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121

        221.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순환식 수경재배에서 배액 재사용율이 여름 파프리카의 생육 및 착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시험구는 비순환식 수경재배를 대조구로 하여 폐양액의 혼합비율을 0, 20, 30, 50%로 처리하여 2015년 3월부터 9월까지 25주간 실시되었다. 실험결과 경경은 생육 초기인 1, 2그룹시에는 시험구간 차이를 보였지만 3그룹이상 진전될수록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엽면적은 배액 혼합율이 많을수록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생육 마디수는 50% 재사용 시험구가 대조구에 비해 1.4마디 적었지만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수확 마디수는 대조구가 11.1마디, 50% 재사용 시험구가 8.7 마디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배액을 재사용 할수록 수확마디가 적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수확율 역시 수확마디와 동일한 경향을 보이며 대조구가 33.2%로 가장 높았고 50% 재사용 시험구가 27.6%로 가장 낮았다. 상대적 생산량은 1그룹에서 대조구를 기준으로 30%, 35%, 45%의 생산량이 감소하였고 이러한 경향은 2그룹과 4그룹에서도 나타났다. 하지만 3, 5그룹에서는 50% 시험구의 생산량이 13%, 5% 증가하였다. 비상품과의 비 율은 0%, 20%, 30%, 50% 재사용 시험구에서 각각 2%, 4%, 4%, 7%로 재사용율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초기 생육의 저하로 인한 생산량 감소를 유의하여 관리한다면 중기생육 이후부터는 무기이온의 불균형이 발생하여도 작물생육이 안정기에 접어들어 재사용으로 인한 생육 및 수량 감소를 우려하지 않아도 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22.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조사연구는 충남 예산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젖소 사 육농가 중 10개 전업 검정농가를 대상으로 2015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농협중앙회 젖소개량사업소의 검정성적 을 통하여 유량 및 유조성분을 조사·분석하여 젖소농가의 경영지표 설정과 농가의 경영기술 개선을 위한 기초적 자 료를 얻고자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평균 산유량은 33.62kg로 나타났다. 산차별로는 유의한 차이 (p<0.05)를 보였으며 1산차는 29.60kg로 가장 낮은 산유량 을 나타났으나, 2산차 이상부터 높은 산유량을 보였다. 산 유량별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5), 계절별 평균 산유량은 봄에 34.51kg으로 다른 계절보다 높은 유량을 보 였다(p<0.05). 산차별의 유지율은 유의성 없이 1산에서 6산 차까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산유량별 간에 유지율은 유 의한 차이(p<0.05)가 있었고, 계절별 간에는 유의한 차이 (p<0.05)를 보였는데, 겨울에 유지율 4.15%로 가장 높은 성 적을 보였으나, 여름에 3.61%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산차별 간의 단백율은 유의한 차이 없이 평균치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산유량별 간의 유단백율은 유의한 차이 (p<0.05)로 1일 30kg미만 군에서는 3.51% 높은 유단백율을 보였고, 40kg이상 군은 3.14%로 가장 낮은 함량으로 나타났다. 계절별 간의 유단백율은 가을과 겨울은 각각 3.40% 와 3.41%으로 높았으나, 봄과 여름은 각각 3.28%와 3.27% 로 낮은 수준를 보였다(p<0.05). 총고형분은 산차별 간에 1 산차가 8.92%로 가장 높은 함량를 보였으나(p<0.05), 산차 가 커질수록 감소현상을 보였다. 산유량별에 따른 총고형 분율은 1일 30 kg미만 군에서 8.92%로 높았으나, 40kg이상 군은 8.62%로 낮은 총고형분율을 나타났다(p<0.05). 계절 별 간의 총고형분율은 가을과 겨울에 각각 8.87%와 8.84% 으로 높은 함량이 었으나, 봄과 여름에는 각각 8.77%와 8.75%로 낮았다(p<0.05). 산차별간의 체세포수는 1산차가 100.75천개/ml로 가장 낮은 수를 나타냈으나, 산차가 커질 수록 체세포수는 증가현상을 보였다(p<0.05). 산유량별로 는 1일 30kg미만 군은 157.00천개/ml의 높은 체세포수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05), 40kg이상 군의 123.64천 개/ml로 낮은 수로 나타났다. 산유량은 유지율, 유단백율 및 총고형분율과 각각 -0.378, -0.534 및 –0.370으로 음(-)의 상관계수를 나타냈다. 유지율은 유단백율 및 총고형분율과 의 상관계수는 각각 0.600과 0.493으로 매우 높은 양(+)의 관계를 보였다. 유단백율과 총고형분율 간에는 0.833으로 양(+)의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산유량과 유지율의 단순회귀모형은 y=-0.0297x+4.907(R2=0.1426), 유지율과 유 단백율은 y=0.2824x+2.2482(R2=0.3606), 유단백율과 총고형 분율은 y=0.8564x+5.9404(R2=0.6942)를 나타냈다. 따라서 젖소의 산유량과 유성분은 계절적 요인, 그리고 체세포수 는 산차와 산유능력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적절한 젖소의 산유량과 유질개선에 각별한 관리가 요구된다.
        4,000원
        223.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대추나무 생산농가의 합리적인 생산 계획수립을 지원하는 방안으로 2015년 9월부터 10월 사이에 경북 경산시 과원에서 5~30년생 대추나무의 수령별 과실특성, 수체특성 및 생산량을 조사하였 다. 대추나무 수령에 따른 과실 특성에 있어서, 과실 중량, 과실종경, 과실횡경은 5~25년생에서는 유의 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30년생에서 감소된 수치를 나타냈고, 과형지수는 수령이 증가할수록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과실당도는 23.28~25.46°Brix 범위로 수령에 따른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 다. 대추나무 수령에 따른 수체특성에 있어서, 수고, 근원경, 수관 폭 및 수관면적은 10년생까지 유의성 을 나타내며 생장하였으나, 10년생부터 30년생까지는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생대추 생산량은 25년 생부터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어, 대추나무의 수령이 생대추 생산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대추나무 수령이 생대추 생산량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비교하였으며, 조사된 수체특성 인자에 대하여 상관계수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생대추 생산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수체특성 인자 는 수관폭으로 나타났다.
        4,000원
        224.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arvesting time of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IRG) in spring on dry matter (DM) yield. IRG cultivars ‘Kowinearly’ and ‘Greenfarm’ were seeded at 50 kg/ha and grown on rice paddy fields. There was no difference in growth characteristics between both varieties before winter. However, cold tolerance of Kowinearly was higher than that of Greenfarm, as demonstrated by post-wintering growth characteristics. The heading date of both varieties was affected by the spring weather. The IRG was harvested three times at 5-day intervals beginning from 9 May. The DM yield of Greenfarm was 6,306; 7,335; and 8,109 kg/ha, and that of Kowinearly was 7,498; 9,196; and 10,449 kg/ha at the three consecutive harvests. The delay of the harvesting time for 5 and 10 days increased the DM yield of Greenfarm by 16% and 29% and that of Kowinearly by 23% and 39%,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yield at first harvest (p < 0.05). Therefore, IRG harvest later than early to mid-May is expected to increase productivity. The feed values of Greenfarm were: 12.2% of crude protein (CP), 34.5% of acid detergent fiber (ADF), 57.7% of neutral detergent fiber (NDF), 61.6% of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and 72.3% of in vitro DM digestibility (IVDMD). For Kowinearly, these values were 16.4% of CP, 30.4% of ADF, 52.7% of NDF, 64.9% of TDN and 79.0% of IVDMD.
        4,000원
        225.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붕 환기장치 설치방법의 개선에 의한 작물 재배효과를 검증하고자 농가현장에서 개선 지붕 환기방식과 관행 환기방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개선 지붕 환기방식은 참외재배 단동 플라스틱 온실(폭 5.6m, 길이 108m, 측고 1.1m, 동고 2.2m)에 지붕 환기팬(용량 38m3/min)과 환기 통(지름 60cm)을 각각 15m와 6m 간격으로 설치하였고, 대조구로서 관행 지붕 환기방식은 각각 20m와 8m 간격으로 설치하였다. 관행 및 개선 지붕 환기 방식에 따른 생육을 조사한 결과, 관행 환기통과 환기팬 처리에 비해 개선 환기통과 개선 환기팬 처리에서 경경, 엽장, 엽병장, 및 엽폭의 값이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생육기 전반부에 관행 환기통 처리는 환기팬 처리에 비해 절간장이 다소 길게 발달하였는데 이는 착과수가 환기팬 처리에 비해 적었고, 착과수 감소로 인해 동화산물이 잎과 줄기의 신장부로 좀 더 이동된 영향으로 판단되었다. 참외재배 단동 비닐하우스에서 과실 수량을 조사한 결과, 개선 환기팬과 개선 환기통 처리는 관행처리에 비해 과중은 약간 작았지만, 착과수 증가로 인해 전체 수량은 높게 나타났다. 개선 환기팬과 개선 환기통 설치 하우스에서는 관행 지붕 환기 하우스에 비해 상품과율이 높았 으며, 10a당 상품수량도 각각 8,391kg, 7,283kg 으로 나타나 관행 지붕 환기에 비해 개선 환기팬 처리는 661kg, 개선 환기통 처리는 487kg 더 증가하였다. 개선 환기팬 처리는 고온기에 암꽃수와 착과수가 가장 많았고, 낙과수는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관행의 환기통 처리에 비해 과실의 크기는 작았다. 시기별 환기방식에 따른 참외 과실의 품질을 조사한 결과, 관행 환기통 환기에서 과중, 과경, 과폭, 및 과육두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과폭, 과육두께에 있어서 통계적인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4,000원
        226.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 시설재배에 이용되는 남부하이부쉬 블루베리의 전정방법 도출을 위해 동계 및 하계전정이 수량 및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실시하였다. 전정처리는 무전정, 동계전정(2월 4일), 동계전정+하계전정(8월 5일)으로 나누어 처리하였다. 과실은 총 6회에 걸쳐 수확하였고, 수확시의 수량, 수확시기별 과실의 과중 변화와 과실 품질을 조사하였으며, 비상품 과실의 발생 비율을 조사하였다. 5년생 ‘Misty’에 있어 전정 처리에 의한 과실 수량의 차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전정 처리의 수확시기별 수확량에 있어 무전정 처리의 경우 2번째 수확기부터 마지막 수확기까지 수확량이 일정한 반면, 전정처리 나무의 경우 수확 전반기에 보다 많은 수확량을 보여 전정으로 인해 큰 과실을 보다 많이 수확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과실의 총 당, 총 안토시아닌, 총 페놀 함량의 변화는 처리 간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비상품과 발생량의 경우 무전정 처리구에서 전체 수확량의 57%인데 반해 동계전정 처리구와 하계전정을 겸용한 처리구의 경우 각각 26%, 31%로 낮게 조사되었다.
        4,000원
        227.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뿌리부추를 시설하우스에서 재배할 경우 여름철 고온기 하고현상(Summer depression)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광막을 하우스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하여 차광정도를 달리하면서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15년 하우스 내부에 무차광, 35, 55, 75, 95% 차광막을 설치하여 정식 후 20일 째 되는 날에 최종 출현 정도를 조사한 결과, 무처리, 35 및 75% 차광에서 98% 출현하였고, 55 및 95% 차광에서 100% 출현하였다. 차광 정도와는 상관없이 모든 처리에서 최종 출현은 양호하였다. 하우스 내외부에 차광막을 설치했을 경우, 2년간 평균 생중량(Fresh weight) 은 75% 차광에서 6,323kg/10a으로, 무차광, 35%, 55%, 95% 차광보다 각각 5.0배, 1.8배, 1.1배, 1.7배 높았다. 하우스 외부에 차광막을 설치할 경우 생중량은 75% 차 광에서 684g으로, 55%, 95% 차광보다 1.1배, 1.8배 높았다. 건중량(Dry weight), 건물율(Percentage of dry matter), 엽수(No. of leaves), 분얼수(No. of branches), 초장(Plant height), 근장(Root length) 등 분석결과 75% 차광이 다른 차광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거나 절대적 수치가 높게 측정되어 중부지역에서 뿌리부추를 재배 할 경우에는 75% 차광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 되었다.
        4,000원
        228.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pplication levels of fertilizer and sowing methods on yields and nutritive values of Italian ryegrass (IRG) in early spring. Five fertilizer levels were used: Treatment 1, 100-80-80 kg/ha; Treatment 2, 120-100-100 kg/ha; Treatment 3, 140-120-120 kg/ha; Treatment 4, 160-140-140 kg/ha; Treatment 5, 140-120-120 kg/ha of N-P2O5-K2O with silicate fertilizer 200 kg/ha. Dry matter (DM) yield was 8,330 kg/ha in Treatment 5, 7,686 kg/ha in Treatment 4, and 7,347 kg/ha in Treatment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content. The content of crude protein was the highest in Treatment 5. Dry matter ratio was the lowest in Treatment 5. In Treatment 3, DM yield was 7,347 kg/ha, when total amounts of fertilizers were applied at one time. However, DM yield was 7,405 kg/ha, when 50% of pre-planting fertilizer and 50% of supplementary fertilizer were applied at different tim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otal application and split application of fertilizers. However, DM yield was 9,469 kg/ha in application treatment with 100 kg/ha of additional urea at three to four leaf stages of IRG. Regarding DM yield by sowing methods of IRG, the following order was found: drill seeding (8,176 kg/ha) > rotary-broadcast seeding-stamping (7,957 kg/ha) > rotary-broadcast seeding (7,810 kg/ha) > broadcast seeding (7,347 kg/ha) > broadcast seeding-rotary (7,034 kg/ha). DM yield (59.57%) was the lowest in broadcast seedingrotary. Crude protein content was the highest with rotary work but the lowest with broadcast seeding.
        4,000원
        229.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harvesting time of rice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dry matter yields of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IRG) ‘Kowinearly’ after seeding them in paddy field.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RDA (Cheonan, Choongcheongnam-do province of Korea) for four years (2011~2014). Italian ryegrass variety ‘Kowinearly’ was seeded at experimental paddy fields before rice harvest in late September. Rice were harvested at 10, 20, and 30 days after seeding of IRG. As the harvest time of rice became later, the number of tillering before winter was reduced and IRG plant length before winter was shorter. The dry matter yield of IRG was also reduced. When rice were harvested at 20 days and 30 days after sowing of IRG compared to the rice harvested in autumn at 10 days after sowing of IRG, the number of tillering for IRG before winter was decreased by an average of 19% and 40%, respectively. The winter survival ratio of IRG was decreased by an average of 13% and 19%, respectively. Their dry matter yields were also reduced by an average of 8% and 19%, respectively. The heading date was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ree years. The plant length at the time of IRG harvest in the spring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 groups. Taken together, our results suggest that when Italian ryegrass is grown in paddy fields by the method of ‘seeding of IRG before rice harvest’, rice should be harvested as soon as possible after sowing of IRG ‘Kowinearly’ in the autumn to increase forage productivity.
        4,000원
        230.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절기 엽수 관리는 딸기 재배 농가마다 상이한데 촉성 작형으로 ‘설향’을 토경 재배할 때 동절기 엽수 조절이 딸기 수량 및 과실 당도에 미치는 영향을 2작기 (2013-2014년 및 2014-2015년)에 걸쳐 검토하였다. 12월 상순에서 2월 하순 사이에 엽수를 성엽을 기준으로 6매 및 9매를 남기고 주기적으로 적엽하거나 노화되어 황화된 엽만 제거한 무적엽 처리구를 두어 실험하였다. 2014-2015년 작기에서 엽수를 6매 및 9매를 남기고 적엽한 처리구와 비교하여 무적엽 처리구에서 2월 하순까지의 조기 상품과 수량 및 상품과 총수량이 유의하게 높았다.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동절기 엽수 조절에 따라 1-3월 사이에 처리구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무적엽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수확 전기간 평균 12oBrix 내외로 안정적이었다. 따라서, 동절기에는 부족한 일조량과 단일 조건으로 충분한 동화산물의 생산이 어렵기 때문에, 노화엽과 이병엽을 제외하고 최소한으로 적엽하여 관리하는 것이 딸기 과실 수량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을 판단된다.
        4,000원
        231.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완전 인공광형 식물공장 내에서 RBW LED(red:blue:white = 2:1:1)의 광주기와 광도가 흰민들레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완전 인공 광형 식물공장에서 각각 광주기 3수준과 광도 4수준으로 설정하였고, 분무수경으로 광주기 실험은 270일, 광도 실험은 120일 동안 재배하였다. 광주기별 전 재배기간 동안 8회 수확한 1주당 수확 총엽수는 16/8시간 처리구에서 주 당 224매로 12/12시간 처리구의 220매와 비슷하게 많았고 8/16시간 처리구에서 151매로 가장 적어 대체로 명기가 길수록 수확엽수도 많아지는 경향이었다. 지상부 생체중은 16/8h 처리구에서 125g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12/12h 처리구 91g, 8/16h 처리구 56g 순이었다. 광도별 전 재배기간 동안 총 4회 수확한 엽수는 150μmol·m-2·s-1 처리구에서 123매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107매인 200μmol·m-2·s-1 처리구와 95매인 100μmol·m-2·s-1 처리구 이었고, 50μmol·m-2·s-1 처리구에서 56매로 가장 적었다. 1주당 지상부 총 생체중은 150μmol·m-2·s-1 처리구에서 43.6g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100μmol·m-2·s-1과 200μmol·m-2·s-1 처리구로써 각각 34.6g과 32.2g이었으며 50μmol·m-2·s-1 처리구에서 18.2g으로 가장 낮았다. 이상의 결과 흰민들레 최적 생장을 위한 완전 인공광형 식물공장의 RBW LED(red:blue:white = 2:1:1) 조명의 광 조건은 광주기 16/8h, 광도 150μmol·m-2·s-1이었다.
        4,000원
        232.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indentify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in exon region of the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 1 (GPD1) gene and to evaluate their associations with meat yield and quality traits in Hanwoo (Korean cattle). Two SNP markers, g.2766C>T and g.5105A>G were identified in the exons 5 and 8, respectively. Genotyping of the two SNPs was carried out using PCR-RFLP analysis in 309 Hanwoo steers to evaluate their associations with meat yield and quality traits. As a result, g.2766C>T in exon 5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arcass weight (CW) and marbling score (MS). Animals with the CC genotype of g.2766C>T had heavier CW than those with the CA or AA genotype. Animals with the CC genotype of g.2766C>T also had higher MS than those with the CA or AA genotype. Additive effect was also observed with CW and MS traits. We constructed haplotypes by linkage disequilibrium analysis and analyzed association between haplotypes and meat yield and quality traits. Haplotype of GPD1 gene was associated with CW. As a result, animals with CA haplotype had heavier CW than TG haplotyp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SNPs of bovine GPD1 gene may be a useful molecular marker for selection of meat yield and quality traits in Hanwoo.
        20,000원
        233.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identify the limited and adaptable sowing date and select the double cropping system, two different cropping systems such as potato (Sumi, Chubaek) - maize (Ilmichal, Yanganok) and maize (Ilmichal, Yanganok) - potato (Chubaek) were conducted in paddy and upland field condition. We observed and compared plant growth characteristics, yield potential, and income at two different cropping systems. Average yield of potato (first crop, Sumi) in paddy field was higher than upland field when planted at March 20. The plant height and stem length of the second cropping potato sown at August 20 were 30 cm higher than first cropping potato sown at March 20, which is reduced about 1,500 ~ 2000 kg/ 10a of the second cropping potato yield. Stem length and the first ear height of the first cropping corn Ilmichal sown at April 15 in paddy field were 5~10 cm higher than upland field and ear property was similar. Silking date of the second cropping corn Ilmichal sown at July 3 were about 19 day earlier than the first cropping corn Ilmichal sown at April 15, However, both stem length and the first ear height of the second cropping corn Ilmichal sown at July 3 were small compared to those of sown at April 15. Ear property of Yanganok sown at June 19 and July 3 were similar in both paddy and upland field. Fresh weight yield (aerial part, kg/10a) of Yanganok sown at June 19 were 500 ~ 700 kg/10a higher than those of sown at July 3. In view of income comparison between two different cropping systems, Chubaek-Ilmichal and Chubaek-Yanganok cropping systems were best combination, Ilmichal-Chubaek and sumi- Yanganok cropping systems were worst combination in upland field. Chubaek-Ilmichal and Chubaek- Yanganok cropping systems were best combination, Ilmichal-Chubaek cropping systems was worst combination in paddy field.
        4,000원
        234.
        2016.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awdust bag cultivation was performe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different sawdust substrate (Quercus mongolica, Q. acutissima, Q. serrata, Q. aliena, and Q. variabilis) on the eight variety of shiitake (Poongnyunko, SANJO 701, Mori 436ho, Sanlim 10ho, Chilha 6ho, Yoogiro, Baekwhahyang, Charmaram). After inoculation, sawdust substrate block (2 kg) was cultivated at 22°C for 120 days. During the production period, the temperature was adjusted to 18°C and the relative humidity at 90%. The yield was calculated based on the fruit bodies from the first, second and third flush. As results, Poongnyunko yielded 455 g on the substrate, Q. serrata, 378 g on Q. aliena, and 333 g on Q. variabilis. Chilha 6ho yielded 304 g on Q. mongolica and Charmaram yielded 245 g on Q. acutissima. The average weight of mushrooms from Charmaram was 40-45 g on all five substrates and Q. variabilis was the best among them. In terms of phenotypic characteristics, Chilha 6ho was generally better than the others. Charmaram, Poongnyunko, Sanlim 10ho also had good characteristics. Mori 436ho, Yoogiro, Baekwhahyang developed for log cultivation showed lower yield compared to the varieties for sawdust bag cultivation. Keywords : Lentinula edodes (Shiitake), Querqus spp., Saw-dust bag culture, Yield
        236.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Garlic (Allium sativum) has been used as a medicinal plant due to its various functionalities such as reduction of cholesterol leve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ptimize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microencapsulated garlic powder (MGP) coated with whey protein isolate (WPI) to improve its production yield. WPI was mixed with distilled water followed by magnetic stirring at 500 rpm for 12 h to hydrate it completely. Garlic powder (GP) was added into the WPI mixture. Ratio of GP to WPI was 1:1. Subsequently, GP-WPI mixture was homogenized, and then spray-dried. To maximize the production yield of MGP, variables such as the mixing time and homogenizing condition such as rpm and time were tested. The optimum conditions for producing MGP were found to be as follows: GP and WPI mixing for 1 h and homogenizing at 8100 rpm for 10 min which improved liquid flow rate during spray drying process. The production yield of MGP under optimum conditions was 25.6 g/h. The results of this study might provide scale-up parameters on applications of GP for its commercialization.
        237.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Italian ryegrass (IRG) dry matter yield (DMY) estimation models in South Korea based on climatic data by locations. Obviously, the climatic environment of Jeju Island has great differences with Korean Peninsula. Meanwhile, many data points were from Jeju Island in the prepared data se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DMY values and climatic variables were observed between south areas of Korean Peninsula and Jeju Island. Therefore, the estimation models were constructed separately for south areas of Korean Peninsula and Jeju Island separately. For south areas of Korean Peninsula, a data set with a sample size of 933 during 26 years was used. Four optimal climatic variables were selected through a stepwise approach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DMY as the response variable. Subsequently, via general linear model, the final model including the selected four climatic variables and cultivated locations as dummy variables was constructed. The model could explain 37.7% of the variations in DMY of IRG in south areas of Korean Peninsula. For Jeju Island, a data set containing 130 data points during 17 years were used in the modeling construction via the stepwise approach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odel constructed in this research could explain 51.0% of the variations in DMY of IRG. For the two models, homoscedasticity and the assumption that the mean of the residuals were equal to zero were satisfied. Meanwhile, the fitness of both models was good based on most scatters of predicted DMY values fell within the 95% confidence interval.
        4,600원
        238.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 forage rye (FR) dry matter yield (DMY) estimation model based on climate data by locations in South Korea. The data set (n = 549) during 29 years were used. Six optimal climatic variables were selected through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DMY as the response variable. Subsequently, via general linear model, the final model including the six climatic variables and cultivated locations as dummy variables was constructed as follows: DMY = 104.166SGD + 1.454AAT + 147.863MTJ + 59.183PAT150 4.693SRF + 45.106SRD 5230.001 + Location, where SGD was spring growing days, AAT was autumnal accumulated temperature, MTJ was mean temperature in January, PAT150 was period to accumulated temperature 150, SRF was spring rainfall, and SRD was spring rainfall days. The model constructed in this research could explain 24.4 % of the variations in DMY of FR. The homoscedasticity and the assumption that the mean of the residuals were equal to zero was satisfied. The goodness-of-fit of the model was proper based on most scatters of the predicted DMY values fell within the 95% confidence interval.
        4,000원
        240.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sroaniso matrix precursor synthesized from commercially available petroleum pitch was stabilized in air. The influence of oxygen mass gain during stabilization on the yield of matrix precursor was studied. Additionally, the influence of pressure on the yield of the stabilized matrix precursor in a real system was studied. The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metry (FTIR),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yield, yield rate, and yield impact were used to check the effect of stabilization and pressure on the yield of the matrix precursor and the end properties of the composite thereafte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yield increased with stabilization duration up to 20 h whereas it decreased for stabilization duration beyond 20 h. Further results showed that the stabilized matrix precursor for a duration of 5 h could withstand almost two-fold greater hot-pressing pressure without resulting in exudation as compared to that of a 1 h stabilized matrix precursor. The enhanced hot-pressing pressure significantly improved the yield of the matrix precursor. As a consequence, the densific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Further, the matrix precursor stabilized for a duration of 20 h or more failed to provide proper and uniform binding of the reinforcement.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