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43

        262.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information about food and nutrition topics presented throughout the television broadcast media, thereby find out the optimal communication method to give desirable information to the general public. To perform this study were recruited and trained by monitoring education before and during the study. 3 domestic TV channels were selected to be monitored, for 3 months.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reporting cases of information about foods and nutrition were 154, When each monitored contents was seen from the domain of programs, 128 cases(83.1%) were from current affairs and information program, and 26(16.9%) were from entertainment program. Second, according to survey by channel cases are 26(16.9%) from KBS, 54 cases(35.1%) from MBC, 74 cases(48.1%) from SBS, which means SBS reported the most about nutritional foods. Third, the frequency of reporting information on the overall diet and food & ingredient, cuisine & cookey, health & diet therapy and obesity & diet in order. Forth, among the 26 cases of positive or negative implications made by each cannel of KBS, 18 cases were delivered in positive ways, 7 cases had positive and negative point of views mix together, and 1 cases was negatively delivered. Finally,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organiae the advisory team by connecting mass media and specialist, and the educational program of nutrition should be developed for the communication of right information about foods and nutrition.
        4,000원
        263.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적용사례를 보면 공공공간의 경우 내 외부의 소규모 공간에 관객과 작품이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있으며, 일반건축물은 외벽이나 벽면에 LED 프로젝터 등을 설치하여 정보전달과 광고를 위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일반건축물과 공공공간의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적용과는 다르게, 대공간 구조물의 지붕에 인터랙티브 미디어를 적용한 연구에 관한 사례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 논문은 기존 일반건축물과 공공공간건물의 인터랙트 미디어를 적용한 사례를 11개의 대공간 구조물 사례 결과와 비교하여 콘텐츠,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기술장치 등 4 가지 항목으로 분석하였다. 대공간구조물은 (39%) 컨텐츠를 대부분 활용하여 인터랙티브 미디어를 전달하고 있으며, 차츰 놀이(27%), 광고(17%), 메시지(17%)의 순서로 다양하게 전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000원
        265.
        2011.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Paper, We study on establish for unit of measure. Quality means abstract for customer needs. we surveyed unit of measurement of quality feature of Juran, Taguchi, 6 sigma method. We suggest unit of measurement of quality feature. Each enterprise can use defining own unit of measurement of quality feature. Effect is expected in enterprise that these proposals do quality control. There is meaning in direction that measuring mean of quality feature that propose in this treatise understands actuality to be deeply and reconcile exact point of theory.
        4,000원
        266.
        2011.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prepared on the ground of consulting business in an objective of an improvement of productivity that was proceeded on industrious-purpose reel manufacturer, S cor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hieve an improvement of productivity of the production line of industrious-purpose reel via 4M analysis and separate team activities. The method for study was proceeded with 4M analysis via video recording, one of the steps of separate team activities. Separate team activity is newly established concept, indicating what is modified and expanded partial process among previously existing 6-Sigma methodologies so that measures of various variables in the manufacturing production line are applied. The first procedure is a 4M analysis via video recording. firstly, consultant records videos for relevant process, conducting 4M analysis based on collected data to derive wasting factors in each process. Secondly, it is a procedure to derive and select proper measures, meaning that measures for removing wasting factors based on derived results are elicited, selecting a measure with high probability of application via negotiation between consultants and separate teams. The last procedure is an application of selected measures to real production line, reflecting an environment of production field to derive an effect of increasing practical productivity rather than a qualitative effect as a measure with trust and flexibility.
        4,000원
        268.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ristensen(1997)은 혁신자의 딜레마(innovator`s dilemma)에서 디스크드라이브(disk drive) 시장을 사례분석한 뒤, 성공기업들이 후발자들에게 추월당하는 이유를 와해성 기술(disruptive technology) 때문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기술에 초점을 맞췄던 그의 초기 이론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모든 종류의 혁신들을 설명하는데 적용되었으며, 이 과정에서 그는 기술(technology)과 비즈니스 모델(business model)을 개념적으로 구분하지 않고 초기 와해성 이론을 광범위하게 적용하였다(Markides, 2006). 또한 그의 이론은 시장과 산업의 변화를 체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이론적 모형으로서 설명력이 떨어지며, 이론적 모형으로서의 명료함을 높일 수 있는 추가 작업들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있었다(Danneels, 2004). 본 연구에서는 C.M. Christensen에 대한 기존 연구들의 지적들을 바탕으로 와해성 이론의 설명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와해성 혁신을 하나의 프로세스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 프로세스를 보다 명료히 이해하기 위해 기술의 혁신과정(phase of technology innovation)과 비즈니스 모델의 혁신과정(phase of business model innovation)으로 나누어 구분하고자 한다. 또한 이 과정에서 기술과 비즈니스 모델을 연결하는 개념으로서 보완기술(enabling technology)의 역할을 강조하고자 한다. 본 연구가 제안하는 개념적 틀의 타당성을 인터넷 쇼핑몰의 성장과정에 적용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그 결과 첫째, Christensen이 와해성 혁신이라고 주장한 인터넷 관련 비즈니스 모델은 성장과정에 있어 기술적 성장과 비즈니스 모델의 성장으로 구분이 가능한 과정이었다. 둘째, 와해성 혁신 단계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핵심 기술(core technology)과 비즈니스 모델 사이에 보완기술이 존재하며 보완 기술의 성숙 정도에 따라 비즈니스 모델의 완성도가 결정되어, 혁신의 시장성과가 결정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Christensen이 언급한 와해성 혁신은 기술의 혁신과 비즈니스 모델의 혁신으로 구분할 때 보다 명료한 이해가 가능하며, 보완기술이 존재할 경우 비즈니스 모델의 시장성과는 핵심 기술이 와해성 기술로 인정받은 직후보다는 보완기술들이 성숙된 이후에 더욱 확연히 드러남을 증명하였다.
        7,700원
        270.
        2011.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진도 연안해상교통관제 업무가 2010년 7월 15일 국토해양부에서 해양경찰청으로 이관이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지난 10개월 간 진도 연안VTS 업무를 하면 일어난 사고와 예방사례 분석하여, 진도 연안의 특성을 파악하고, 안전관리 향상 방안에 대해 제시하고 자 한다.
        3,000원
        273.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농산물 수출잠재력이 높은 러시아국가 중에서 한국과 거리가 가깝고 수출교두보로 활용하기 에 유리한 극동러시아 지역으로의 수출사례를 분석하여 수출시장 진출의 성공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시사 점을 도출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수출사례 조사업체 수는 5개, 수출사례는 8개이며, 분석대상 품목은 김 치, 딸기, 장미, 멜론, 배, 사과 등 7개 수출품목이다. 수출 성공사례는 사전 시장조사 및 수요파악, 포장 방법 개선, 유통채널 진입 및 정착, 홍보 및 판촉활동 요인으로, 실패사례는 소비자 인지도 및 선호도 파 악 미흡, 저품위 수출 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4,000원
        276.
        201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8년 동아시아 대륙에서 발생기원이 다른 먼지(황사)와 인위적 오염입자의 광역적 이동 사례를 NOAA위성 RGB 합성영상과 지상 입경별 분진(TSP, PM10, PM2.5)의 질량농도 관측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Terra/Aqua 위성 MODIS(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센서의 AOD(Aerosol Optical Depth)와 FW(Fine aerosol Weighting)를 통해 동아시아 지역에서 발생기원이 다른 대기 에어로졸의 분포와 입자 크기 특성을 분석하였다. 중국 북부와 몽골, 그리고 중국 황토고원에서 모래폭풍이 발생하여 광역적으로 이동하여 청원에 먼지입자(황사)로 영향을 주는 6 개의 사례분석을 실시하였다. 질량농도 TSP중 PM10은 70%, PM2.5는 16%로 조대입자(〉 2.5 μm)의 비율이 큰 것은 사막과 반사막의 자연적 발생원에서 생성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모래 폭풍이 이동 과정에서 중국 동부의 산업 지역을 거쳐 유입하는 사례에서는 TSP 중 PM2.5가 23%까지 증가하기도 했다. 중국 동부로부터 황해를 거쳐 한반도로 유입한 5개 다른 사례의 경우, TSP 중 PM10, PM2.5가 각각 82, 65%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PM2.5의 상대적 비율이 증가한 것은 인위적 오염입자의 영향 때문이다. 동아시아 지역에서 인위적 오염입자의 광역적 이동 사례에 대한 평균 AOD는 0.42±0.17로 황사에 의한 AOD(0.36±0.13)와 비교하여 대기 에어로졸에 대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중국 동부에서 황해, 한반도, 동해에 이르는 광역적 지역에 AOD값이 높게 분포했다. 인위적 오염입자의 사례는 FW가 평균 0.63±0.16로 모래폭풍의 이동 사례의 0.52±0.13 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이는 대기 에어로졸에 대한 인위적 미세 오염 입자의 기여도가 클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4,000원
        277.
        201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non-offered meal on waste reduction in foodservice. To this end, the quantity of non-offered meal before and after Quality Improvement(QI) activity was analyzed, and employee satisfaction with foodservice was investigated. Statistical data analys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daily quantity of non-offered meal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QI(p<0.001)(27.80±3.14㎏ before QI and 7.22±4.17㎏ after QI). Among 7 items related to employee satisfaction, kindness of meal service staffs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QI(p<0.05)(4.05±0.74 before QI and 4.21±0.17 after QI).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variety of menus, or cooking/seasoning of food, and there seemed to be greater satisfaction with taste of food after QI.
        4,000원
        279.
        2010.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의 처분/폐쇄 이후 기체 발생특성을 실질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이용하여 발생기체의 종합관리방안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실제 처분환경 및 특성을 고려한 장기간의 실증실험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국내에서는 월성원자력환경관리센터의 1단계 10만 드럼 처분에 대한 건설 및 운영허가 후속조치의 일환으로 현장부지에 기체발생 실증실험시설이 설치/운영될 예정이다. 이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세계 각국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된 기체 발생 관련실험에 대한 제반사항을 면밀히 검토하였다. 그 결과 우리나라와 처분방식이 동일하며, 실제 폐기물 포장드럼 및 기본 처분단위를 이용하여 대규모로 수행된 핀란드의 기체 발생 실험자료를 국내 실증실험에 대한 유용한 벤치마크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80.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06년 10월 22일에서 24일에 걸쳐 한반도 강릉지역에서 강한 집중호우가 발생했다. 이 기간에 대해서 집중호우가 발생하기 전과 강우강도가 가장 강했을 때 나타나는 종관적, 운동학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지상일기도, 상층일기도, 적외위성영상, 자동기상관측장비(AWS) 자료, NCEP(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Prediction) 전구분석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 기간 동안 강릉에서 관측된 총 강수량은 316.5 mm이고, 최대 순간풍속은 63.7m s-1이다. 일기도를 분석해보면 집중호우가 시작하기 전 온대저기압이 한반도 중부에서 발달하였으며 한반도 북부에 역전기압골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300 hPa 상층일기도에서는 서해와 한반도 남부에 제트기류가 위치하며, 위치 소용돌이도 이상과 관련된 절리 저기압이 한반도 북서부에서 발달하고 있다. 강우강도가 가장 강했을 때의 특성을 좀 더 자세히 알아보기 위하여 강릉지역의 위치 소용돌이도 이상과 바람, 위치 소용돌이도의 시간-연직 단면도, 연직운동, 발산장과 수렴장, 역학적 온위의 연직분포에 대해 조사하였다. 종관적, 운동학적 과정을 분석해 본 결과 대류권계면 접힘이 집중호우 발생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사료된다.
        4,900원