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78

        203.
        199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use a variety of methods to determine the optimum time for havesting corn for silage. In addition, adequate dry matter for silage must be considered along with maturity stag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using the kernel milk line to de
        4,000원
        206.
        199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국종축개량협회(韓國種畜改良協會)에서 1985년-1989년 사이에 일반(一般) 낙농농가(酪農農家)를 대상으로 실시한 산유능력검정자료(産乳能力檢定資料) 4,008두(頭)의 기록(記錄)을 이용(利用)하여 유우(乳牛)의 주요경제형질중(主要經濟形質中), 유량(乳量)에 관여하는 환경요인중(環境要因中) 년도(年度), 분만연령(分娩年齡), 농가(農家), 착유(搾乳) 기간효과(期間效果)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일반능력(一般能力)에 있어서 각(各) 형질(形質)의 평균치(平均値) 및 표준편차(標準偏差)는 실유량(實乳量)이 , 분만연령(分娩年齡) 개월(個月), 초산월령(初産月齡) 개월(個月) 그리고 착유기간(搾乳期間) 일(日)이였다. 12. 최소자승법(最小自乘法)에 의해 추정(推定)된 전체(全體) 분산(分散)에 대한 각(各) 요인별(要因別) 분산성분(分散成分)의 비(比)는 년도(年度)가 1.91%, 분만연령(分娩年齡)이 4.86%, 농가(農家)가 8.89%, 착유기간(搾乳期間)이 54.94% 그리고 오차(誤差)의 분산비(分散比)가 29.39%로 나타나 착유기간(搾乳期間)의 효과(效果)가 가장 큰 것으로 나다났다. 3. 유량(乳量)에 대한 전체의 최소자승효과(最小自乘效果) 추정치(推定値)는 6,229.31kg이였고, 년도별효과(年度別效果)에 있어서 최소자승(最小自乘) 평균치(平均値)는 1985년-1987년이 6,000.76kg, 1988년 6,028.11kg, 1989년 6,659.07kg이었다. 4. 분만연령별효과(分娩年齡別效果)에 있어서 24개월령이하(個月齡以下)는 5,456.01kg, 61-66개월령(個月齡)은 최고치인 6,565.48kg으로 분만년령간(分娩年齡間) 고도의 유의성(p<0.01)이 인정되었다. 이러한 분만연령별(分娩年齡別) 효과(效果)에 있어 24개월령이하(個月齡以下)에서부터 61-66개월령(個月齡)까지 점차 증가(增加)하다가 67-72개월령(個月齡)에 저조한 성적을 보이며 이상치를 나타냈고, 그 이후부터는 점차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5. 농가별효과(農家別效果)에 있어서는 최소자승(最小自乘) 평균치(平均値)에 있어 가장 낮은 농가(農家)에서는 4,958.50kg에서 가장 높은 농가(農家)는 7,479.07kg으로 비교적 변이(變異)가 심하였고, 이는 고도(高度)의 유의성(p<0.01)이 인정되었다. 6. 착유기간별효과(搾乳期間別效果)에 있어서 착유기간(搾乳期間)이 경과(經過)함에 따라 최소자승평균치(最小自乘平均値)가 증가(增加)하는 면을 보였으며 착유기간(搾乳期間)에 따른 실유량평균간(實乳量平均間)에는 고도의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4,500원
        212.
        1988.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활성화시킨 Succinylaminopropyl glass beads에 glutaraldehyde을 사용하여 고정화시킨 Mucor spp L42 응유효소를 치즈 커드 형성과정에 이용하고져 고정화 효소의 안정성, 재이용성, 반응의 조건, 반응조의 형태등에 대하여 탈지유(pH 5.6, )를 사용하여 반응시킨후 항온수조내에서 커드의 형성 상태를 조사하였던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고정화 Mucor spp L42 응유효소를 0.2M phosphate buffer(pH 4.6)에 0.06% sodium azide을 첨가한 액에 침지한 상태로 이하에서 보존할 경우 3개월 후에도 활력의 80%가 유지되었다. 2) 고정화 Mucor spp L42 응유효소를 탈지유(pH 5.6, )로 반응시켰을때 반응 초기에는 고정화 효소의 활력이 급격히 감소하였고, 이것은 bead에 결합되는 질소화합물과 효소의 활력간에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고정화 Mucor spp L42 응유효소에 bead와 탈지유의 접촉시간을 60 sec/ml로 하여 탈지유(pH 5.6, )로 연속적으로 반응시켰을때 6시간 이후에도 bead의 활력의 70%가 유지할 수 있었다. 4) Fluidized bed와 shaking fluidized bed을 사용하는 것이 충진반응조 보다 탈지유의 반응속도가 높았다.
        4,000원
        216.
        198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interrelationships among the acid, peroxide, iodine, thiobarbituric acid values, and changes of fatty acid compositions of some vegetable oils added to soybean milk. A storage temperature of 100℃ was used for the oxidation of the oils, and to determine of variation of the chemical properties and changes of the fatty acid composition, all the samples were carried out in every 8 hours for 40 hours. The changes in fatty acid compositions of the vegetable oils were measur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 1. The acid values of the fresh soybean, corn, and palm oils added to the soybean milk were 0.05, 0.12, and 0.06, whereas those of the oils stored for 40 hours were 0.08, 0.18, and 0.09, respectively. 2. The peroxide values of the fresh soybean, corn, and palm oils added to the soybean milk were 0.3, 1.0, and 0.3, whereas those of the oils stored for 40 hours were 1.1, 1.1, and 0.9, respectively. 3. The iodine values of the fresh soybean, corn, and palm oils added to the soybean milk were 132.7, 124.1, and 57.0, whereas those of the oils stored for 40 hours were 127.3 108.3, and 52.0, respectively. 4. The thiobarbituric acid values of fresh soybean, corn, and palm oils added to the soybean milk were 0.18, 0.05, and 0.02, whereas those of the oils stored for 40 hours were 0.25, 0.19, and 0.07, respectively. 5. The percent content of the major fatty acids of the soybean, corn, and palm oils freshly added to the soybean milk were 2.3%,2.5%,and 25.2%for palmitic acid, 3.2%,3.2%,and 4.8%for stearic acid, 39.7%, 40.7%, and 59.3% for oleic acid, 49.9%, 53.0%, and 10.5% for linoleic acid, and 4.7%, 0.4%, and 0.7% for linolenic acid, respectively. Those of the oils stored for 40 hours were 2.9%, 4,5%, and 36.7% for palmitic acid, 8.5%, 6.8%, and 7.0% for stearic acid, 37.8%, 38.8%, and 49.2% for oleic acid, 46.2%, 49.5%, and 5.8% for linoleic acid, and 4.2%, 0.1%, and 0.1% for linolenic acid, respectively. The fatty acid compositions changed significantly: the amounts of the unsaturated fatty acid decreased considerably. The rsults of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greater stability of the palm oil as compared with the stability of soybean oil and corn oil added to the soybean milk.
        4,000원
        218.
        198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유, 조제 분유 및 시유의 인 지방질의 지방산 조성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조제 분유는 인유에 비하여 8 : 0, 10 : 0, 18 : 0, 20 : 0, 22 : 0 등의 지방산들이 유의하게 높았다. 18 : 2Ω6은 조제 분유가 인유에 비하여 2.3배나 많은 18% 수준을 유지하였다. 대체로 보아 Ω9계, Ω6계 및 Ω3계 대사산물들은 조제 분유가 낮은 경향을 보였다. 인유에 비하여 시유도 조제 분유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3,000원
        219.
        1985.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유, 조제 분유 및 시유의 트리글리세리드의 구조를 비교하기 위하여 트리글리세리드의 지방산 조성, 아실 탄소수 및 종을 박충 크로마토그래피 및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인유에서는 단쇄 지방산이 검출되지 않은 반면 조세 분유와 시유에서는 1% 미만의 수준들로 검출되었다. 인유에 비하여 조세 분유는 8 : 0, 22 : 0, 24 : 0 등이 유의하게 높은 반면 10 : 0, 14 : 0 등의 지방산들은 유의하게 낮았다. 시유는 인유에 비하여 8 : 0, 10 : 0, 18 : 0, 22 : 0, 24 : 0 등이 유의하게 높았고 12 : 0, 20 : 0 등이 유의하게 낮았다. 18 : 2Ω6은 인유가 12.0%, 조제 분유가 15.0%로 서로 비슷한 반면 시유는 3.8%로 가장 낮았다. 탄소수 20개 이상의 Ω6계 및 Ω3계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들은 인유에 비하여 조제 분유와 시유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인유는 아실 탄소수 44-52, 조제 분유는 50-54, 시유는 36-40 을 가진 글리세드가 주종을 이루고 있었다. 조제 분유에서는 아실 탄소수 50과 52, 시유에서는 42만 제외하고 나머지의 탄소수들은 인유의 그것들과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조제 분유의 saturates 는 인유의 그것에 비하여 2 배 가량 높았을 뿐 기타 종에서는 모두 유의하게 낮았다. 시유에서도 dienes를 제외한 모든 종에서 조제 분유에서와 동일한 경향이 나타났다.
        4,000원
        220.
        198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총지방질의 함량은 인유(성숙유), 조제 분유 및 시유 다같이 비슷한 수준치를 보였다. 조제 분유는 인유에 비하여 인 지방질, 유리 지방산, 콜레스테롤 에스터 등이 유의하게 높은 반면 트리글리세리드는 유의하게 낮은 수준이었다. 시유와 인유는 트리글리세리드 함량에서는 비슷하였지만 기타 지방질 성분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조제 분유의 인 지방질/트리글리세리드의 비, 콜레스테롤/트리글리세리드의 비, 총토코페롤 그리고 총토코페롤 / 총지방질의 비 모두 인유는 물론 시유의 그것들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수준이었다. 총토코페롤 / 18 : 2 Ω6의 비는 조제 분유, 시유 다같이 인유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인유, 조제 분유 및 사유의 비타민 E 함량은 미국 유아 식이의 기준치를 상회하였다. 조제 분유의 포화 지방산 중에서 탄소수 8개 이하의 직쇄의 우수 지방산들은 인유의 그것들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며, 10개 이상의 탄소수를 갖고 있는 직쇄의 우수 지방산들은 인유의 그것들과 대체로 비슷한 수준들이었다. 시유에서도 역시 탄소수 10개 이하의 것들과 18 : 0 등의 직쇄의 우수 지방산들 그리고 직쇄 및 측쇄의 기수 지방산들이 높은 경향이었고 12 : 0 은 낮았다. 불포화 지방산의 경우 인유의 18 : 2Ω6은 조제 분유와는 거의 비슷한 수준인 반면 시유의 그것에 비하여 4.5 배 높은 수준이었고 탄소수 20개 이상의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들은 조제 분유, 시유 다같이 낮은 수준치를 갖고 있었다.
        4,000원
        11 12 1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