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59

        201.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Deimatic display 는 평상시에는 위장으로 자신을 보호하는 동물들이 포식자에게 위협당하였을 때에만 일시적으로 화려한 경고색을 보여줌으로써 포식자를 놀라게 하여 자신을 보호하는 방어전략이다. 본 연구에서는 3가지의 서로 다른 연구 방법을 이용하여 이 방어전략의 진화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연구의 모델로는 태극나방과 (Erebidae)의 나방을 이용하였다. 첫 번째로 deimatic display 전략이 어떤 종에서 진화하였으며, 이 전략이 동물의 몸 크기와 함께 진화하였는지를 계통수 분석을 이용한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deimatic display 는 몸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곤충에서 선택적으로 진화하였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두 번째로 deimatic display 전략이 왜 body size 가 큰 종에서 진화하였는지를 이론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수학적 모델링을 활용, deimatic display 와 몸 크기와의 이론적인 관계를 연구하였다. 이론적 모델링이 시사하는 바는 1) 몸 크기가 클수록 위장이 실패할 확률이 높으며, 2) 몸 크기가 클수록 deimatic display 가 포식자를 위협하는 효과가 클수록 이러한 진화적인 관계가 생성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수학적 모델링에서 도출된 결과를 실험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로보틱스 기술을 활용, deimatic display 행동을 보이는 인공나방로봇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인공나방 로봇의 날개크기와 날개색채를 변화시켜가며 나방의 크기가 커질수록 deimatic display 전략이 포식자(조류)를 위협하는데 더 효과적인지를 테스트하였으며, 실험 결과 deimatic display 전략은 나방의 사이즈가 클수록 더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입증하였다. 추가 연구 결과 이러한 큰 크기 – 숨겨진 화려한 색채의 관계는 태극나방과 뿐만이 아니라 메뚜기목, 대벌레목, 사마귀목, 그리고 누에나방과(나비목)에서도 발견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deimatic display 전략이 큰 크기와 공진화하였음을 보여주며, 이러한 크기-색채 공진화는 deimatic display 전략의 효용성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며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202.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조명에 따른 동공 크기가 고위수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안질환이나 전신질환이 없고, 기타 관련 수술 경험이 없는 평균연령 22.5±1.04세의 35명을 대상 자로 선정하여 수차를 측정하였다. i.Profiler plus 기기의 특성상 명소시 상태에서 설정된 동공 크기 ʻ3 mmʼ 를 명소시 유사 환경, 반암실 상태에서 설정된 동공 크기 ʻmaximumʼ을 박명시 유사 환경 상태로 가정하였다. 동공 크기와 등가디포커스와 등가착란원의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동공 크기를 3 mm, maximum으로 나뉘어 고위수차를 측정하였을 때, RMS는 0.30±0.13 ㎛ 및 0.38±0.15 ㎛로 나타났다. 총 고위수차의 등가디포커스가 동공 크기 3mm에서 0.28±0.14 D와 maximum에서 0.41±0.16 D 이었고,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 동공 크기 3 mm와 maximum 에서 구면수차, 코마수차, 트레포일 수차의 등가디포커스의 차이는 각각 0.07 D, 0.04 D, 0.02 D 이었고, 구면수차(p=0.000) 및 코마수차(p=0.000)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등가디포커스와 등가착란원 사이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총 고위수차(R2=0.7045, p<0.01), 구면수차(R2=0.9376, p<0.01), 코마 수차(R2=0.8429, p<0.01), 트레포일수차(R2=0.7824, p<0.01)). 결론: 수차 측정 결과를 등가디포커스로 나타내어 교정이 필요한 정도를 디옵터로 표현할 수 있었다. 고 위수차의 교정이 고려되지 않았을 경우, 교정시력에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측되어 고위수차의 시각적 불편함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4,500원
        203.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at how much does it effects as it considered not only animal additive genetic effect but also maternal genetic effect for improving litter traits of pigs. The data of 10,836 records on 2,636 sows in Landrace and 14,463 records on sows in Yorkshire were analyzed which had been measured from 1998 to July 2017 in a nucleus herd of pig population. The traits used on this analysis were total number of born with (TNB2) and without mummy (TNB1) and number of born alive (NBA). Two different multivariate animal mixed models were considered and compared of variance components estimated from these models. The one (Model 1) was set up with assumed to parity, return events and batch effects as fixed and service sire, permanent environment and animal additive genetic effects as random. The other (Model 2) was same with Model 1 except considering maternal additive genetic effects as random. (Co)variance for random effects and genetic parameters were estimated using restricted maximum likelihood method and breeding values as best linear unbiased prediction were estimated using preconditioned conjugate gradient algorithm on each model and breed. From these models, heritability estimates for NBA were about 0.10 and 0.11 on both models in Landrace and Yorkshire, respectively. Forthermore, it was estimated that there were little variations in the maternal genetic effects with roughly 1~2% of total variation. Result from comparing estimated breeding values for each trait between each model, ranking of genetic capability through total breeding values on model 1 and on model 2 showed highly correlated with more than 0.92. Consequently, for improving litter traits, selection based on breeding values by direct genetic effects without considering maternal genetic effects were reccommendable.
        4,000원
        204.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New product crowdfunding has become an emerging method for start-ups to finance their innovative ideas. Since driving participants’ engagement is crucial to successful fundraising, it is important to study the factors that affect participants’ motivation to back the crowdfunding projects. In this paper, we first examine the impact of goal proximity on backing motivation and then we focus on investigating how group size affects perceived personal impact and resulting motivation to back a project. To test our hypotheses, we collected backing records and creativity ratings of smart wearables projects from a crowdfunding platform in China−Demohour.com. We used daily backers added as our dependent variable to capture potential backers’ motivation to back a project and modeled it using a negative binomial model with project and time fixed effects. Our empirical analyses suggest the following. First, consistent with existing research on the goal gradient effect, the funding ratio of a project is positively related to daily backers added while the positive effect becomes insignificant after reaching 100% funding ratio. Second, group size of backers has a negative effect on potential backers’ motivation. We explain that this is because individuals exert less effort due to decreased perceived personal impact when group size grows (social loafing effect) (Karau & Williams, 1993). Finally, creativity negatively moderates the effect of group size on backing motivation that the negative effect of group size especially calls for attention when the creativity level of the project is high.
        205.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ver the past few years, companies have started moving into specific niches in plus-size fash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arketability of young plus-size clothes in the USA. Data were collected from female consumers aged from 20 to 39 who have experience of purchasing plus-size items. A total of 282 respons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search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obesity stress is affected more by the subjective obesity level than by the objective obesity level and by how people recognize their body types. Second, from an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shopping orientation of plus-size consumers, style consciousness, pursuing reasonable, emphasizing comfort, and body consciousness are found to be important factors. Third, even if responders are aware of their exact body size, they actively look for the correct size. Fourth, fit evaluation of plus-size products is based on the factors of size fit and movement fit. The respondents were unsatisfied with chest and arm measurements, which deviate widely by body type for tops. Fifth, the overall dissatisfaction with the plus-size market is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product assortment range from which to select styles is narrow, and trend reflection is low. Sixth, the respondents tended to avoid fabrics that make their body type more obvious, textures that give the impression of a larger body size, or stiff texture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obese consumers should be considered to develop products for the young plus-size market.
        4,600원
        206.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RP is a new material that has light, high strength and high durability characteristics and is emerging as a third construction material in and out of countries. However, very few studies have been done on curved FRP construction materials that can be used for tunnels or arched bridges. In particular, many joints are required for the application of curved panels to the open cut tunnel. Experimental data on the performance of the joint is required due to insufficient design criter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real size, composite materials curved panels. To achieve this goal, curved panels were constructed and bending performance was tested. A numerical analysis was also performed and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the test. The results of the test showed that the average load was 757.6 kN and the average displacement of bottom was measured at 53.12 mm. Compression stress on the upper flange and tensile stress on the lower flange were within acceptable limits of 50% of the allowable stress.
        4,000원
        208.
        201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pressure retarded osmosis (PRO) process, thin film composite (TFC) type membranes which can withstand high operating pressure are required. In this study, glass fibers (GF) are used as additive for mechanical strength enhancement of the support layer of TFC membranes. The support layers were fabricated by a phase inversion method by using the casting solution of blended GF (two different size of milled GF) with polyethersulfone (PES). The fabricated support layers were characterized by FE-SEM, FT-IR, contact angle goniometer, and universal testing machine. Lab-scale ultrafiltration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measure their performance. As a result, the support layer with milled GF showed higher mechanical strength and water flux than the pure PES support layer, and the support layer with smaller size GF showed higher performance.
        209.
        201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에서는 막 증류법에 사용되는 PVDF 분리막을 나노입자로 개질하여 젖음 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나노입자를 분리막에 적용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는 dip-coating 방법의 경우, 나노입자에 의한 기공 막힘 현상과 나노입자와 표면과의 부착력이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plasma 전처리를 통해 분리막 표면의 기공 크기를 키워주었으며, Fenton 반응을 통해 분리막 표면에 SiO2의 성장 작용기인 OH기를 생성시켜 주었다. 이로부터 SiO2를 성장시켜 준 뒤, fluoroalkylsilanes (FAS)를 이용하여 SiO2 표면의 소수성 처리를 통해 막을 준비하였다. 상기 방법을 통해 준비된 분리막과 처리 전분리막의 젖음 정도를 막증류 법으로 비교하였다.
        210.
        201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친수성을 띄는 silica 나노입자(7, 11, 15 nm)를 0.1, 0.2, 0.3 wt%의 비율로 고분자(Polysulfone)에 섞은 후, 상전이 공정에 의하여 중공사막을 제조하였다. 용매로는 N-Methyl-2-pyrrolidone (NMP)을 사용하였다. 또한 중공사막 제조 시내부 응고제는 NMP/증류수(1:1) 혼합용액을 사용하였으며 외부 응고제로는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Silica 나노입자의 크기 및 함량이 분리막 구조에 미치는 영향과 그에 따른 특성을 살펴보았다.
        211.
        201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현재 단백질 분리 공정에서의 큰 문제점은 공정의 시간이 길며 고비용이라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때문에 이러한 단점의 해결방안으로 membrane을 이용한 공정이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특히 최근연구에는 단백질 분리 공정에서도 단백질 크기 및 막 표면의 전하차를 이용한 분리 공정이 관심을 받으며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Poly Sulfone을 이용하여 용액을 제조하여 유사크기 단백질의 분리를 위한 membrane을 제조하였다. membrane은 용액을 얇게 casting하여 증류수를 이용한 상 분리 법을 통하여 membrane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membrane의 structure을 확인하기 위해 FT-IR, H-NMR을 이용하였다. 또한, pH에 따른 전위차를 측정하여 표면의 Zeta Potential을 확인하였으며 membrane의 특성평가를 진행하였다.
        212.
        201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에서는 sol-gel법을 이용하여 세라믹 중공사 지지체 표면에 합성된 sol을 dip coating하고 활성층을 형성시켜 한외여과막을 제조하였다. 코팅 횟수 및 코팅 용액의 조성에 따른 코팅층 변화를 확인하여, 결함을 최소화하고 균일하게 제조할 수 있는 조건을 확립하고, 소결 후 투과 특성 측정을 통해 소결 온도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제조된 한외여과막은 분획분자량(Molecular Weight Cut-Off, MWCO)과 gas-liquid displacement porometer (GLDP), liquid-liquid displacement porometer (LLDP)를 이용하여 기공크기를 측정하고 분리막의 성능과 기공크기의 연관성을 연구하였다.
        213.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demands of rice products have been steadily increasing because of their non-allergenic-functionalities. However, the use of rice flour in the gluten-free food industry has been still limited due to undesirable quality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the weak structural network by the lack of gluten.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search for new approaches to enhance the structural network of gluten-free foods. In this study, zein, protein derived from corn, was applied to rice noodles as a structural network provider for sheeting and the rheological and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rice noodles were investigated depending on the particle size of rice flour. The starch damage of the rice flours increased with decreasing particle size. The zein-rice flours with smaller particle size exhibited greater water hydration properties and pasting parameters that contributed to the increased elastic characteristics. The use of zein positively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sheeted rice dough that could be successfully slit into noodle strips. The zein-rice noodles with medium particle size (100–150 mesh) had the highest breaking stress and hardness values that were correlated to the lowest cooking loss. This study thus provides a new opportunity for food industry to improve the qualities of gluten-free rice noodles by controlling particle size.
        214.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근시안에서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이용하여 굴절교정을 한 후 조절자극에 따른 동공크기의 변화와 조절반응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방법: 평균연령 23.15 ±1.70세(20~28세)의 근시안 50명(100안)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검사실 조도 100 lx에서 동공크기는 나안상태와 소프트 콘택트렌즈로 굴절교정을 한 후 pupillometer를 사용하여 암소시, 어 두운 박명시, 밝은 박명시 상태에서 주시거리 3.5 m와 25 cm에서 측정하였다. 조절력은 푸쉬업검사(push up test), 조절반응은 개방형자동굴절력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조절자극에 의한 동공크기는 대응표본검 사(paired t-test)로 비교하였고, 동공변화량과 조절반응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으로 분석하였 으며, 유의수준은 p<0.05로 하였다. 결과: 근시안의 경우 소프트 콘택트렌즈로 굴절교정을 한 후 동공크기는 감소하였고(p<0.05), 조절자극 에 의해 동공크기 감소량이 많을수록 양안 및 단안의 조절반응은 작아졌다(p<0.05). 그러나 조절자극에 의 해 동공크기가 변하지 않는 대상자는 조도에 따라 35~37%를 차지하였으며, 산동 된 경우도 7~11%로 나타 났다. 조절자극에 의해 축동된 그룹의 조절반응값은 동공크기의 변화가 없거나 산동 된 그룹의 조절반응 값 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결론: 소프트 콘택트렌즈로 교정한 근시안의 경우 조절자극에 의해 동공크기가 감소하며 이에 따라 조절 반응이 감소하였으나, 동공이 축동되지 않은 경우에는 축동된 그룹보다 조절반응이 크게 측정되었다. 본 연 구결과는 콘택트렌즈 착용 후 근거리 작업 시 나타나는 안정피로를 이해하고 멀티포컬 콘택트렌즈 착용 후 나타나는 시기능을 이해하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215.
        2018.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ain size on the damping capacity of the Fe-26Mn-4Co-2Al damping alloy. α’ and ε-martensite were formed by cold working, and these martensites were formed with a specific direction and surface relief. With an increase in grain size, the volume fraction of α’ and ε-martensite increased by decrement the austenite phase stability. This volume fraction more rapidly increased in cold-rolled specimen than in the specimen that was not cold-rolled. The damping capacity also increased more with the augmentation an increased grain size and more rapidly increased in cold-rolled specimen than in the specimen that was not cold rolled. The effect of grain size on the damping capacity was larger in the cold-rolled specimen than the specimen that was not cold-rolled. Damping capacity linearly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volume fraction of ε-martensite. Thus, the damping capacity was affected by the ε-martensite.
        4,000원
        216.
        201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u-Fe alloys (CFAs) are much anticipated for use in electrical contacts, magnetic recorders, and sensors. The low cost of Fe has inspired the investigation of these alloys as possible replacements for high-cost Cu-Nb and Cu-Ag alloys. Here, alloys of Cu and Fe having compositions of Cu100-xFex (x = 10, 30, and 50 wt.%) are prepared by gas atomization and characterized microstructurally and structurally based on composition and powder size with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d X-ray diffraction (XRD). Grain sizes and Fe-rich particle sizes are measured and relationships among composition, powder size, and grain size are established. Same-sized powders of different compositions yield different microstructures, as do differently sized powders of equal composition. No atomic-level alloying is observed in the CFAs under the experimental conditions.
        4,000원
        217.
        201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mprove opening efficiency of the miniaturized large-scale net for anchovy boat seine gear to reduce the fleet size. Field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observe geometry of nets by catcher boats. When the distances between the two ships were 150, 300 and 450 m, and the speeds of towing nets were 0.6, 0.9, and 1.2 k't, respectively. The vertical opening and actual opening of each part of the miniaturized large-scale net was as follows: the front part of the wing net, 8.7-13.3 m, 51-78%; the middle part of the wing net, 28.1-34.2 m, 55-67%; the entrance of the inside wing net, 31.3-38.5 m, 60-73%; the square and bosom, 22.7-29.6 m, 47-62%; the entrance of the body net, 20.9-26.4 m, 42-52%; the entrance of the bag net, 17.2-21 m, 72-89%; the flapper, 13.2-15.3 m, 78-83%; and the end of the bag net, 13.2-15.7 m, 72-75%. By connecting the net pendants with the front part of the wing net, the opening of the front part of the wing net wa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traditional gear, which ensured both the wing net and the inside wing net with a normal net height. This, in turn, increased the efficiency of herding. The height of the body and bag nets was also higher than that of the tradition gear. In particular, the body net attached to the gear significantly improved the pocket shape of the gear and reduced the number of fish that were caught and escaped from the bag net, which increased the rate of fishing. The tension of towing nets was measured approximately between 2,958 and 7,110 kg, which indicates that the fleet can tow nets with 350 ps, the standard engine horse power. The fishing operation time was shortened compared with of the existent net, and the large-scale buoy attachment operation was also possible to operate the ship without fish detecting boat.
        4,500원
        218.
        201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비선형 유한요소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철근콘크리트 부재를 설계를 하고자 할 경우 위험단면에서의 휨모멘트를 산정하여 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연속체 요소를 사용한 철근콘크리트 유한요소해석 결과를 이용한 휨 모멘트 계산식을 제시하고 유한요소의 변위 함수의 차수에 따른 최적의 요소 크기를 제안하였다. 해석으로부터 산출된 응력을 적분하여 구한 휨 모멘트 와 정역학적 평형 조건을 이용하여 계산한 휨 모멘트를 비교하였다. 응력을 적분하는 방법에서는 철근에 의한 응력과 콘크 리트의 응력을 모두 고려하였다. 또한 유한요소해석으로 산출된 응력의 정확도에 영향을 주는 여러 요인들을 분석하고 적용 요소의 변위 함수와 요소 크기를 다르게 설정하여 그 영향을 확인하였다. 해석의 목적이 부재의 거동을 대략적으로 살펴보 는 목적이라면 1차 변위 함수를 사용하고 요소 크기가 해석 모델의 단면 높이의 25%정도라도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정확도가 높은 부재의 내력을 도출해야 할 경우에는 2차 변위 함수를 사용하고 요소 크기를 12.5%로 할 것을 제안한다.
        4,000원
        219.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martphone size and use on fatigue of the extensor pollicis longus and abductor digiti minimi, and digiti minimi deformity. The 40 peopl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spent at least 6 hours using the smartphone and used the digiti minimi for support. The control group spent at least 3 hours using the smartphone, however did not use digiti mini for support. Questionnaires were used to measure smartphone usage, daily use duration, and method of holding the smartphone device. X-rays of distal interphalangeal joint angle deformity of the digiti minimi were assessed. Surface electromyography was used to analyze muscle fatigue. The angle deform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fatigue of the extensor pollicis longus and abductor digiti minimi of the large smartphone users were high. The muscle fatigue was reduced when the smartphone size fit well with the user's hand.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ize of the smartphone influence the fatigue of the hand muscles.
        4,000원
        220.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시력교정술 후 써클 콘택트렌즈 착용 시 조도 환경에 따른 동공크기 및 시력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시력교정술을 받지 않은 28안과 시력교정술을 받은 26안에 두 종류의 무도수의 써클 콘택트렌즈를 각각 착용시키고, 동공크기 및 시력을 측정하였다. 결과: 시력교정술을 받지 않은(Control group)은 써클 콘택트렌즈 착용 전 밝은 상태에서의 Log MAR시 력은 렌즈 A를 착용 하였을 때 보다 감소하였으며, 시력교정술을 받은 군에서의 써클 콘택트렌즈 착용 전 Log MAR시력은 착용 후 밝은 상태에서 렌즈 A, B를 착용하였을 때 보다 높게 나타났다. 렌즈 B를 착용 하 였을 때의 Log MAR시력이 렌즈 A를 착용 하였을 때 보다 낮게 나타났다. 밝은 상태에서 대비감도 3, 6 cpd의 공간주파수에 두 그룹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써클 콘택트렌즈 A를 착용하였을 경우 시력교정 술을 받은 군의 대비감도가 시력교정술을 받지 않은 대조군(Control Group)의 대비감도 보다 낮게 측정되 었으며, 시력교정술을 받지 않은 대조군(Control group)이 시력교정술을 받은 군 보다 밝은, 어두운 상태에 서의 대비감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 시력교정술을 받은 사람이 써클 콘택트렌즈 착용 시 대비감도 변화가 나타날 수 있으니 이에 대한 이해 및 착용자의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