Jinmi”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HS12 (Jangyeobkong/Hwangkeumkong) and Mallikong by the soybean breeding team of the National Ho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in 2001. The preliminary, advanc
        206.
        200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peanut variety “Dakwang (Arachis hypogaea L.)”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Suwon80 and ICG11 at the National Ho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NHAES) in 2001. This variety has Shinpung type and erect growth habit with large size obovate
        207.
        200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 Namahn” (Sesamum indicum L.) was developed at the National Ho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NHAES) in 2001. It was derived from the cross between “Suwon87 ” of white seed coat color and short stem, and “Nongki S-2” of phytophthora blight tolerance
        208.
        200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oongmi is the first ginger variety developed by pure line selection from 54 Korean local accessions. The selected pure line having high quality and high yielding was tested for regional adaptation, and it was superior to those traditional accessions in g
        209.
        200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Jaeanchal” is a new six-rowed, naked and waxy barley cultivar developed by National Crop Experiment Station (NCES), RDA in 2001. This cultivar wa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Suwon261” and “SB881115-6” in 1989. The final selection was made at NCES in 1
        210.
        200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red colored rose(Rose hybrida Hort.) cultivar Redtem was developed as the Flo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of Gyeongnam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ARES) af ter going through seeding and line selection in 1997, and their character i
        211.
        200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Japonica rice variety 'Weonhwangbyeo', released in 1999,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Milyang96//Milyang95/Iri390 made at the Yeongdeog Substation of National Yeong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RDA. The average heading date of Weonhwangbyeo i
        212.
        200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unjangbyeo' is a japonica rice cultivar developed from a cross between Sangsanbyeo and Suweon 397 by Sangju Substation of National Yeong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RDA in 1999. The cultivar is early matured with heading date of Aug. 2 in ordinar
        213.
        200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ujinbyeo', a new mid-late maturing japonica rice variety (Oryza sativa L.), was developed by the rice breeding team of National Yeong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NYAES) in 1999 and released in 2000. This variety originated from a three way cross
        214.
        200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angmibyeo' is a japonica rice cultivar developed from a cross between Sambaegbyeo and Ou 316 by Sangju Substation of National Yeong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R.D.A. in 1998. The cultivar is early maturing with heading date of August 7 in ordina
        215.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참당귀 신품종 "안풍"은 작물시험장에서 지역수집종을 개체 및 집단선발하여 육성한 품종이다. 1999년부터 2001년까지 수원, 평창, 봉화 3지역에서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한 결과 저추대 고품질 다수성으로 인정되어 2001년 농촌진흥청 농작물직무육성 신품종선정심의위원회에서 신규품종으로 결정되어 품종보호출원을 하였다. 안풍의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엽색은 녹색이고 줄기색은 녹색에 자색을 띠며 꽃색은 적자색이고 종피색은 담갈색이다. 뿌리의 표피는 황갈색이고 육질은 백색이다. 2. 초장은 만추당귀 보다 길며 엽수는 비슷하였으나 생육기간중 지상부 생육은 만추당귀에 비하여 양호하였다. 뿌리는 만추당귀에 비하여 근장이 길고 근경이 굵으며 지근수가 많아 주당 건근중이 무거웠다. 3. 점무늬병은 만추당귀와 비슷하였으나 뿌리썩음병은 다소 적었다. 응애는 만추당귀와 비슷하였다. 4. 온상육묘이식 재배시 1년차에 안풍의 추대율은 0.6%로 만추당귀 0.3%보다는 다소 높았으나 진부재래 49.3%보다 낮았다. 노지육묘이식 재배시 2년차에 추대 및 개화되는 정도는 0~15%정도이다. 5. 3개지역 3년간 안풍의 평균수량은 3,630 kg/ha로 만추당귀 3,270 kg/ha보다 11% 증수되었다. 6. 안풍의 엑스함량은 46.3%, 데쿠루신은 3.48%, 데쿠루시놀 안젤라이트는 2.79%로 주요성분 모두 만추당귀 보다 높았다.
        216.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작물시험장에서 1993년 9개 지역으로 부터 수집하여 분리육성한 무주수집종이 2001년에 신토로 명명되어 보급하게 되었는데 그 주요특성은 다음과 같다. 1. 엽색은 녹색이고 줄기색은 녹색이다. 꽃색은 흰색, 뿌리색은 암갈색으로 타 지역 재래종과 비슷하다. 2. 지상부생육은 평창재래에 비하여 초장이 짧고 경수, 분지수가 많아 지상부 생육이 양호한 편이었다. 뿌리생육은 평창재래에 비하여 근경, 지근수가 많아 건근중이 높다. 3. 흰가루병에는 평창재래보다 강한 특성이 있다. 4. 생산력검정시험에서 평창재래에 비하여 신토가 10% 증수되었으며 지역적응시험 3년간 3개 지역에서의 평균 건근수량이 2,260 kg/ha로 대비품종인 평창재래에 비하여 20 % 증수되었다.
        217.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single cross waxy corn hybrid, 'Mibaekchal' with white kernel was developed by the Maize Experiment Station (MES) of Gangwon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GARES) in Hongcheon in 2001. 'Mibaekchal', which has high yield and good gra
        218.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single cross hybrid, 'Dumechal', is a white waxy corn (Zea mays L.) developed by the Maize Experiment Station(MES) of Gangwondo Agricultur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GARES) in Hongcheon in 1999. 'Dumechal' was made by crossing two inbred lin
        219.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sesame variety 'Namback'was developed at the National Crop Experiment Station through a cross between commercialiy utilized varieties of high yielding 'Danbackkae' and late seeding of second cropping daptable 'Chinjukkae' at 1989 and had been select
        220.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wheat variety, 'Anbaekmil'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Saemil and Geurumil by the wheat and barley breeding team of the National Yeong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NYAES) in 2001. A promising line, YWM2078- 3B-2-3-7, was selected in
        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