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4

        202.
        2007.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많은 오징어 간유의 미세캡슐화 공정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부형제 조성을 달리하여 미세캡슐화 특성을 살펴본 결과, 모든 조성비에서 유화액의 점도는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고, Na-caseinate의 함량이 높을수록 유화안정성이 증가하였다. 미세캡슐화 효율은 Na-caseinate와 cyclodextrin의 비율이 4:6 > 6:4 > 5:5 > 3:7 > 7:3의 순으로 4:6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미세캡슐화된 분말의 흡
        203.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aging-related effects on the activities of xenobiotic metabolizing enzymes of rat liver by dietary supplementation of Korean red ginseng water-extract. Rat did not show any discernible signs of the rejection symptoms, and blood GOT and GPT levels were not influenced by ginseng water extracts, Cytochrome 450 levels and NADPH cytochrome P45O reductase, p-450 dependent ethoxycoumarin O-deethylase, and benzphetamine N-demethylase activities were decreased with aging, however, these phase I system enzymes activities in the ginseng group of24 months were well maintained compared with normal group. But, Levels of cytochrome bs and NADH-cytochrome b5 reductase activities were also decreased with aging and were not found a clear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Glutathione-s-transferase activity, phase II enzyme system, in liver cytosols was also decreased in old ages, but the degree of decrease was higher in normal group than in giuseng supplemented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ong-term supplementation of red ginseng water extracts from weaning to 24 months do not show any side effects to rats, and retard age-related deteriorations of xenobiotic metabolizing enzymes activities in old ages.
        204.
        2005.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미나리즙이 과산화지질과 알코올을 급여한 흰쥐의 지질구성, 간장기능과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했다. 혈장 총콜레스테롤량은 과산화지질과 알코올을 급여한 처리군 모두가 정상군보다 증가하였다. 그러나 미나리즙 처리군들은 대조군보다 낮았다. 혈장HDL-cholesterol량은 미나리즙 처리군들이 대조군에 비하여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정상군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혈장 Triglyceride량은 과산화지질과 알코올을 급여한 처리군 모두가 정상군 보다 증가하였으나, 미나리즙을 처리한 군이 대조군 보다 낮은 값을 보여,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다. 간장의 총콜레스테롤량 및 Triglceride량은 대조군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정상군과 미나리즙 처리군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혈장 및 간장의 TBARS량은 정상군과 미나리즙 처리군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대조군 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다. 혈장 GOT 및 GPT의 활성치는 과산화지질과 알코올의 급여에 의해 증가하였으나, 미나리즙 처리에 의해 하락했다(P〈0.05). 간장 GSH-Px, SOD 및 CAT활성치는 미나리즙 처리에 의해 증가하였다.
        205.
        200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시호내에 존재하는 간장기능증진에 효과적인 기능성 물질의 소재를 탐색하기 위한 기초연구의 일차실험으로 CCl4에 의해 간장을 손상시킨 흰쥐에게 MeOH 시호추출물을 수준을 달리 하여 급여한 후 간 손상 치유 및 기능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처리군 간에 비교, 검토했다. 그 결과, 혈중 AFP및 Total protein량은 시호추출물처리에 의해 감소했다 그러나 혈중 Albumin의 농도는 일정한 경향을 보여주지 않았다. 혈중 AST와 ALT의 활성치는 시호처 리 군에서 하락하였다. 혈중 ALP와 LDH의 활성치는 시호첨가군에서 감소했다 그러나 γ-G7의 활성치는 처리군간에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혈중 Total cholesterol과 Triglyceride량은 전 처리 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주지 않았다.
        206.
        2004.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medicinal plants on ethanol-metabolism. Sprague Dawley rats divided into 6 groups (n=8), fed with 10% ethanol and diets supplemented with each 1% of four plant extracts, α-tocopherol (as positive control) and fiber (as negative control) for 4 weeks. Group supplemented with plant extract of Ulmus davidiana showed the most high value (322 nM NADH/min/mg protein) in alcohol dehydrogenase (ADH) activity among the experimented groups (144~312 nM NADH/min/mg protein) at p〈0.05. Groups fed with Lagerstroemia indica and Zelkova serrata extract-supplemented diets indicated high activity in aldehyde dehydrogenase (ALDH, 16.7 & 12.3 M NADH/min/mg protein), which were comparatively lower than 20.1 M NADH/min/mg protein of α-tocopherol fed group. All of the groups fed with plant extracts indicated very low GPT activities (13.9~17.3 IU/l) compared to those (146.1 & 128.6 IU/l) fed with α-tocopherol and fiber at p〈0.05. From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Lagerstroemia indica have a potent ethanol-metabolizing activity.
        207.
        2004.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감잎 phenolic compounds가 횐쥐에서 에탄올투여로 생성된 oxygen free radical대사와 각종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험동물을 정상군, 감잎 phenolic compounds 투여군(70 mg/kg), 에탄을 단독투여군, 에탄올과 감잎 phenolic compounds 소량 병합투여군(70 mg/kg), 에탄올과 감잎 phenolic compounds 대량 병합투여군(140 mg/kg)의 5군으로 나누어
        208.
        2004.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매실 에탄올추출물이 알코올투여로 유발된 횐쥐의 간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동물을 정상군, 매실 에탄올추출물 200 mg/kg 투여군, 알코올투여군(35% ethanol 10 mL/kg, b.w./day), 알코올 및 매실 에탄올추출물 200 mg/kg 병합투여군과 알코올 및 매실 에탄올추출물 400 mg/kg 병합투여군의 5군으로 나누어 6주간 사육하였고, 체중증가율 및 식이효율, 혈청중 ALT와 AST활성, 간손상 억제 효과를
        209.
        200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예로부터 우리나라와 중국을 비롯한 동양에서는 음양곽을 강정제 및 정력강화제로 사용되어왔다. 본 연구는 흰쥐에게 장기간 음양곽 물 추출물을 공급하고(0.025%,w/v) 노화에 따른 생리적인 변화와 간의 이물질 대사 효소군의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흰쥐에 음양곽의 물 추출물 공급으로 특이한 질병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24개월에서 간과 신장의 무게는 대조군에 비해 다소 증가하였으며 혈청의 glutamate-oxaloacetate transminase와 glutamate-pyruvate transminase 활성도도 증가하였다 간의 이물질 대사효소 중 cytochrome P450 NADPH-cytochrome P450 reductase, benzphetamine N-demethylase ethoxycoumarine O-deethylase, glutathione S-transferase의 활성도는 두 그룹 모두 노화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음양곽 물 추출물 투여에 의해 감소현상이 악화되었다. 간의 cytochrome B5의 함량과 NADH cytochrome b5 reductase의 활성도도 노화에 따라 감소되었으나 같은 나이에서 두 그룹간의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흰쥐에 장기간 음양곽 물 추출물을 공급은 노년기에 노화에 따라 감소하는 간의 이물질 대사 기능에 부담을 수도 있다는 것을 암시해 준다.
        210.
        2000.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초유 전지질 분획에서 주요 구성지방산 조성은 eicosenoic acid 30.88%, linoleic acid 23.4%, oleic acid 19.94%, palmitic acid 10.52% 순으로 나타났으며, n-9계열 일가불포화지방산이 약 60% 이상을 차지하였다. 또한 산초유의 각 지질 분획의 구성지방산 조성에서는, triglyceride 분획에서 eicosenoic acid가 41.16%로 가장 높았고, 나머지 분획들에서는 olei
        211.
        199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미나리는 간을 보호하며 간질환을 예방, 치유하는 효능이 있는 기능성식물로 인식되어 민간요법에 널리애용되고 있다. 그래서 알콜을 렛트와 마우스에 처리하여 만성, 아급성, 급성중독을 유도하고 밭미나리 발효액과 추출물 그리고 물미나리추출물의 효과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렛트와 마우스에 에탄올을 2일동안 투여한결과 total cholesterol과 total glyceride의 수치가 증가되었으며 20일동안 밭미나리발효액과 추출물 그리고 물미나리추출물을 투여한후 에탄올을 2일동안 급여한균에서는 total cholesterol과 total glyceride의 감소 효과가 있었으나 처리간의 유의성은 인정되지않았다. 그러나 실험동물의 혈청중에 알콜에의해서 높아졌던 alanine aminotransferase 와 asparate aminotransferase는 밭미나리발효액 과 추출물에 의해서 감소되었으며 밭미나리발효액투여군에서 가장 많이 감소되어 처리간에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렛트에 10%에탄올을 10개월간 투여하여 만성알콜중독을 유발시킨다음 5일동안 물만 급여한군과 밭미나리발효액을 투여한군을 비교한바 total cholesterol은 40%, total glyceride는 60%의 감소효과가 있었으며 alanine aminotransferase 와 asparate aminotrasferase는 87.2%와 91.7%를 감소시켜 정상에 가깝게 회복시키는효과가 인정되었다. alkaline phosphatase, catalase, superoxide dismutase 및 glutathione peroxidase의 활성은 알콜의 처리에 의해서 급만성모두 유의적인 변동을 나타냈으며 밭미나리 발효액의 처리에 의해서 alkaline phosphatase와 superoxide dismutase의 활성에 특히 유의적인 감소를 가져왔다. 이와같은 결과는 물미나리보다 밭미나리발효액이 알콜성 간질환에 효능이있음을 시 사하는것이라 하겠다.
        212.
        199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feeding effects of Herba hottuynia extracts on the lipids profiles and the content of TAB-reactive substances were evaluated in rats fed a high cholesterol diet. Hot water or ethanol extracts of the dried leave were evaporated and lyophilized . The experimental animals wer edevided to four groups and fed the following diets for 4 weeks : BAsal (cholesterol-free diet), CHOL(cholesterol-enriched diet),CW (cholesterol plus water extract) and CE(cholesterol plus ethanol extract). Dietary cholesterol increased significantly the activities of serum GOT and GPT, but the extracts feeding (0.5% of diet) did not influence the activities induced by dietary cholesterol. Although dietary cholesterol increased significantly the concentrationof serum andliver cholesterol, it tended to decrease the concentation of serum triglycerides. CHolesterol feeding had a lowering effect on the lipid peroxidation value of serum, but not inliver.Furthermore, the extracts feeding, especially water extract, decreased markedly the liver peroxidation value. The results suggest that Houttyunia cordata extracts have an in vivo antioxidant effect, judged from the TBA value in the liver rats fed a high cholesterol diet.
        213.
        199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toxicity of purified ricin from Ricinus communis to rats was examined by histological and histochemical methods. Sprague-Dawley rats were injected intraperitoneally with 75㎍/㎏ body weight of ricin and were sacrified at intervals of 6, 24, 48 and 120 hours after injection. The major morphological changes, such as cloudy swelling, hydropic degeneration, necrosis, fatty change, blood congestion, increase of Kupffer cells in number and extension of sinusoids, were obvious in the liver of experimental group. These morphological changes of hepatic cells were mainly observed in both the periportal and midlobular region of hepatic lobule. The extension of sinusoids was obvious in the centrolobular region. And glycogen distribution of hepatic cells tended to decrease in the same region showing morphlogical changes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214.
        199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ouse의 CCl4에 의한 급성간장해에 있어서 마늘분말은 농도의존적으로 간세포보호효과, 간독성억제효과를 갖는 것이 인정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GOT, GPT등의 혈청학적 수치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그러나 마늘 extract 투여군에서의 간장 보호효과는 마늘분말보다도 미약하고 오히려 고농도 투여군인 10ml/kg 투여군에 비하여 저농도투여군인 1ml/kg에서 보다 뚜렷한 간장보호효과가 관찰되어 마늘 extract에 관한 약효, 약리작용에 관한 검토 및 독성에 관한 연구가 보다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