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14

        221.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adenosylhomocysteine hydrolase-like protein 1 (AHCYL1), also known as IP3 receptor- binding protein released with IP3 (IRBIT), is a member of the AHCY-like protein family. AHCYL1 protein regulates IP3-induced Ca2+ release in the cytoplasm of cells and, therefore, is likely to be an important gene regulating various biological processes in the oviduct of chickens. Inmammals, expression is greatest during activation of dendritic cells which are antigen presenting cells associated with immunoregulatory processes in blood and skin. However, the identification of the AHCYL1 gene in chickens has not been investigated. In the present study, we first used RT-PCR to demonstrate AHCYL1 gene expression in adult chicken organs and oviducts of immature chickens treated with DES (diethylstilbesterol, a synthetic estrogen agoni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AHCYL1 mRNA is expressed in chicken reproductive organs (testis, ovary and oviduct). Inaddition, expression of AHCYL1 mRNA increased in response to DES-treated immature oviducts compared to the non-treated control immature oviducts of chickens. Interestingly, AHCYL1 was abundant in the cytoplasm of luminal and glandular epithelia, but not in other cell-types such as stroma and connective tissues, of the chicken oviduct. These results suggest that AHCYL1 is a novel estrogen-stimulated gene associated with development of the chicken oviduct, as well as functions of oviductal glandular and luminal epithelia that may include activation of resident immune cells, such as dendritic cells.
        222.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everal types of white blood cells, such as T cells, B cells, and macrophages, are involved in the immune response. In particular, the processes of T-cell activation play a crucial role in an adaptive immune response, whereby the T-cell receptor (TCR) engages with an antigen and signals a cascade that leads to the activation of transcription factors (AP-1, NF-κB, and NFAT) that are critically involved in cytokine production. Roquin, encoded by the RC3H1 gene and characterized as an immune regulator, was recently identified as a novel RING-type ubiquitin ligase family member, but the mechanisms by which Roquin proteins regulate T-cell responses are unclear. To elucidate the role of Roquin in vitro, murine lymphoma EL-4 cells were used. Roquin overexpressing Tcells became hyper-responsive upon anti-CD3/CD28 stimulation in vitro and were a major source of cytokines such as IL-2, TNF-α, IL-6, and IL-10. Upon activation, these cells showed preferentially enhanced production of IL-2 and TNF-α, but not IFN-γ. To clarify the important role of Roquin in the T-cell response ex vivo, we generated T-cell-specific Roquin-transgenic (Tg) mice having a higher expression of Roquin in T cells as compared to wild-type mice. Using Roquin-Tg mice, we studied whether immune responses are affected ex vivo. Roquin-Tg CD4+ T cells showed enhanced production of IL-2 or TNF-α to TCR stimulation with anti-CD28 costimulation via up-regulation of CD28. T-cell proliferation also increased in Roquin-Tg CD4+ T cells after anti-CD3/CD28 treatment. Further studies on the role of Roquin in the regulation of primary T-cell activation, survival, and differentiation may be anticipated.
        223.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Oct4 and Nanog are well-known transcription factors related with self renewal of embryonic stem cell. In low-dose of Nanog, transcription of oct4 is increased; however, oct4 is down-regulated upon high-dose of Nanog. There is a negative feedback loop between oct4 and Nanog. To identify this regulation, we generated 4 nested sets for mouse oct4 promoter. Luciferase activities of oct4 were declined upon high-dose Nanog in all constructs. The declined effects of oct4 upon high-dose Nanog were moderated with DNMT and HDAC inhibitors (5-AZA-cytidine and trichostatin A) in 3 constructs (1867, 1346, 754). But, one construct (2179) was only sensitive to TSA. Taken together, these effects were also represented in semi-quantitative RT-PCR and Western blotting data. These data suggest that negative regulation of oct4 gene upon high-dose Nanog would be accomplished by DNMT and HDAC. Further, it will be studied whether these constraining molecules bind to CR1-4 region of oct4 promoter upon low- and high-dose of Nanog.
        224.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member of mice interferon inducible transmembrane protein like family, IFITM1, is repor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primordial germ cell (PGC) formation and this protein reported for anti‐proliferation. This study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IFITM1 expression in reproductive organs of male mice. mIFITM1 expression in testis and epididymis were revealed by immunostaining and immuno blot. Moreover, we showed that mIFITM1 is related to development of mouse testis. mIFITM1 protein expression as markedly upregulated around 5‐ 15day after birth in testis, but postnatal 21 56 day detected pattern was decreasing by immunoblot. In the other reproductive organ, epididymis, we observed that mIFITM1 protein was strongly expressed in caput, corpus and cauda. We analyzed IFITM1 gene expression under conditions of androgen manipulation. Total RNAs were obtained from the epididymis of adult mice that castrated and injected. Testosterone replacement for animals 7day after surgery. In castrated animals, A clear decrease was found in the IFITM1 protein level on Interestingly, castrated mice was revealed that mIFITM1 expression is strong. At that time, the injected catration mice decrease in IFITM1 gene expression. We also found same result from the immunoblot analysis. Our data suggest that the function of the IFITM1 expression in sperm is remain unclear but mIFITM1 expression will be important to postnatal development of mice testis and spermatogenesis. Also, mIFITM1 regulated not only sexual maturation by gene expression in the reproductive organs but also by hormone.
        225.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loning or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SCNT) using adult somatic cell to derive cloned embryos is a promising new technology with potential applications in both agriculture and regenerative medicine. Mammalian embryos derived by nuclear transfer are capable of development to the blastocyst stage with a relatively high efficiency of 30~ 50%. However, in full-time development, usually only 2% of NT embryos can result in live births due to abnormalities in placenta formation. In SCNT embryos, the donor cell nucleus is epigenetically reprogrammed by oocyte cytoplasm during development. Incomplete reprogramming of the donor cell genome is considered a major reason for low cloning efficiency. Aberrant epigenetic modifications include DNA methylation, histone modification and X-chromosome-inactivation. Due to a lack of basic knowledge regarding the embryos following nuclear transfer, the success rate of cloning is low. Therefore, elucidation of the molecular mechanism of SCNT embryo development will be of great value for further research. MicroRNAs (microRNA) are single-strand RNA molecules of about 19 23 nucleotides in length, which regulate gene expression by imperfect base pairing with target mRNA, subsequently guiding mRNA cleavage or translational repression. Since the first discovery and functional annotation in 1993 of the small RNA, lin-4 and let-7, which are involved in developmental timing and gene regulation during C. elegans larval development, microRNAs have received scientific attention. Now hundreds of microRNAs have been identified in various multicellular organisms, and many microRNAs have been shown to be evolutionarily conserved. The roles proposed for this novel class of tiny RNA molecules are diverse. They are likely to be involved in developmental timing, differentiation, cell proliferation, signaling pathways, apoptosis, metabolism, heterochromatin formation, genome rearrangement, brain development and carcinogenesis. Currently (2006- present) we are working to determine the role of microRNAs on the epigenetic regulation of fertilized and cloned embryo development. The general hypothesis of our research is that genetic and epigenetic factors regulate the development of preimplantation mammalian embryos, and aberrant modulations in cloned embryos are causes of abnormal development and low success rate of cloned embryos.
        226.
        2011.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cyl-CoA synthetase 4(ACSL4) is an arachidonate-preferring enzyme abundant in steroidogenic tissues and postulated to modulate eicosanoid production. The human and mouse ACSL4 gene are mapped on chromosome X. The female mice heterozygous for ACSL4 deficiency became pregnant less frequently and produced small litters, with 40% of embryos surviving gestation.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regulation of ACS4 by estradiol-17β and progesterone (P4) in the human endometrial cancer cell line HTB-1B. ACSL4 mRNA was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Also, expression of ACSL4 gene was up-regulated in a time-dependent manner in HTB-1B cells. However, combined treatment with progesterone and estradiol-17β modestly decreased the levels of ACS4L mRNA as compared with the estradiol-17β and progesterone respectively. Over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CSL4 gene is regulated by progesterone and estradiol-17β in the HTB-1B cells.
        4,000원
        227.
        2011.09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lifetime cancer and non-cancer risk on exposure to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nd formaldehyde of worker and user at public facilities in Korea. We measured the concentrations of formaldehyde and VOCs in indoor air at 160 public buildings that 5 kinds of public facilities (30 hotel, 30 fitness center, 25 gosiwon, 30 reading-room and 45 video-room) all over the country. There were estimated the human exposure dose and risks with averages of the using-time and frequency for facility users and office workers, respectively. Carcinogens (benzene and formaldehyde) were estimated the lifetime excess cancer risks (ECRs). Non-carcinogens (toluene, ethylbenzene, xylene, and styrene) were estimated the hazard quotients (HQs). HQs of four non-carcinogens did not exceed 1.0 for all subjects in all facilities. Higher HQs of toluene were observed at the reading-room. The average ECRs of formaldehyde and benzene for facility worker and user were 1×10-4~1×10-6 level in all facilities. The estimated ECRs for reading-room were the highest and the fitness center and gosiwon were the next higher facilities. Because lifetime ECRs of carcinogens exceeded 1×10-4 for facility worker in the most facilities, risk management of formaldehyde and benzene in the facilities was necessary. IAQ guidelines should be determined strictly to prevent occurrence of disease caused by poor IAQ beforehand.
        4,500원
        228.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대공간이며 다중이용시설인 영화관의 피난시설에 대한 제도적 개선을 위하여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1차적으로 영화관 관련 피난시설에 대한 문헌조사로 관련 법제도에 대해서 분석했으며, 2차적으로 영화관의 이용자인 관객을 대상으로 피난시설에 대한 의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했다. 분석결과 개선항목으로 관람석 출구의 폭과 개수, 복도의 폭에 대한 개선 요구의식이 높게 나타나 이용자 중심의 제도개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4,000원
        229.
        2011.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미 FTA를 통해 의약품 품목허가와 관련하여 허가-특허 연계제도가 도입될 예정이다. 허가-특허 연계제도가 도입되면 의약품의 특허권 침해여 부를 의약품의 품목허가 시에 고려하게 되므로 향후 특허권을 보유한 오리지널 제약사들에 의해 제너릭 제약사들의 시장진입을 저지하거나 연기시키려는 경쟁제한적인 행위들이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에 대한 공정거래법의 적용과 집행에 대한 관심도 증대되고 있다. 허가-특허 연계제도는 미국에서는 1984년 Hatch-Waxman Act에 의해 도입된 제도로서 제너릭 의약품의 시장진입을 원활히 하고 신약개발에 대한 유인을 높이려는 두 가지 목적을 가지고 입법되었다. 법 시행 이후 이러한 입법목적은 어느 정도 달성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다른 한편으로 복수의 30개월간 ANDA 허가유예 취득, Reverse Payment Settlement, Authorized Generic, Orange Book에 등재된 특허정보 삭제 등 다양한 경쟁제한적인 행위들이 생겨나면서 그 허용여부 및 위법성에 대한 논란이 있어왔다. 향후 도입될 약사법이나 동법 시행령 및 시행규칙의 구체적인 내용에 따라서는 우리나라도 미국과 마찬가지로 의약품 품목허가 절차상의 허점들을 이용하거나 품목허가 전 특허침해 소송과정에서 합의하는 등 다양한 경쟁제한적인 행위들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행위는 제너릭 의약품의 시장진입을 저해하여 경쟁을 제한하고 소비자들이 저렴한 가격으로 의약품을 구입할 기회를 배제하여 소비자후생의 감소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특허권에 대한 합리적 보호를 통해 신약개발에 대한 유인을 높임과 동시에 제너릭 의약품의 시장진입을 원활하게 하고자 하는 제도의 취지가 잘 달성될 수 있도록 향후 시행령 및 시행규칙 개정을 통한 허가-특허 연계제도의 구체화 및 제도운영 과정에서 세심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5,200원
        230.
        201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공정거래법의 법과 역사적 고찰 한국 공정거래법의 입법적 변천 과정을 법과 역사의 관점에서 볼 때, 과연 바람직한 위상을 갖추었느냐의 문제는 향후 우리나라 공정거래의 법질서가 어떻게 어떤 모습으로 정착되는가에 따라 그 평가가 달라질 수 있다.우리 법은 1981년 제정이후 2011년 현재까지 타법개정으로 인한 재개정을 제외하고 15차례의 일부 또는 전부개정이 있었다. 그 중 1986년 제1차 개정과 1990년 전부개정을 제외하고는 모두 1992년 이후에 이루어진 것으로 이는 우리 나라 공정거래법의 역사가 1990년대 이후 매우 가변적이었고, 불안정하였음을 뜻한다. 이는 입법기술적 측면에서 cooling-off의 결여이고 정치적 협상에 의한 입법의 정치화현상이거나 그 침전물로의 전략이라고 생각한다. 잦은 법개정이 수범자의 예측가능성을 박약케 함은 당연한 역설이다.우리 나라 규제완화 정책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①규제강화기(해방-1979년)②규제완화도입기(1980년-1987년)③규제완화확장기(1988년-1992년)④규제완화인프라형성기(1993년-1997년)⑤규제개혁시스템정착기(1998년-2002년)⑥규제개혁성숙기/과잉규제완화기(2008년이후)로 분류하는 견해가 있다. 그러나, 당해 분류는 우리 나라 공정거래법의 역사적 위치를 오로지 규제완화정책 측면에서만 관찰한 것으로 보인다.기능적 측면에서 우리 나라 공정거래법 법과 역사를 제조명해보면 공정거래법 前史시기와 신규제정은 규제기반조성(강화)단계로 보아야 할 것이며, 우리 나라 공정거래법은 현재 2 단계인 규제조정(완화)시기를 거쳐 이제는 규제구조 고도화단계에 진입했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결론적으로, 한국공정거래법의 역사적 전개과정 속에서 한국적 독점의 특수성을 고려한 법적 기준을 명확히 계량화하고 법집행의 누수현상을 예방하는 연성적 입법화를 촉구되어야 할 것이다.
        231.
        2011.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은 Gervais의‘초창기 기술에 관한 규제’에 대한 논문을 스마트폰 게임 규제 사례에 적용시켜 본 것이다. 스마트폰은 미디어의 융합이라는 측면에서 기존의 이동전화기와는 다르다. 또한 스마트폰의 미래가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 예측하는 것은 곤란하다. 한편, 스마트폰 응용프로그램을 거래하는 앱스토어의 등장으로 소비자이면서 생산자가되는‘프로슈머’라는 개념이 실제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스마트폰의 여러 특성들은 소위 초창기 기술(inchoate technologies)의 단면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초창기 기술 규제에 대한 선행 연구에 따르면, 초창기 기술에 대한 규제는 규제개입을 무력화함으로써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 게임에 대한 의무적 사전 등급분류 심의의 적용으로 인하여 한국어 앱스토어에는 게임 카테고리가 아예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한국의 게임개발사와 소비자들은 국내 제도를 우회하여 스마트폰 게임을 거래할 수밖에 없게 되었다. 이것은 초창기 기술규제의 의도하지 않은 결과의 전형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 최근 12시 이후 미성년자의 온라임 게임을 금지하려는 강제적 셧다운제 도입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볼 수 있다. 초창기 기술에 대한 규제를 고려한다면, 강제적 셧다운제는 규제의 회피와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이 글에서는 스마트폰 게임에 대한 규제에는 사전예방적 원칙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규제개입을 정당화하기 위해서는 합리적인 사실적 기반하에서 규제개입에 따른 의도되지 않은 결과의 예측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4,300원
        235.
        2011.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일반적으로 특허기술을 실시하려는 자가 특허권자에게 실시료를 지불한다. 그런데 그러한 관계가 거꾸로 되는 경우가 있다. 역지불 합의(Reverse Payment Settlement)는 특허권자가 침해자 또는 잠재적 경쟁자에게“시장에 진입하지 않을 것; 특허의 유효성, 집행가능성 및 권리범위에 관하여 다투지 않을 것; 및/또는 시장 진입을 늦출 것을 조건으로 합의금을 지급하는 것”을 말한다. 당사자 사이의 합의의 일종인 역지불 합의는 소송 및 판결을 통한 것보다 훨씬 효율적인 분쟁해결 수단이 될 수 있다. 또한 특허권자는 기본적으로 배타적으로 특허기술을 실시할 독점적 권리를 가지고 있고 역지불 합의는 그러한 권리를 행사하는 자연스런 방법의 하나로 볼 수도 있다. 그러나 역지불합의는 특허권자가 제네릭 사업자의 시장 진입을 지연시킴으로써 해당 의약품 시장에서의 독점력을 유지하면서 일반 소비자에 대하여 높은 가격에 약품을 판매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제네릭 사업자가 막대한 합의금을 지급받아 시장에 진입하여 제네릭 약품을 판매하는 이상의 이익을 얻는 것 또한 항상 정당한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상충하는 이익 및 가치로 인하여 역지불 합의를 과연 규제할 것인가 및 어떻게 규제할 것인가는 쉬운 문제가 아니다. Hatch-Waxman 법체계 아래 제네릭 사업자에게 특허의 효력 및 권리범위에 관하여 다툴 동기를 부여하고 있는 미국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역지불합의가 등장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많은 판례 및 이론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역지불 합의의 성격 및 이를 반독점법상의 어떠한 규제원리(합리의 원칙; 당연 합법 또는 당연 위법)에 의하여 규율할 것인가에 관하여는 서로 상충되는 의견을 보이고 있어서, 그 규율기준이 확립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우리나라에서는 미국과 같이 역지불 합의가 많이 나올 수 있는 배경을 갖추고 있지 못해서인지 아직 이 부분에 대한 논의가 활성화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의약품 산업의 성장, 한∙미 자유무역협정의 체결 및 그 이행을 위한 의약-특허 연계제도의 도입과 더불어 그러한 사례가 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 경우 역지불 합의의 구체적인 내용에 따라 특허권의 정당한 행사로서 공정거래법이 아예 적용되지 않는 경우부터 합리의 원칙에 따라 그 친경쟁적 효과와 반경쟁적 효과를 따져 공정거래법 위반 여부를 판단하여야 할 경우, 그리고 당연히 위법한 것으로 보아야 하는 경우까지 다양한 유형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900원
        236.
        201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iabetic patients tend to exhibit delayed bone formation and osteoblast differentiation, which results in osteopenia. Recently, numerous clinical reports suggest that 635-nm light irradiation improves bone regeneration and wound healing, and reduces pain in patients suffering from diabet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test the hypothesis that 635-nm irradiation can influence bone formation by MC3T3-E1 osteoblasts cultured on high concentrations of glucose(25mmol/L D-glucose)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PMA), and to establish an in vitro pathological model of bone formation. The effect of 635-nm irradiation on bone formation was investigated using Alizarin Red S staining, and alkaline phosphatase enzyme activ ity and calcium deposition assays. In addition, gene expression of the o steogenic markers BMP-2, osterix and osteocalcin were assayed by RT-PCR. Calcium deposition by MC3T3-E1 cells was reduced in the presence of high concentrations of glucose or by PMA supplementation. However, 635-nm irradiation led to an increase in calcium deposition by MC3T3 cells, followed by increased bone mineralization. mRNA expression of BMP-2 and osterix at an early stage and of osteocalcin at a late stage was significantly upregulated by 635-nm irradiation in MC3T3-E1 cells supplemented with high concentrations of glucose. Irradiation at 635 nm increases bone mineralization in MC3T3-E1 cells cultured in vitro on high concentrations of glucose and alters osteogenic gene expression, which accelerates bone formation in hyperglycemic conditions.
        4,300원
        237.
        201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modin is a bioactive compound isolated from the root and rhizomes of Rheum plamatum L. (polygenaceae), which is known as a traditional Chinese and Japanese medicine.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 of emodin on YD-15 mucoepidermoid carcinoma cells and its molecular mechanism were investigated. This study shows that emodin significantly inhibits the growth of YD-15 cells. Activation of caspase-3 and PARP is triggered by emodin and it increases sub-G1 population and the number of YD-15 cells with nuclear condensation and fragmentation. In addition, we found that emodin significantly decreases myeloid cell leukemia 1(MCL-1). These results suggest that MCl-1 is an important molecule for emodin-induced apoptosis. Taken together, emodin inhibits cell viability and induces apoptosis via down-regulation of MCL-1 and it can be a new potent anticancer drug candidate for the treatment of mucoepidermoid carcinoma
        4,000원
        238.
        2011.0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통적인 집단 따돌림 또는 괴롭힘의 발전 형태인 사이버 괴롭힘은 온라인에서 특정인을 괴롭히는 가혹행위이며, 그 유형으로는 명예훼손, 모욕, 성희롱, 음란물 유포 등이 있다. 미국에서 심각한 사회∙교육 문제로 대두되어 입법이 진행되고 있는 사이버 괴롭힘은 청소년에게 정신적∙신체적 위해를 가한다는 점에서 자체로 심각한 문제일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의 대중화와 함께 규범적 준비가 필요한 현안이다. 사이버 괴롭힘은 일차적으로 사이버 괴롭힘이 학생 간 발생한 경우 또는 학생을 피해자로 하는 경우에는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학교폭력”으로 처벌할 수 있다. 학교폭력의 정의는 유형력의 행사뿐만 아니라 정신적 피해 및 집단 따돌림도 포함하므로, 학교는 학생이 연관된 경우에는 학생의 표현의 자유를 제한할 권한가 있으며 학교와 국가는 학교폭력을 예방할 의무가 있다. 국내법적 규제 및 구제 방법으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에 관한 법률에 의한 사이버 명예훼손, 형법의 모욕죄 내지 협박죄의 적용, 방송통신위원회의 행정적 조치, 교육목적 실현을 위한 조치, 민사상 손해배상 청구의 방법이 있다. 사이버 괴롭힘의 대안으로 가중처벌과 반의사 불벌죄로의 전환을 골자로 하는 사이버 모욕죄의 신설 및 ISP의 책임 강화를 고려해볼 수 있다. 그러나 제한받을 표현의 자유의 민주주의 사회에서의 가치를 고려하면, 가중처벌에 따른 예방적 효과 및 실제 법원의 양형에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예상될 뿐만 아니라 반의사불벌죄로의 전환은 사이버 공간의 특수성에 비례하지 않는 과도한 공권력 행사로 이어지기가 쉬워 사이버 괴롭힘의 대안으로 적절하지 않다. 또한 ISP에 과도한 작위 의무 및 비작위 의무를 부과하여 인터넷 공간에서의 실질적 검열이 이루어지는 법적 환경을 조성하는 것은 명예훼손의 방지에만 치우쳐 사회적 비용을 발생시킬 것이며 피해의 예방에도 부적절하다.
        5,400원
        239.
        2011.0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네트워크 혼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광대역 통신 네트워크 사업자가 네트워크에 과다한 트래픽을 유발하는 P2P 등 일부 통신에 대한 통제 권한을 가져야 한다는 주장이 대두되고 있다. 반면 네트워크 사업자가 일부 네트워크 통신을 제한하는 것은 네트워크 중립성에 위배된다는 주장도 있다. 네트워크 중립성은 모든 인터넷 콘텐츠가 모든 네트워크 사업자에 의해 동등하게 처리되고 어떠한 차별도 없어야 한다는 개념으로 ① 비차별성, ② 상호접속성, ③ 접근성을 그 내용으로 한다. 네트워크 중립성 원칙을 받아들여야 할지에 대해 찬반 논란이 있으나, 네트워크 시장이 과점시장에 가깝고 네트워크에 공공재적 성격이 있음을 감안할 때 네트워크 중립성 원칙을 완전히 배제하기는 어렵다. 먼저 콘텐츠의 내용을 근거로 통신을 제한하는 것은 심층 패킷 조사를 전제로 한 것인데, 이는 검열금지 원칙에 어긋나며 네트워크 이용자의 사생활과 자유를 침해하고, 어떤 내용이 적법한지에 대해 명확한 기준이 없기 때문에 네트워크 중립성에 위배된다. 다음으로 네트워크 사업자가 이용자의 접속을 끊어버리거나 우선순위를 두어 전송속도를 제한하는 것도 이용자와의 서비스 제공계약에 따른 의무를 불이행하는 것이고 네트워크 중립성에 위배된다. 과다한 트래픽의 문제는 서비스의 질에 따라 요금에 차등을 두고 그로부터 얻은 수익으로 투자하여 대역폭을 활용, 확대하는 방향으로 해결해야 한다. 최근 미국에서는 네트워크에서 P2P 통신을 제한한 Comcast사에 대해 FCC(미국연방통신위원회,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가 중립성 원칙을 위반했다는 명령을 내렸고, 이 명령에 대해 콜럼비아 주 항소법원의 판결이 있었다. 항소법원은 FCC가 Comcast사를 규제할 법적인 권한을 도출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Comcast사의 손을 들어 주었다. 우리나라에서는 방송통신위원회가 통신규제를 맡고 있는데, 전기통신사업법, 인터넷 멀티미디어 방송사업법,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등이 방송통신위원회의 규제 권한에 대해 규정하고 있는 동시에 네트워크 중립성 원칙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보인다.
        4,800원
        240.
        201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dentify the treatment effect of lactic acid bacteria for diabetes, the treatment effects of a single administration of acarbose (a diabetes treatment drug) or lactic acid bacteria, and the mixture of acarbose and lactic acid bacteria on diabetes in a type 1 diabetes animal model, were studied. In this study, streptozotocin was inoculated into a Sprague-Dawley rat to induce diabetes, and sham control (Sham), diabetic control (STZ), STZ and composition with live cell, STZ and composition with heat killed cell, STZ and composition with drugs (acarbose) were orally administered. Then the treatment effect on diabetes was observed by measuring the body weight, blood glucose, and serum lipid. For the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of the pancreas, the Langerhans islet of the pancreas was observed using hematoxylin and eosin staining, and the renal cortex, outer medullar, and inner medullar were also observed. The induced diabetes decreased the body weight, and the fasting blood glucose level decreased in the lactic-acid-bacteriaadministered group and the mixture-administered group. In addition, the probiotic resulted in the greatest decrease in the serum cholesterol level, which is closely related to diabetes. Also, the hematoxylin and eosin staining of the Langerhans islet showed that the reduction in the size of the Langerhans islet slowed in the lactic-acid-bacteria-administered group. The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confirmed that the symptoms of diabetic nephropathy decreased in the group to which viable bacteria and acarbose were administered, unlike in the group to which dead bacteria was administered. The mixture of lactic acid bacteria and acarbose and the single administr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or acarbose had treatment effects on the size of the Langerhans islet and of the kidney histopathology. Thus, it is believed that lactic acid bacteria have treatment effects on diabetes and can be used as supplements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