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14

        221.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토마토를 대상으로 암면과 코이어를 사용한 자루재배에서 일사량제어와 배액전극제어법의 급액제어 능력을 실험한 결과, 배지 종류에 관계없이 일사량제어법에 비해 배액전극제어법에서 배지함수량과 배액량이 안정 적이었다. 총수확량과 상품과량은 배액전극제어법에서 많았으며, 동일한 급액제어 처리 안에서는 배지간 차이는 없었다. 당도는 급액제어 방법의 차이보다는 배지의 종류에 영향을 많이 받았다. 배액전극제어법은 펄라이트뿐만 아니라 암면과 코이어배지에서도 범용적으로 일사량제어법에 비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22.
        201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설 내 PPFD는 오전에는 남북동이, 오후에는 동서동이 높았다. 일평균 PPFD는 동서동이 높았는데, 이는 태양광의 입사각이 작아질 때 동서동의 수광면적이 증가되기 때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고랑위 60cm 높이의 PPFD는 전 고랑에서 남북동이 동서동보다 높았으나 수량과는 관련이 없었다. 평균 기온은 동서동이 높았으나 2월중순 이후로는 태양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지온은 동서동이 다소 높았고 이랑 간에 차이가 없었다. 과실수량은 동서동이 8% 많았는데, 이는 남쪽이랑의 과실이 수확기가 빨라서 초기수량이 많았기 때문이다. 동계 단동형 비닐하우스를 이용한 토마토 촉성재배는 반촉성재배와는 달리, 동서동 시설을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였다.
        4,000원
        223.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토마토 펄라이트 자루재배에서의 효율적인 점적핀설치 위치를 규명하기 위해서, 지제부로부터 5cm 위치에 고정(F5), 15cm 고정(F15) 및 5cm~15cm로 이동(M5-15)의 3처리구를 두었다. 점적 핀 위치에 따른 배지 내 뿌리 분포를 알아보기 위해서 자루 배지를 9등분해 염색한 결과, F5 처리구에서는 다른 처리에 비해 뿌리량이 지제부 가까이에 좀 더 많았고 지제부에서 멀어질수록 뿌리량은 적었다. 지제부에 가까울수록 뿌리는 하위로 많이 발달해 있으며, 멀수록 배지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하는 경향을 보였다. F15 처리구에서는 지제부에서 멀수록 뿌리가 많이 밀집되어 있었고 지제부에서 멀어질수록 위쪽에 많이 분포되어 있었다. 점적 핀 위치가 지제부로부터 5cm 위치에서 15cm로 이동한 M5-15 처리구에서는 전체적으로 뿌리가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었다. 펄라이트 자루 내 배지 부위별 수분 분포를 생육단계에 따라 조사한 결과, 처리에 관계없이 수직분포는 하부로 갈수록 수분함량이 많았으며, 하부에서 특히 많았다. 관수종료 1시간 후에는 상부에서는 차이가 없었지만, 중부 및 하부에서는 지제부에 가까울수록 수분함량이 많았다. 중앙과 양측 면 사이에 큰 차이는 없었다. 수확량은 F15 처리구에서 가장 많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펄라이트 자루재배에서는 점적핀을 지제부로부터 15cm에 위치시키는 것이 뿌리분포나 수확량에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24.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펄라이트 자루재배시 일중 관수마감시각을 달리함으로써 최적 생장을 유지하면서도 용수이용효율(WUE)과 비료이용효율(FUE)을 높이기 위해 실험을 실시하였다. 관수마감시각에 따라 일몰 1시간 전부터 4시간 전까지 4단계로 나누어 처리한 결과, 배지 내 수분함량은 마감시각이 늦을수록 많은 경향을 나타냈다. 최종 생육은 일몰 4시간 전 처리구에서 약간 낮은 경향을 보이기는 했으나, 통계적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다. 상품수량은 일몰 1시간 전 및 2시간 전에서 가장 많았고, 4시간전에서 가장 적었다. 관수마감시각 처리별 128일 동안의 급액량을 조사한 결과, WUE와 FUE는 일몰마감 1시간 전 처리구에서 가장 낮았고, 3시간 전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식물생육, 수확량 및 WUE와 FUE 등의 면에서 일몰 4시간 전에 관수를 중단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2~3시간 전에 마감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225.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토마토의 도장 억제를 위하여 보다 안정적인 건묘를 생산하고자 육묘 기간 중 diniconazol 처리시기 처리농도에 따른 경엽처리와 침지 시간에 따른 종자처리가 묘 도장 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적정 방법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Diniconazol 처리시기 및 처리농도에 따른 토마토의 초장 신장을 본 결과 1단계 2단계 3단계로 초장의 신장과 절간장 억제가 잘 나타났다. 이는 이른 시기가 늦은 시기보다 식물체가 받는 약제의 양이 더 많기 때문에 약제 효과가 잘 나타났다. 1단계는 4절, 2단계, 3단계는 각각 3절, 2절로 억제된 절간수가 줄어들었다. 약제 지속성이 초장의 신장에 미치는 영향을 본 결과 1단계, 2단계 5mg·L-1은 약제 처리 후 초장의 신장억제가 나타났으나 다른 처리구에 비해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빨리 회복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3단계에서는 초장 신장 억제 기간이 짧았고 빠른 회복을 보였다. 1단계는 5주, 2단계, 3단계는 각각 4주정도 약제 지속효과가 나타났다. 육묘 종료 후 정식한 결과 생체량이 빨리 증가 되어 생육에는 무처리와 유의차가 없었다.
        4,000원
        226.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폐쇄형 육묘시설 내에서 균일한 품질의 플러그묘를 주년으로 생산함에 있어서 LED 광원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토마토와 오이의 육묘기간 동안에 광원을 달리하여 묘소질을 비교하였다. 적색, 청색, 혼합(적색 2 + 청색 1) LED 및 형광등을 40~60μmol·m-2·s-1로 광도(PPF)를 조사하여 30일간 온도조절이 가능한 폐쇄형 육묘시스템에서 육묘하였다. 토마토와 오이 모두 형광등에 비해 적색 LED와 혼합 LED 처리에서 배축의 신장이 작으면서 튼튼한 묘을 생산할 수 있었다. 토마토와 오이의 생체중은 적색 LED에서 가장 무거웠는데 형광등에 비하여 각각 74% 증가하였다. 토마토의 1화방 착과절위에서는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2화방의 착과절위는 혼합광 처리에서 낮았다. 화방별 착화수는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오이의 20절까지의 암꽃 착생률은 적색 LED 처리에서 52%로 가장 높았고, 다음이 혼합광 처리로서 44%였다. 과실 착과수와 수량은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폐쇄형 육묘시설 내에서 토마토와 오이의 묘생산에는 적색 및 적색 2 +청색 1의 혼합 LED가 이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4,000원
        227.
        2009.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devastating insect pests of the tomato (Lycopersicon esculentum) were surveyed in environmentally friendly (no-pesticide and organic) greenhouses located in the provinces of Gyeonggi, Gyeongsang, Gangwon, Chungcheong and Jeju. Whitefly, leaf miner, aphid and moth were recorded as the major pests in these surveys. Among them, whitefly was the most serious pest of greenhouse cultivated tomato and major species was Trialeurodes vaporariorum. The population densities of T. vaporariorum was 0~36 nymph per leaf. Population of moths Spodoptera litura were the highest in summer season. Population of the whitefly was considered to be influenced by the previous cultural methods. Farmers in organic cultivation, used insect natural enemy, commercial EFAM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 yellow sticky trap or home made pesticides. Commercial microbial pesticides were applied to evaluate their insecticidal activities against whitefly. The results revealed that microbial pesticides exhibited 65.3 to 100% whitefly nymph mortality. Further, pesticidal activities of Cooking Oil and Yolk (COY), plant extracts and neem oil were evaluated against other tomato pests as well.
        228.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bout 50,000 hives of Bombus terrestris are used for pollination of tomato and other economical crops (fruit vegetables and fruit trees)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ive use of B. terrestris and its economic effect in the major beefsteak-tomato cultivation areas from February to August in 2008. The pollinating activities, rate of bite-mark and lifespan of B. terrestris"s hive according to all beefsteak-tomato varieties (Super Momotaro, Zeus42, Mascara and Super Sunroad, 500 ㎡, 9,600~12,000plants) were apparent by regular supplement of pollen (5~6g/3 days) to the hive of B. terrestris. Especially, Super Momotaro and Super Sunroad variety were most distinctive in the effects by regular pollen supplement.
        4,000원
        229.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EVA 필름과 비교하여 폴리올레핀(PO), 불소, 방적, 방무, 보온필름 등의 기능성필름이 토마토의 품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분광투과특성에 있어 자외선은 불소필름이 가장 많았고 PO필름이 가장 적었으며, PAR는 불소, 보온, PO필름 등이 많았으며, 근적외선도 EVA에 비해 기능성필름이 많은 경향이었다. 전체광선의 투과율은 불소, 방무, 방적, PO, 보온, EVA 순으로 높았다. 하우스 내 주간온도는 광투과율 차이에 의해 불소필름이 가장 높고 EVA가 가장 낮았으며, 야간온도는 필름이 두꺼운 방적 및 PO필름이 가장 높게 유지되었다. 기능성필름은 EVA에 비해 과실 당도가 0.2~0.5˚Bx 더 높았고, 과실 내 라이코펜 함량이 15~30%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토마토의 당도, 라이코펜 함량 등의 품질향상을 위해서는 일반필름 대신에 기능성필름을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230.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공기유동 제어기술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 할 목적으로 토마토 재배 온실의 냉난방과 환기 및 공기유동 관련 실태를 조사하고, 온실유형과 난방방식별 온습도 분포를 실측하여 균일도를 분석하였다. 충남 부여 세도지역의 토마토 재배 온실 136농가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대부분을 차지하는 단동 플라스틱 온실의 천창 설치 비율이 낮고 환기팬과 유동팬 설치비율도 매우 낮을 뿐만 아니라 설치제원도 편차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아치형 단동 플라스틱온실의 천창 환기 구조의 개발보급과 연동곡부의 천창도 지붕상부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으며, 개별 천창구조 및 환기팬과 유동팬에 대한 설치 가이드라인의 제정이 요구된다. 냉방설비를 설치한 농가는 하나도 없었으며 난방방식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온풍난방에서 덕트의 설치제원 역시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고, 온풍덕트의 배기풍속 및 배기온도 또한 거리에 따른 편차가 매우 큰 것으로 관측되었다. 수출경쟁력 화보를 위한 고품질의 생산물을 연중 안정적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온실냉방기술의 보급이 절실하며 난방방식이나 덕트설치 방식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온실내 온습도 분포가 균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지표로 사용되고 있는 최대 편차와 실제 균등한 정도를 나타낼 수 있는 균일도와의 관계를 분석해 본 결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주간에는 직선식으로 야간에는 2차 곡선식으로 다르게 표현되었다. 온습도 분포의 균일한 정도를 판정할 수 있는 객관적인 기준이 마련된다면 최대편차 대신 균일도를 지표로 사용하는 것이 더 합리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온실유형과 난방방식에 따라 온 습도분포의 균일도가 상당히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야간에는 온수난방의 경우 이랑배관으로, 온풍난방의 경우 온풍덕트의 적절한 배치를 통하여, 주간에는 환기와 공기유동을 통하여 균일도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231.
        200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mato sauce, which is widely used in Western cuisine, according to tomato variety. The plum tomato sauce treatment had the highest pH at 4.13 while sauces made with Seo gwang and Young gwang tomatoes exhibited the lowest pH level of 4.07 (p〈0.05). Sweetness was highest in the plum tomato sauce at 9.80˚Brix. This might have been due to the fact that the plum tomato variety was the sweetest among the different tomato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reatments in terms of reducing sugars, salinity, or viscosity. A color difference analysis indicated that redness (a-value) was highest in the plum tomato sauce, which contained a high level of lycopene. Sensory evaluations were performed by 15 professional panelists with scoring tests for color, flavor, taste, aftertaste, viscosity, and overall acceptability. The plum tomato sauce received the best scores in every evaluation, except for viscosity. These comparative results will support the development of better quality tomato sauce using plum tomatoes.
        4,000원
        232.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standardize a preparation method for low-sodium tomato jangachi (traditional Korean pickle) via short-term fermentation with immature green cherry tomatoes. In order to determine the preferred concentrations of soy sauce and soaking temperatures of immature cherry tomato pickles in different stages of storage, we conducted an analysis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and also performed a preference test on samples of immature green cherry tomato pickles. Immature cherry tomatoes were prepared in three different soy sauce concentrations --20, 40, and 60%-- and three different soaking temperatures --60, 80, and 100℃-- and then stored for 28 days at 5℃. As a result, the pH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es in the amount of soy in the dipping solution (p〈0.05). The saltiness was maintained at levels of approximately 0.17~0.28% (20% group), 0.32~0.67%% (40%group), 0.48~1.00% (60% group) during storage period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saltiness of immature cherry tomato pickles was substantially lower than that of commercial pickles. The contents of reducing sugar and lightness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soy dipping solution. The redness and yellowness values of the tomatoes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soy sauce. Additionally, the lower the concentration of soy sauce used, the more rapidly the hardness of the immature cherry tomato pickles was reduced at 100℃. PME activity moved within a narrow range, and then stabilized during the storage period. With regard to the results of the consumer preference test, 20%-100℃ was the most preferred condition overall, 40%-80℃ was the condition in which the texture was most preferred, and 40%-80℃ was the condition that yielded the highest color scores.
        4,500원
        233.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ithout pesticide applications, mass-trapping by sex pheromone was successful to control Spodoptera litura (Fabricius) in a large scale tomato glasshouse (10,000 ㎡) at a low cost of 60 won/㎡. Pheromone traps were placed both inside and outside of the glasshouse. Inside the glasshouse traps were installed in a regular space, one trap per 500 ㎡, to catch the moths that were present in the glasshouse, and traps were also set outside of the glasshouse, at intervals of ca. 20 m, to prevent the moths from invading the glasshouse. In the experiment, more than 400 S. litura were captured per trap.
        4,000원
        234.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ymphal development of the B and Q biotypes of Bemisia tabaci was normal on all seven tomato varieties tested. However, their nymphal development was different on red pepper varieties. B biotype was not normally developed on nine red pepper varieties tested. On the contrary, Q biotype was normally developed, but its adult emergence rate was very low in Nokkwang variety than in other eight varieties. The EPG analysis of the feeding behavior of Bemisia tabaci showed that B and Q biotypes had different duration of phloem phases on red pepper. Q biotype showed longer phloem phases than B biotype. On Nokkwang variety, Q biotype had short phloem phases and did not prefer to feed on Nokkwang variety. Interestingly, Q biotype was found to have long duration of phloem phases on eight red pepper varieties, but B biotype did not prefer to feed on red pepper varieties. However, both biotypes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feeding time on tomato varieties.
        4,000원
        235.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토마토 수경재배에서 풋마름 병원균의 분포와 침입 및 전파경로를 구명하여 풋마름병 방제의 기초 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배양액 재배시스템에서 토마토 풋미름병의 발생정도별로 배양액탱크, 배지, 폐액에서 병원균의 밀도를 검정한 결과 20% 정도 발병된 포장의 폐액에서는 19,000cfu/mL의 밀도로 검출되었으며 연작연수가 많을수록 병 발생이 심하였다. 토마토 펄라이트 수경재배시스템에서 토마토 풋마름병의 발생전파 과정은 최초 발생지점으로부터 좌우로 급속히 전파되었다. 토마토 풋마름병 발생포쟁에서 병원균의 유입경로를 추적한 결과 육묘 중에 감염되는 경우와 웹스 주변의 이병된 토양에서 감염되는 경우로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유입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시판용 토마토 종자에서는 풋마름병원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4,000원
        236.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토마토의 펄라이트 배지경에서 공급했던 일본원시배양액의 폐양액은 EC는 1.9~2.4dS/m, pH는5.5~7.1의 범위였으며 다량 원소의 농도는 NH4+가 감소하였을 뿐 대부분 공급양액과 큰 차이가 없었다. 토마토 폐양액의 1L 관비시 퇴비시비량의 증가에 따라 토마토의 초장, 경경, 엽장, 엽폭 등 일반생육과 잎의 엽록소 함량이 현저히 좋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2L 관비처리에서는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토마토 잎의 엽록소 함량은 주당 1L, 퇴비량이 4,000kg/10a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토마토 식물체의 생체중과 건물중도 폐양액의 1L 관비시 퇴비시비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2L에서는 일정하지 않았다. 토마토의 수량도 일반생육과 비슷한 경향으로 관비량과 퇴비량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관비량 1L, 퇴비량 4,000kg/10a 처리구에서 가장 많았다. 당도는 퇴비량과 관비량에 따른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며 관비량 2L, 퇴비량 2,000kg/10a 처리구에서 fructose. glucose 및 총 당함량이 가장 높았다. 그러므로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폐양액을 이용한 친환경적인 관비재배가 가능하며, 또한 관비재배에서 품질도 보장 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4,000원
        237.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wo cherry tomato plant cultivars (Lycopersicon esculentum Miller, cultivars ‘Koko’ and ‘Pepe’) were supplied with high (395 ppm), medium (266 ppm) and low (199 ppm) concentrations of nitrogen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nitrogen fertilization on development, cultivar preference and honeydew production by greenhouse whiteflies, Trialeurodes vaporariorum (Westwood) (Hemiptera: Aleyrodidae). The nitrogen, protein, andchlorophyll content of tomato leaves were higher in the high nitrogen supplied plants than in the medium or low nitrogen supplied plants, but the sugar content showed an inverse relationship. The developmental times of eggsand nymphs decreased as the nitrogen concentrations increased in both cultivars. The preference of T. vaporariorum was compared by counting the number of eggs deposited on leaves in choice and non-choice tests. In the non-choice test, no significant nitrogen treatment effects were observedbut the upper plant stratum was preferred for egg laying. In the choice test, there were significant main effects of cultivar and nitrogen concentration. T. vaporariorum laid eggs more on leaves of plants with higher nitrogen at the upper stratum. In both experiments, T, vaporariorum preferred the ‘Koko’ cultivar to the ‘Pepe’ cultivar. The honeydew production of T. vaporariorum nymphs increased with decreasing nitrogen treatment concentrations. The largest honeydew production was detected in the ‘Pepe’ cultivar grown at low nitrogen concentration. It is concluded that cultivar ‘Pepe’ had an advantage over ‘Koko’ in term of T. vaporariorum management program in tomato greenhouses.
        238.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redation, development, and ovipostion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Amblyseius swirskii (Athias-Henriot) (Acari: Phytoseiidae) as a potential biological control agent for tomato russet mite, Aculops lycopersici (Massee) (Acari: Eriophyidae) which is a periodic pest of greenhouse tomatoes. Results show that A. swirskii attacked all developmental stages of A. lycopersici, and had a type II functional response on the prey densities given. The predation rates of A. swirskii on A. lycopersici in the presense of alternative food sources such as pollen, thrips first instar, or whitefly eggs were recorded as 74%, 56%, and 76%, respectively of the predation rate on A. lycopersici alone. Amblyseius swirskii successfully completed their life-cycle on either A. lycopersici or cattail pollen. At 25oC, 70% RH, development time of female A. swirskii fed on A. lycopersici or on cattail pollen took 5.0 and 6.2 days, respectively. For the first 10 days after moulting to the adult stage, A. swirskii fed on A. lycopersici had higher daily oviposition rate (2.0 eggs per day) than on pollen (1.5 eggs per day). From this laboratory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A. swirskii has promising traits as a predator against A. lycopersici and that their populations can be stably maintained using alternative food such as cattail pollen. We suggest that the effectiveness of A. swirskii against A. lycopersici under field conditions deserves to be investigated.
        239.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저광 조사 저온 저장 중 광합성유효방사(PAR)내의 각 파장이 토마토 묘의 형태와 엽색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10±0.5℃의 온도와 피크 파장이 각각 405, 450, 505, 545, 600, 645, 680, 700nm의 발광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된 3μmol m-2s-1의 광합성유효광량 자속밀도 조건에서 토마토 접목묘를 28일간 저장하였다. 405, 450, 505nm의 파장에서 저장된 묘의 잎은 다른 파장에서 저장된 잎에 비해 직립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450과 505nm 파장에서 저장된 묘의 경우 엽축 생장이 억제되면서 콤팩트한 형태를 보였다. 파장의 변화에 따른 엽색의 규칙적인 변화는 저장 전후를 비교하여 관찰되지 않았으나, 405와 700nm 파장에서 저장된 묘는 엷은 녹색을 나타내었다. 저광 조사 저온 저장 중, 450~545nm 영역의 광조사는 토마토 묘의 직립을 유도하여 외관상 건강한 묘로 인정 받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240.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iotype Q of Sweetpotato whitefly, Bemisia tabaci (Homoptera: Aleyrodidae) was raised in seven tomatoes and eight red pepper varieties; however, biotype B did not grow in red pepper varieties. Rokkusanmaru variety of tomato and Cheongpungdaegun variety of red pepper showed the highest susceptibility to biotype B and Q. HPLC (ELSD Dete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presence of sugars such as erythritol, xylose, xylitol, fructose, glucose, mannitol, and sucrose in red pepper varieties; erythritol, xylose, fructose, glucose, and mannitol was in tomato varieties. Tomato varieties lacks xylitol and sucrose, which were present in the red pepper varieties. Subsequent bioassay with these two sugars, sucrose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biotypes; however, xylitol was showed only repellent effect against B biotype. Therefore, it seems that xylitol may play a key role in the selection of host plant by biotype B of sweetpotato whitef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