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983

        252.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alinity is a major abiotic stress for crop plants that cause reduced food production. The application of plant growth-promoting microorganisms can improve the adaptability of plants to biotic and abiotic stresses. Therefore, in the current study, we aimed to enhance the mitigation effects of artificially applied rhizobacterium Klebsiella variicola AY13 on salinity stress in Trifolium repens L. The results suggested that AY13 innately produced indole-3-acetic acid and accelerated the morphological adaptation of T. repens to salt stress conditions. Furthermore, AY13 promotes a Trp-dependent pathway for indole-3-acetic acid (IAA) production, as adding L-tryptophan (L-Trp) increased IAA production in pure culture. AY13 improved plant growth by maintaining relative water content and minimizing water loss in excised leaves. Moreover, AY13 inoculation significantly reduced the endogenous levels of abscisic acid and antioxidants such as glutathione and catalase. These results suggest that AY13 plays a crucial role in reprogramming stress-related metabolism and enhancing plant stress tolerance.
        4,000원
        253.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고추 재배 시험을 통해서 발전소로부터 배출되는 저회 (BA, bottom ash)의 농업적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저회의 시용수준은 5 (BA5), 10 (BA10), 15 (BA15) 및 20 (BA20) ton ha-1으로 조절하였으며, 대조구는 퇴비를 일반 기비로 사용한 관행처리 방법으로 하였다. 고추의 생육 특성은 퇴비 처리구가 저회 처리구에 비해 생육이 증가되었고, 저회 사용수준에 따른 고추의 생육은 전반적으로 BA15 ≓ BA10 > BA20 > BA5 처리구 순으로 증가되었다. 고추 재배 후 조사된 토양의 화학적 특성은 저회의 시용수준이 증가될수록 pH, EC, SOC, 그리고 CEC 함량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작물의 생육과 관련이 깊은 pH, SOC 및 CEC의 지표는 저회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각각 0.20~0.82, 1.16~8.92 g kg-1 및 0.29~0.74 cmolc kg-1 범위로 증가되어 저회가 토양 탄소 함량 증진을 포함한 토양 비옥도 개선에 효과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시험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저회의 시용은 관행처리에 비해 고추의 수확량은 적지만 토양환경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어 토양개량제로서 저회의 농업적 활용은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4,000원
        254.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work, we report a direct preparation of a few-walled carbon nanotube (FWCNTs) and NiMgAl composites namely FWCNT-NiMgAl by pyrolysis of waste high-density polyethylene (HDPE) plastic at 800 °C with NiMgAl-layered double hydroxide (LDH) as catalysts. The composite formation is carried out in a single step using our lab-developed pyrolysis reactor. The NiMgAl-LDH catalyst was prepared by co-precipitation method and the FWCNTs were grown on the NiMgAl-LDH catalyst with FWCNT yield of 10% and FWCNT-NiMgAl composite yield of 55% whose quality is determined by Raman ID/IG ratio of 2.57. The average outer and inner diameter of the FWCNT are found to be 5.5 nm and 2.9 nm, respectively, from TEM and 2.92 nm from the outer RBM (radial breathing mode) band, which indicates the formation of a few-walled CNTs. FWCNT-NiMgAl is used for the fabrication of flexible supercapacitor electrodes on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sheet which achieved a specific capacitance of 432 Fg− 1 in a wide potential range (ΔV = 2) at a scan rate of 5 mV s− 1 in 2 M KOH electrolyte with a high energy density of 240 Wh kg− 1, whereas NiMgAl displayed a capacitance of 200 Fg− 1 with an energy density of 111 Wh kg− 1. The diffusion-type charge storage mechanism (pseudocapacitance) is found to be dominant with contributions of 73.2% and 69.75% for NiMgAl and FWCNT-NiMgAl, respectively. The highest specific capacitance and energy density are obtained for NiMgAl in 2 M KCl and for FWCNT-NiMgAl in 2 M NaOH electrolytes. However, the largest potential window is observed in KOH electrolyte for both NiMgAl and FWCNT-NiMgAl with value of ΔV = 2 V. The electrode material shows good stability in acidic electrolytes and also shows good capacitive stability at high frequencies maintaining a phase angle of 70°. The present work is a novel approach to fabricate low-cost multifunctional carbon composite nanomaterials and will contribute to the research on low-cost waste-derived CNT composite preparation and its application in flexible energy storage devices.
        5,100원
        255.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by designing a high-efficiency hydrogel and colloid fusion applicator and checking production speed(hydrogel) and working setting time(coating time) by promoting the starting product. As a result of performing a product production test by manufacturing a starting product based on the process automation design, the production volume increased by about three times from 4m per minute to an average of 11m per minute. The working setting time(coating time) of the fusion applicator was shortened from the target of 10minutes to 1.69minutes, which had the effect of reducing the loss of work time.
        4,000원
        256.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에서 일어난 해양사고 발생 현황을 보면 평균적으로 약 8.5% 정도 사고 발생건수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부선, 예인선, 유·도선 및 부유식해상구조물에서도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부유식해상구조물을 종류에 따라 분류하 고, 선박안전법, 어선법, 낚시 관리 및 육성법 등 관련 국내법을 참고하여 부유식 구조물의 종류에 따른 기준체계와 적용 범위를 검토하고 자 하였다. 아울러 해상 환경을 고려하여 국내 규정을 적용함에 있어 구조적으로 취약한 부분과 안전상의 사각지대에 놓인 위험 요소를 조기 발굴하고, 발굴된 위험 요소에 대해서 효과적인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4,000원
        257.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외로 첨단 ICT 융합기술이 농업 분야에 적용되기 시작 하면서, 시설원예 설비들이 고도화되고, 스마트팜 구축 기술 및 인력이 축적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 농촌의 경 우, 농업생산 연령의 고령화, 국내 농촌 인구의 지속적인 유출, 저출산 등으로 인하여 스마트팜 확대 및 적용에 어려움이 많 은 실정이다. 따라서 공간 및 시간에 구속을 받지 않는 간편한 농업인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최근 부상하고 있는 시뮬 레이션 기술을 활용한다면 농업 교육용 시뮬레이션 툴 개발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온실 환경 제어 모델을 이용한 시뮬 레이션은 다양한 지역과 기상 조건 하에서 대상 온실의 열과 물질에너지의 상호작용을 합리적으로 예측할 수 있게 해준다. 본 연구에서는 온실 환경 제어 모델을 활용하여 외부 기상 데 이터를 통해 온실의 환경 변화를 예측하고 가상의 환경 제어시스템을 통해 환경 제어 시 필요한 에너지값들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이용자가 직접 맞춤형 환경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고려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축할 것이며, 실제 파프리카 재배 온실의 제어 요소들을 반 영할 수 있도록 설계될 것이다. 농업용 교육 시뮬레이션 툴을 최근 활발하게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작물 생육 모델링 기 술 및 전산유체역학 기술과 융합하면 더욱 타당한 결과를 보 일 것이다.
        4,300원
        258.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바이오산업의 발전으로 의약품, 식품 등의 생산 과정의 분리/정제 공정에 사용되어 왔던 기존의 컬럼 크로마토그 래피를 대체하여 더 높은 처리효율을 갖는 막 크로마토그래피가 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기공 크기의 두 가 지 상용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CA) 분리막을 탈아세틸화 과정을 통해, 리간드의 개질이 용이한 다공성 재 생 셀룰로오스 지지체를(Regenerated cellulose, RC) 제조하였다. 음이온 교환능을 부여하고자 grafting을 수행하였으며, 구체 적으로는 UV 중합법을 통해 4차 암모늄을 포함하는 음이온 교환 리간드(MAPTAC)를 부착하여 음이온 교환용 흡착막을 제 조하였다. 단백질 흡착 용량은 정적 흡착 용량(Static binding capacity, SBC)시험을 통해 총 단백질 흡착 용량을 측정했고, 동 적 흡착 용량(Dynamic binding capacity, DBC)을 측정하여 상용막과 비교 평가하였다. 성능 평가 결과 단백질 흡착량은 넓은 표면적에 의해 리간드 밀도가 높은, 기공 크기가 작은 순서로 높게 측정되었고, 상용 CA분리막을 탈아세틸화하고 리간드를 부착시킨 분리막(RC 0.8 + MAPTAC 43.69 mg/ml, RC 3.0 + MAPTAC 36.33 mg/ml)이 상용 막 크로마토그래피 제품(28.38 mg/ml) 대비 높은 흡착 용량을 보였다.
        4,000원
        259.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살리실산은 식물의 생장 및 발달, 항산화 방어기작, 광합성 작용 그리고 생물적 및 비생물적 스트레스 조건에서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조절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온・건조 스트레스 조건에서 살리실산 경엽처리가 고추의 생육, 광합성 특성 및 항산화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 하고자 하였다. 광합성 특성 측정결과 광합성 속도, 기공전도 도 및 증산 속도가 증가하였고, 3회차 처리에서 가장 높았다. 세포내 MDA와 H2O2 함량은 살리실산 3회차 처리에서 현저 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APX, CAT, POD 및 SOD 활 성이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무처리 대비 최대 247, 318, 55 및 54% 증가하였다. 고추의 생육 특성은 무처리구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상품 수량은 15% 정도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살리실산의 경엽처리는 고추 의 광합성 특성과 항산화효소 활성을 증진시켜 고온・건조 스트 레스에 의한 피해 경감에 긍정적 효과를 유발함을 확인하였다
        4,000원
        260.
        202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암기조생’ 감귤 과실의 표면온도와 일사량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일소가 유발되는 과실 표면온도를 예측 하고 일소 발생을 경감시키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기온 이 31℃일 때 30분 간격으로 5분 미세살수와 1% 탄산칼슘, 4% 카올린 용액을 10일 간격으로 3회 엽면살포하여 일소과 발생과 과실 품질을 조사하였다. 과실 표면온도는 일사량과 R = 0.788(p < 0.01)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한 낮에는 기온보다 최고 16℃가 높았다. 과실 표면온도를 추정 하는 회귀식 y = 0.099 × (대기온도) + 0.018 × (일사량) + 20.779(R = 0.687, p < 0.01)을 도출하였다. 30분 간격으로 5 분 미세살수시 수관 내부 온도가 무처리보다 5.1℃ 낮았다. 일 소과 발생률은 미세살수구가 2.1%로 무처리구보다 2배 이상 낮았고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나타냈으나, 과실 품질은 처리 간에 비슷하였다. 햇빛을 반사하거나 미세살수를 실시하여 과실 표면온도를 낮추면 일소 발생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 인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